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수철

Encyves Wiki
서소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3월 15일 (수) 13:16 판 (새 문서: {{승탑비문 Top icon}} {{승려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체징(體澄) |영문명칭=Chejing |생년=804(애장왕 5) |몰년=880(헌강왕 6) |시호=보조선...)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체징(體澄)()
BHST Monk1.png
대표명칭 체징(體澄)
영문명칭 Chejing
생몰년 804(애장왕 5)-880(헌강왕 6)
시호 보조선사(普照禪師)
체징(體澄)
탑호 창성(彰聖)
성씨 김씨(金氏)
출신지 웅진(熊津)
승탑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
승탑비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碑)



정의

신라시대의 승려

생애

가계와 탄생

Quote-left.png 선사를 잉태하던 해 어머니의 꿈에, 둥근해가 공중에 떠서 빛을 내려 배를 뚫고 지나갔다. 이 때문에 놀라 깨어 문득 임신하였음을 깨달았다. 1년이 지나도록 태어나지 않으니, 어머니가 상서로운 꿈을 미루어 살펴 좋은 인연이 이루어지도록 빌고, 식사에 고기를 멀리하며 술을 금하고 계율로써 태교하면서 복전(三寶)을 섬겼다. 이로 말미암아 해산의 괴로움을 이기고 아들을 낳는 경사를 맞았다. 선사는 체모가 커서 산이 우뚝 선 듯하고 기색이 윤택하여 하백(河伯)과 같았으며, 치아가 고르고 금발이 특이하여 마을 사람들이 찬탄하고 친척들이 모두 놀라와 했다. Quote-right.png
출처: 이지관,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 창성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신라편,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104-105쪽.


체징(體澄)은 804년 지금의 충청남도 공주 지방인 웅진(熊津)에서 출생하였다. 속성은 신라 왕성(王姓)인 김씨이고, 집안은 대대로 명망과 어진 가풍을 이어왔다. 물을 관장하는 전설 속의 신(神)인 하백(河伯)과 같이 건장한 체격을 가진 금발 머리의 아이였으며, 어려서부터 세속을 떠나고자 하는 뜻이 뚜렷했다.

출가수행

입당유학

귀국 및 활동

입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