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충

Encyves Wiki
Nuri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1월 24일 (금) 13:22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성충(成忠)
대표명칭 성충
한자표기 成忠
생몰년 -656년
이칭 정충(淨忠)
시대 삼국
국적 백제
대표직함 좌평(佐平)
유형 충신



정의

백제 의자왕 대의 충신이다.

내용

656년 백제의 좌평(佐平)으로 있을 때 의자왕이 신라와의 싸움에서 연승하여 자만과 주색에 빠지자 국운이 위태로워짐을 극간하다가 투옥되었다.[1] 옥중에서 몸이 점점 약해진 성충은 의자왕에게 다음과 같은 유서를 남기고 죽었다.

Quote-left.png 충신은 죽어도 임금을 잊지 않습니다. 원하옵건대 한 말씀 드리고 죽고자 하옵니다. 신이 일찍이 세상 돌아가는 것을 살펴보니 반드시 큰 전쟁이 일어날 것입니다. 군대를 부릴 때는 그 지세를 잘 살펴야 하오니, 상류에 진을 치고 적을 맞이한다면 나라를 보전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만일 다른 나라의 군사가 쳐들어온다면 육로로는 탄현(炭峴)을 넘지 못하게 하시고, 수군은 기벌포(伎伐浦)에 들어오지 못하게 하십시오. 험준한 지형에 의지하여 적을 막아야만 나라를 보전할 수 있을 것입니다. Quote-right.png
출처: 일연,신태영,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한국인문고전연구소, 2012. 온라인 참조: "태종 춘추공",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또다른 좌평이자 충신 흥수(興首)도 성충과 동일한 간언을 하였으나 의자왕은 이를 살피지 않았다. 결국 당은 백강을 지나 진격해 오고, 신라군은 탄현을 지나 공격해 오자 백제는 황산벌백강에서 싸워 패하고 결국 멸망하게 되었다.[2] 의자왕은 이 때에 이르러서야 "성충의 말을 듣지 않아 이 지경에 이르렀으니 후회스럽구나!"라고 탄식했다고 한다.[3]

부여 삼충사

지금도 충청남도 부여군에서는 백제 말의 충신인 성충(成忠), 계백(階伯), 흥수(興首)의 위국충절을 추모하기 위해 부소산성 내의 삼충사(三忠祠)에서 매년 10월 삼충제를 지내고 있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성충 부여 삼충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성충공상 부여 삼충사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성충공상 성충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성충 백제 의자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성충 흥수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성충 삼국유사 A는 B에 언급되었다 A ekc:isMentionedIn B
성충 삼국사기 A는 B에 언급되었다 A ekc:isMentionedIn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성주탁, "성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흥수", 『삼국유사 사전/박물지 시범개발』, 한국콘텐츠진흥원. 온라인 참조: "흥수", 문화원형백과-삼국유사 사전/박물지 시범개발,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일연,신태영,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한국인문고전연구소, 2012. 온라인 참조: "태종 춘추공",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흥수", 『삼국유사 사전/박물지 시범개발』, 한국콘텐츠진흥원. 온라인 참조: "흥수", 문화원형백과-삼국유사 사전/박물지 시범개발,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성주탁, "성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일연,신태영,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한국인문고전연구소, 2012. 온라인 참조: "태종 춘추공",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흥수", 『삼국유사 사전/박물지 시범개발』, 한국콘텐츠진흥원. 온라인 참조: "흥수", 문화원형백과-삼국유사 사전/박물지 시범개발,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유용한 정보

  1. "성충", 『doopedia』online, 두산백과.
  2. "성충", 『삼국유사 사전/박물지 시범개발』, 한국콘텐츠진흥원. 온라인 참조: "성충", 문화원형백과-삼국유사 사전/박물지 시범개발,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4. 온라인 참조: "성충",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성충",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백제금동대향로)』, 한국콘텐츠진흥원, 2005. 온라인 참조: "성충", 문화원형백과-백제금동대향로,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