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공주 남혈사지

Encyves 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4년 4월 12일 (금) 00:04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공주 남혈사지
(公州 南穴寺址)
대표명칭 공주 남혈사지
한자 公州 南穴寺址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금학동 93
문화재 지정번호 충청남도 기념물 제35호
문화재 지정일 1982년 12월 31일
관리자 공주시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금학동에 있는 절터.

내용

남혈사지(南穴寺址)는 서북쪽의 망월산에 있는 서혈사지(西穴寺址)와 마주 보고 있다. 서혈사와 함께 백제시대에 창건한 사찰로 추정하며, 고려의 고승 정진(靜眞)이 출가한 명찰(名刹)로 알려져 있다.[1]

석굴사원

주변에 석굴이 있어 공주 주미사지(舟尾寺址)·서혈사지, 정지사지·금학동 사지·웅진동 사지 등과 함께 석굴사원으로 추정된다. 석굴은 절터 동편에 위치해 있는데, 자연 동굴을 이용한 것으로 동서 길이 26m, 남북 너비 1.85m, 높이 2.35m이다. 굴 내부는 전실(前室)과 후실(後室)로 구분되는데 전실에서 금동보살입상이 발견되었다. 북쪽 벽에는 불상을 안치했던 것으로 보이는 층대가 있다.[2]

발굴 결과

절터에서는 연화문(蓮花文)기와·명문(銘文)기와와 육조(六朝)양식의 금동보살입상(金銅菩薩立像)의 동체(胴體)가 발견되었다. 또한 석탑의 지대석(地臺石)과 탑재(塔材), 원래 자리에서 옮겨진 것으로 보이는 주초(柱礎)와 우물터 등이 발견되었다.[3]

지대석은 화강암을 정제(精製)하여 만들었는데, 잔존 상태는 전면, 즉 남쪽에 길이 2m의 석재가 있고, 동쪽 면에도 동일한 재질과 형태를 지닌 2m 짜리의 지대석 2매가 있어 탑이 방형의 지대석을 놓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북쪽 석재는 외견상 보이지 않으며 서쪽에도 남아 있는 석재가 없다. 현존 사역의 범위로 미루어 탑 크기가 비교적 컸으며, 현존 지표 탑지의 환경으로 미루어 탑지가 약간 측면으로 치우쳐 있어 쌍탑이었던 것으로 추측하기도 한다.[4]

원래 절터 부근은 여러 단의 밭으로 개간되어 있었는데, 탑지를 중심으로 산 중턱에 동남향 하여 불사(佛寺)를 건립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환경이었다. 조사 전 이 남혈사지 사역은 서혈사지와 마찬가지로 3단의 대지(垈地)로 남아 있었다. 제1단의 범위는 너비 23m이고, 제2단은 20m, 제3단은 30m로 남아 있었는데, 제3대지 이후로 편년할 수 있는 각종 유물이 흩어져 있다.[5]

지식 관계망

  • 정진대사 긍양의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긍양 공주 남혈사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공주 남혈사지 공주 남혈사 A는 B의 터이다
공주 남혈사지 공주 서혈사지 A는 B와 관련이 있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82년 공주 남혈사지가 충청남도 기념물 제35호로 지정되었다

시각자료

주석

  1. "공주 남혈사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2. "공주 남혈사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3. "공주 남혈사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4. 서오선, "공주남혈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서오선, "공주남혈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공주 남혈사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 서오선, "공주남혈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