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의(왕실남성)

Encyves Wiki
정주영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5월 22일 (월) 23:23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의(衣)
()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의(衣)
이칭별칭 상의(上衣)
착용신분 왕실
착용성별 남성


정의

대례복면복 일습 중 상체에 입는 옷이다.

내용

착용신분=

황제, ,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이 착용 하였다.

착용상황

국가 의례, 혼례 등의 대례복을 입을 때 착용 하였다.

복식구성

직물의 온폭을 사용해 만들어 바름[正]을 취한다. 소매도 둥글게 할 수 없어 거의 직각이 되고, 손이 나오는 곳인 수구는 1척 2촌을 남겨두고 가선을 두른다. 의는 검은색으로 하늘을 상징한다.

무늬

  • 황제: 일, 월, 성신, 용, 산, 화충을 그림.
  • : 용, 산, 화, 화충, 종이를 그림.
  • 왕세자: 화, 화충, 종이를 그림.

기타

상징[5] 생식기만 가리던 인간은 사회가 발전하고 추위를 막을 필요가 생기면서 상의가 출현 했다. {교열|생식기만 가리던 인간은 사회가 발전하고 추위를 막을 필요가 생기면서 상의가 출현 했다.|너무 원론적인 이야기 아닌가요...?|정주영}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황제 의(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한다
의(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한다
왕세자 의(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한다
의(왕실남성) 대례복 A는 B의 부분이다

참고문헌

  • 고광림, 『한국의 관복』, 화성사, 1995.
  • 金明淑, 「朝鮮時代 冕服의 考察-國葬都監儀軌 服玩圖說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 金明淑, 「朝鮮時代 王世子 冕服」, 『한국복식학회지』 18권, 1992.
  • 金明淑, 「朝鮮後期 冕服의 變遷-國葬都監儀軌 服玩圖設을 통한 考察-」, 『한국복식학회지, 7권, 1983.
  • 金明淑, 「한국과 중국의 袞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유희경, 「冕服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2
  • 이은진, 조효진, 「조선말기 왕실복식 소재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11권 3호, 한복문화학회, 2008.
  • 이혜경,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적 의미를 중심으로」, 『한복문화』 4권 4호, 한복문화학회, 2001
  • 인윤실, 「조선왕조시대 금박에 관한 연구」, 『복식』 2권, 한국복식학회, 1978.
  • 전혜숙,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의의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최규순,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동화대학출판부, 2007.
  • 최규순, 「황제와 황후의 복식 어떻게 변화했나」,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주석

  1.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2.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3.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4.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5.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105~10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