월인석보

Encyves Wiki
서동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4월 4일 (화) 21:17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월인석보
한자명칭 月印釋譜
영문명칭 A Korean translated book of episodes from the life of Sakyamuni Buddha
작자 세조
간행시기 1568년(선조1)경 복각
간행처 희방사 복각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서강대학교 도서관, 동국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김민영(개인소장), 호암미술관, 연세대학교, 수타사, 보림사, 삼성출판박물관
청구기호 C12-8C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31.2×22.0㎝
판본 목판본
수량 1책
표기문자 한글, 한자



정의

세조세종이 지은 『월인천강지곡』을 본문으로 하고 자신이 지은 『석보상절』을 설명 부분으로 하여 편찬한 책이다.

내용

세조세종이 지은 『월인천강지곡』을 본문으로 하고 자신이 지은 『석보상절』을 설명 부분으로 하여 편찬한 책이다. 1459년(세조 5) 부왕과 세자였던 도원군(桃源君)의 명복을 빌기 위해 간행하였다. 『월인천강지곡』을 부분적으로 수정하고 『석보상절』을 대폭 수정하여 『월인석보』라는 새로운 문헌을 만들었다. 김수온(金守溫)과 신미(信眉)·수미(守眉) 등 11명이 당시 편찬에 참여하였다. 이 책의 편찬은 세종 말엽부터 세조에 이르기까지 약 13년에 걸쳐 이룩한 사업으로, 석가 일대기의 결정판일 뿐만 아니라 훈민정음 창제 이후 제일 먼저 나온 불경언해서로 당시의 글자나 말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초간본을 바탕으로 1568년 희방사(喜方寺)에서 권 1과 권 2를 복각했는데 장서각 소장본은 그 중 권 1이다. 훈민정음 어제서문을 포함한 예의본(例義本), 월인천강지곡 서문, 석보상절 서문, 월인석보 권 1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서강대 소장 초간본에 비해 변상도 1점이 추가되어 있어 가치가 뛰어나다.[1]

부연설명

편찬동기는 죽은 부모와 일찍 죽은 아들을 위한다고 되어 있지만, 어린 조카 단종을 몰아내 죽이고 왕위에 올라 사육신 등 많은 신하를 죽인 끝에 당하는 정신적인 고통, 회한과 무상(無常)의 깊은 수렁에서 벗어나 구원을 얻기 위하여 추진된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석보상절』로 미루어서 모두 24권으로 추정되지만, 현재 전하고 있는 것은 중간본까지 합쳐도 완질이 되지 못한다. 『월인석보』는 한글 창제 직후에 간행된 산문 자료로서 국어국문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특히, 권1 앞에 『훈민정음 언해본(諺解本)』이 실려 있어서 그 가치가 더욱 크다. 이 책은 세종과 세조의 2대에 걸쳐 임금이 짓고 편찬한 것으로, 현존본에 나타난 판각기법이나 인출(印出) 솜씨 등을 보면 조선 초기 불교문화의 정수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세종의 훈민정음 반포 당시에 편찬, 간행되었던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세조 때 다시 편집하였기 때문에, 초기의 한글 변천을 살피는 데 있어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또한, 조선 초기에 유통된 중요경전이 취합된 것이므로 당시 불교 경전의 수용태도를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2]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월인천강지곡 월인석보 A는 B의 본문으로 사용되었다 세종
석보상절 월인석보 A는 B의 설명으로 사용되었다 세조
김수온 월인석보 A는 B의 편자이다
신미 월인석보 A는 B의 편자이다
수미 월인석보 A는 B의 편자이다
월인석보 훈민정음 예의본 A는 B를 포함한다
월인석보 월인천강지곡 서문 A는 B를 포함한다
월인석보 석보상절 서문 A는 B를 포함한다
월인석보 월인석보 권1 A는 B를 포함한다
월인석보 변상도 1점 A는 B를 포함한다 서강대 소장 초간본
월인석보 희방사 A는 B에서 일부 복각된다 권1, 권2
월인석보 회암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월인석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어있다 희방사 복각본 권1
훈민정음 언해본 월인석보 A는 B에 실려있다 권1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568년 선조가 월인석보를 복각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920248 128.456985 월인석보는 희방사에서 복각되었다
37.392258 127.054364 월인석보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있다

참고문헌

  • 논문
    1. 김영배, 「월인석보(月印釋譜) 제이십이(第二十二)에 대하여」, 『한국문학연구』8, 1985
    2. 천혜봉, 「월인석보(月印釋譜) 제칠(第七)·팔(八) 해제(解題)」, 『영인 월인석보』제7·8, 동국대학교출판부, 1981
    3. 안병희, 「중세어(中世語)의 한글자료(資料)에 대한 종합적(綜合的) 고찰(考察)」, 『규장각』3, 서울대학교도서관, 1979
    4. 박상국, 「월인석보목판고」, 『문화재』11, 1977
    5. 정연찬, 「월인석보(月印釋譜) 제일(第一)·이(二) 해제(解題)」, 『영인 월인석보』제1·2, 서강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1972
    6. 민영규, 「월인석보해제(月印釋譜解題)」, 『한국의 명저』, 현암사, 1969
    7. 이동림, 「월인석보(月印釋譜)와 관계불경(關係佛經)의 고찰(考察)」, 『백성욱박사송수기념불교학논문집』, 1959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8쪽. 해설문 속의 각종 링크 정보는 기록유산스토리사업팀에서 추가.
  2. "월인석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발췌. 2017년 03월 31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