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족

Encyves Wiki
Jwseo21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10월 10일 (월) 09:29 판 (새 문서: 한민족(韓民族)의 근간이 되는 민족. 맥(貊:貉), 또는 예(濊:穢 ·薉)라고도 약칭하였다. 중국 고전의기록에 의하면 《시경(詩經)》 《논...)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한민족(韓民族)의 근간이 되는 민족.


맥(貊:貉), 또는 예(濊:穢 ·薉)라고도 약칭하였다. 중국 고전의기록에 의하면 《시경(詩經)》 《논어(論語)》 《중용(中庸)》 《맹자(孟子)》에는 맥(貊)으로, 《사기(史記)》의 <흉노전(匈奴傳)> <화식전(貨殖傳)>에는 예맥으로 기록되어 있다. 맥족의 원주지에 대한 명확한 근거는 없으나 《위지(魏志)》 <고구려전>에 따르면 대수(大水:漢代에 鹽難水라고 하였던 鴨綠江) 유역에 거주한 부족과 소수(小水:漢代에 馬訾水라고 하였던 渾江) 유역에 거주한 2개의 집단이 있어 각기 수장(首長)을 추대하고 있었는데, 한인(韓人)들이 소수지역에서 거주한 집단을 소수맥이라 칭하였다. 또한 《한서(漢書)》 <무제기 원삭원년조(武帝紀 元朔元年條)>와 《후한서(後漢書)》 동이전 예조(東夷傳 濊條)에 보면 BC 128년 예의 군장(君長)인 남려(南閭)는 조선왕 우거(右渠)와의 관계를 끊고 그가 지배하던 전예맥사회의 인구 28만을 이끌고 한(漢)의 요동군(遼東郡)에 가서 내속(內屬:半 예속적 관계)을 청하였다.

무제는 그곳에 창해군(蒼海郡)을 설치하여 이들을 거주하게 하였으나 BC 126년에 폐지하였다고 한다. 이로 미루어 당시의 남려는 대수맥과 소수맥을 연합한 최고의 맹주(盟主)였음을 알 수 있다. 예맥족은 이후 부여(扶餘) ·고구려 ·동예(東濊) ·옥저(沃沮) 등으로 중국 북동부와 한반도의 동부 및 중부에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 또 고조선의 준왕(準王)이 남으로 망명할 무렵 북방에서 함께 내려온 이주민들은 한강 이남 지역에서 토착민과 연합하여 삼한(三韓)이라는 연방체를 만들었다. 여기에 고구려의 한 갈래인 위례(尉禮)가 한강 유역에 자리잡으면서 차차 커져서 백제가 되었는데, 이 또한 예맥족의 나라이다.

이 사실로 미루어 예맥족은 초기에 숙신(肅愼)과 동호(東胡) 사이에 끼어 중국의 쑹화강[松花江] 및 헤이룽강[黑龍江]과 압록강 ·두만강 유역 및 한반도 북부 지역인 함경도 ·강원도 등지에 걸쳐 살고 그 갈래가 남부에 백제를 이루며 번창한 대민족이었음을 알 수 있다. 종족상으로는 알타이어계(語系)의 퉁구스족(族)에 속하는 한 갈래이다. 농경문화의 경제력을 기반으로 발전하면서 한민족의 주류를 형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