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남원 실상사

Encyves Wiki
김현규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4월 10일 (월) 20:09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남원 실상사
(南原 實相寺)
대표명칭 남원 실상사
한자 南原 實相寺
주소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33-3 외
문화재 지정번호 사적 제309호
문화재 지정일 1984년 10월 19일
관리자 남원시
교구정보 조계종
창건자 홍척
경내문화재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남원 실상사 석등, 남원 실상사 동서삼층석탑, 남원 실상사 백장암 석등, 남원 실상사 철조여래좌상



정의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정산리에 있는 신라시대의 절터.[1]

내용

거돈사지의 대체적인 윤곽은 1989~1992년에 한림대학교박물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본격적인 발굴조사과정에서 드러났다. 7,500평 넓이의 절터는 건물의 배치와 규모를 잘 알 수 있을 정도로 보존이 잘 되어 있었다. 발굴조사결과, 거돈사는 신라 후기인 9세기경에 창건된 후 고려 초기에 중창돼 대찰의 면모를 갖추었으며, 조선 전기까지 존속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2]1530년에 간행된 《신증동국여지승람》 에서는“거돈사 현계산(玄溪山)에 있다. 고려 최충(崔沖)이 찬술한 중 승묘의 비가 있다.”라는 기록으로 전하고 있다.[3]

거돈사의 창건시기로 추정되는 신라말기는 구산선문이 개창되어 선종의 번성과 함께 지방불교가 중흥하던 시기이다. 이러한 사회변화와 맞물려 고려 초기를 기점으로 남한강 유역에 여주 고달사, 원주 법천사, 원주 흥법사 등을 포함하는 크고 작은 수많은 절들이 지어졌고, 거돈사 또한 그 무렵 중창되고 사세를 확장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4] 거돈사는 비롯한 이런 남한강 유역의 여러 절들처럼 본래는 지방 호족들과 연결된 법안종 계통의 선종가람이었다.[5] 하지만 이후 교학과 천태학을 집대성한 대각국사 의천이 고려의 천태종을 창종했을 때 거돈사는 영암사, 지곡사 등의 5대 교종사찰과 함께 천태종의 기반사원이 되었다고 한다. 고려의 고승 지종 또한 천태학승이었으며, 이곳 거돈사에서 열반을 맞이하였기 때문에 경내에서 탑비를 통해 만나볼 수 있다. 거돈사는 고려 후기에 다시 선종도량이 되어 수행승들이 머물렀으며 지겸 등이 법맥을 이어왔다. [6]

거돈사는 신라말 고려초의 절터로서 보기드문 일탑식 가람이다.절터에는 중문터, 탑, 강당터, 승방터, 회랑 등이 확인되었는데, 금당의 규모는 앞면 5칸, 옆면 3칸으로 2층 건물이었을 것으로 보인다.경내 문화재로는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이 있고,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의 경우 일제시대에 반출됐는데, 광복 후 되찾아와 현재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 거돈사지에는 원주시가 국·도·시비 2억원을 들여 중요무형문화재 120호 석장 이재순 씨에게 의뢰해 제작한 재현품이 세워져 있다.[7]

동영상

갤러리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018년 지종이 원주 거돈사에서 열반을 맞이했다.
1025년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가 건립되어 최충이 비문을 짓고 김거웅이 글씨를 썼다.
1948년 일본인 집에 있던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이 경복궁으로 옮겨졌다.
1968년 원주 거돈사지가 문화재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1984년 원주 거돈사지에 대한 정비공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1989~1992년 한림대학교박물관을 중심으로 4차례에 걸쳐 원주 거돈사지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원주 거돈사지 A는 B에 있다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 원주 거돈사지 A는 B에 있다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있다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지종 A는 B를 위한 비이다
지종 원주 거돈사지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지겸 원주 거돈사지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최충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1025년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김거웅 A는 B가 비문을 썼다

참고문헌

  • 한림대학교 박물관, 『거돈사지 발굴조사 보고서』, 2000

주석

  1. "거돈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인용. 2017년 03월 30일 확인.
  2. "거돈사지", 『문화콘텐츠닷컴(문화원형백과 한강 생활문화)』, 한국콘텐츠진흥원, 2006,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017년 03월 30일 확인.
  3. "잃어버린 가람 터를 찾아 4 - 조운선(漕運船), 뱃노래 소리 드높던 거돈사" 홍대한,『월간 불광』, 불교문화산책 94, 384, 월간 불광 사이트에서 인용
  4. "거돈사터", 『답사여행 길잡이7- 경기남부와 남한강』,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돌배게, 2012,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017년 03월 30일 확인.
  5. "원주 거돈사터", 김봉렬,『한국미의 재발견 - 불교건축』, 솔출판사, 2004,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017년 03월 30일 확인.
  6. "거돈사터", 『답사여행 길잡이7- 경기남부와 남한강』,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돌배게, 2012,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017년 03월 30일 확인.
  7. "원주 거돈사지", 『금강신문』, 2011년 2월 18일. 2017년 4월 1일 확인



  •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南原 實相寺 百丈庵 三層石塔)-국보 제10호
    • 기단과 탑신괴임에는 난간모양을 새겨 멋을 내었고, 탑신의 1층에는 보살상(菩薩像)과 신장상(神將像)을, 2층에는 음악을 연주하는 천인상(天人像)을, 3층에는 천인좌상(天人坐像)을 새겼다. 지붕돌 밑면에는 연꽃무늬를 새겼는데 3층만은 삼존상(三尊像)이 새겨져 있다.
  • 남원 실상사 백장암 석등(南原 實相寺 百丈庵 石燈)-보물 제40호
    • 석등은 일반적으로 불을 밝히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밑에 3단의 받침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는데, 이 석등은 받침의 밑부분이 땅속에 묻혀있는 상태이다. 받침은 가운데에 8각의 기둥을 두고, 아래와 윗받침돌에는 한 겹으로 된 8장의 연꽃잎을 대칭적으로 새겼다. 화사석 역시 8각형으로 네 면에 창을 뚫어 불빛이 퍼져 나오도록 하였다. 지붕돌은 간결하게 처리하였고, 그 위의 머리장식으로는 보주(寶珠:연꽃봉오리모양의 장식)가 큼지막하게 올려져 있다.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南原 實相寺 秀澈和尙塔)-보물 제33호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南原 實相寺 秀澈和尙塔碑)-보물 제34호
  • 남원 실상사 석등(南原 實相寺 石燈)-보물 제35호
  • 남원 실상사 승탑(南原 實相寺 僧塔)-보물 제36호
  • 남원 실상사 동ㆍ서 삼층석탑(南原 實相寺 東ㆍ西 三層石塔)-보물 제37호
    • 실상사의 중심법당인 보광전 앞뜰에 동·서로 세워져 있는 두 탑.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南原 實相寺 證覺大師塔)-보물 제38호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南原 實相寺 證覺大師塔碑)-보물 제39호
  • 남원 실상사 철조여래좌상(南原 實相寺 鐵造如來坐像)-보물 제41호
  • 백장암 청동은입사향로-보물 제420호
  • 남원 실상사 약수암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南原 實相寺 藥水庵 木刻阿彌陀如來說法像)-보물 제421호
  • 남원 실상사 석장승 (南原 實相寺 石長栍)-국가민속문화재 제15호
  • 실상사극락전(實相寺極樂殿)-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5호
  • 실상사위토개량성책(實相寺位土改量成冊)-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88호
  • 실상사동종(實相寺銅鐘)-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37호
  • 백장암소장범종(百丈庵所藏梵鍾)-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1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