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철규

Encyves Wiki
Jwseo21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4년 2월 7일 (수) 15:49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서철규(徐喆圭)

조선임전보국단 경북지부(朝鮮臨戰報國團 慶北支部)

일제강점기 말 대구에서 일제의 전쟁 동원 정책에 부응하기 위하여 결성된 친일 단체.

[개설]

조선임전보국단은 중일전쟁이 태평양전쟁으로 확대되던 시점인 1941년 전쟁에 협력하기 위하여 임전대책협의회와 흥아보국단 준비위원회를 통합하여 조직한 친일 단체였다. 조선임전보국단의 단장은 최린이었고 부단장은 고원훈, 고문은 박중양·윤치호·이진호·한상룡이었다. 조선임전보국단의 주요 사업은 국민 개조 실천 운동, 물자의 공출 및 헌납 운동, 국민 생활 쇄신 운동, 저축 장려와 국채 소화, 근로 보국 도장의 설치, 기타 애국 운동 등이었다 조선임전보국단은 결성 이후 각계의 중견 친일 분자를 총망라한 전국적 지부 조직을 거느렸고, 1942년 1월 5일에는 조선임전보국단 부인대를 발족시켰다. 1941년 12월 7일 대구의 남욱정공립보통학교[현 대구서부초등학교] 강당에서 결성된 조선임전보국단 경북지부(朝鮮臨戰報國團慶北支部)는 전시체제기 대구·경상북도 지역 최대의 친일 민간단체였다.

[설립 목적]

조선임전보국단 경북지부는 국민총력조선연맹의 취지와 조선임전보국단의 강령을 실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강령은 황국신민으로서 황도 정신 선양 및 사상 통일 기함, 전시체제 국민 생활 개선, 근로 보국 정신 강화, 국채 소화·저축 장려·물자 공출·생산 확충 매진, 국방 사상 보급 등이었다.

[변천]

1941년 12월 7일 결성된 조선임전보국단 경북지부는 1942년 국민총력경북연맹에 흡수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조선임전보국단 경북지부는 1941년 12월 7일 열린 결성식에서 고문 4명, 상임이사 15명, 이사 36명, 평의원 46명, 감사 4명을 선출하였다. 조선임전보국단 경북지부의 이사는 정해붕(鄭海鵬), 이용우(李龍雨), 서병국(徐丙國), 서병조(徐丙朝), 서병원(徐丙元), 서철규(徐喆圭), 정운용(鄭雲用), 김용주(金龍周), 안병규(安炳圭), 문명기(文明琦), 이호(李浩), 이채우(李採雨), 김성재(金聖在), 김두하(金斗河), 추병화(秋秉和) 등이었다. 조선임전보국단 경북지부의 결성식에서는 조선임전보국단 단장 최린이 ‘대동아공영권 확립과 태평양’이라는 제목의 축사를 하였고,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한규복이 ‘조선임전보국단의 사명’이라는 제목의 축사를 하였다. 조선임전보국단 경북지부는 1941년 12월 13일 밤에 ‘정전(征戰) 관철의 밤’을 열고, 임전 보국을 위한 선전전을 펼쳤다.

[의의와 평가]

일제강점기 말 대구·경상북도 지역 최대의 친일 민간단체였던 조선임전보국단 경북지부는 일제의 전쟁 동원 정책에 부응하며 전시체제 강화를 위한 활동에 역량을 집중하였다.


자제단 (自制團)

3·1운동을 탄압하기 위해 총독부가 특히 남한 지방에 집중적으로 조직하였다. 지방에 따라서는 자성회(自省會)라고도 했으나, 자제단과 조금도 다름없는 단체였다. 3·1운동 참가자의 검거, 첩보 및 대민 설득을 통해 민중을 만세운동에서 격리시키려는 목적을 가졌다.

연원 및 변천

때문에 자제단은 거의 예외 없이 단원에게 밀고의 의무를 부과하였다. 1919년 4월 6일 결성된 대구자제단의 규약 제3조에는 만세에 부화 뇌동하지 말도록 부민(府民)을 굳게 타이르고, “만일, 불온한 행위를 감행하는 자를 발견하였을 때에는 당장 경무 관헌에 보고하여야 한다.”고 규정했다.

그 해 4월 21일 결성된 전북자성회(全北自省會)의 규약 제3조에도 “본회원은 불온 행위를 감행하는 자, 또는 불온한 자를 숙박하게 한 자를 발견하였을 때에는 당장에 본부장·지부장에게 밀고할 의무가 있다.”라고 규정하였다. 자제단은 예속 지주·매판 자본가 계층이 중심이었다.

대구자제단 발기인 67명 가운데 신원이 파악된 사람은 40%로 다음의 27명이다. 권중익(權重翼)·김병련(金炳練)·김병제(金秉濟)·김영배(金永培)·김자현(金子賢)·김재열(金在烈)·김진옥(金振玉)·김치홍(金致弘)·박중양(朴重陽)·서경순(徐畊淳)·서병원(徐丙元)·서병조(徐丙朝)·서철규(徐喆圭)·신석린(申錫麟)·윤수용(尹守瑢)·윤필오(尹弼五)·이병학(李炳學)·이영면(李英勉)·이선풍(李宣豊)·이일이(李一爾)·이장우(李章雨)·이종국(李鍾國)·장상철(張相轍)·정재학(鄭在學)·정해붕(鄭海鵬)·최만달(崔萬達)·한익동(韓翼東).

이 27명의 계층을 분석해 보면 현직 관리·관리 출신·지주가 각각 22%인 6명씩이며, 신상(紳商)·자본가가 나머지 33%인 9명이다. 관리 출신은 대개가 지주나 거상을 겸하고 있다. 이로써, 자제단은 친일 관료배의 사주로 지주·자본가가 중심이 되어 만든 배역 단체임을 알 수 있다.

자제단의 배역 행위에 대해, 특히 일부 지방은 과거 일진회의 꾐에 넘어간 전철을 서로 경고하면서 있는 힘을 다해 만세운동에 참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