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호

Encyves Wiki
AKS김지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8월 21일 (월) 16:14 판 (추가자료)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정호(金正浩)
"김정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김정호
한자표기 金正浩
생몰년 1804년 추정-1866년 추정
본관 청도(淸道)
고산자(古山子)
백원(伯元)·백원(百源)·백온(伯溫)·백지(伯之)
출생지 황해도 토산(兎山)
시대 조선
국적 대한민국
대표저서 대동여지도
성격 지리학자, 실학자
유형 인물


정의

조선 후기 대표적 지리학자이며 지도 제작자로, 가장 많은 지도를 제작하였고, 가장 많은 지리지를 편찬하였다.

내용

생애

김정호에 대한 기록은 『청구도』에 수록된 최한기「청구도제(靑邱圖題)」, 이규경『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 수록된「만국경위지구도변증설(萬國經緯地地球圖辨證說」과 「지지변증설(地志辨證說)」, 신헌『금당초고(琴堂初槁)』에 수록된 「대동방여도서(大東方輿圖序)」, 유재건『이향견문록(里鄕見聞錄)』에 수록된 「김고산정호(金古山正浩)」에 불과하다.
남아있는 기록을 모두 합해도 A4 용지 한 장 안팎밖에 되지 않는 아주 적은 양이다. 김정호가 황해도 토산 출신이라든지, 도성 숭례문 밖의 만리재나 약현 부근에 살았다는 등의 일설이 전해지고 있지만 생몰 연대, 본관, 신분, 고향, 주요 주거지, 가계 등에 대해 어느 것도 정확하게 기록으로 남아 있는 것이 없다.

김정호에 관한 기록

첫째, 유재건『이향견문록』에 수록된 인물들의 신분을 통해서 김정호의 신분을 짐작할 수 있다. 이 책은 전기가 전해지지 않는 하층계급 출신으로 각방면에 뛰어난 인물들의 행적을 모은 책으로, 여기에 수록된 김정호도 하층계급 출신이었을 것이라 추측된다.


Quote-left.png 김정호는 스스로 호를 고산자라 하였는데, 공교한 재주가 많고 지리학에 관심이 있었다. 두루 찾아보고 널리 수집하여 일찍이 <지구도>를 제작하였고, 또 <<대동여지도>>를 만들었는데, 능란하게 그림을 그리고 새겨 인쇄해 세상에 펴냈다. 상세하고 정밀함이 고금에 견줄만한 것이 없는데, 내가 한 질을 구해 보았더니 진실로 보배라 여길만했다. 또 (동국여지도) 10권을 펹비했는데, 미처 탈고하지 못하고 죽었으니 정말 애석한 일이다. 재주가 많아 그림도 잘 그리고 조각도 잘 했는데 특히 지리학에 깊이 빠져 지도와 지리지를 깊이 고찰하고 널리 수집하여 <대동여지도>를 만들었다. Quote-right.png
출처:



둘째, 신헌『대동방여도서(大東方輿圖序)』 서문을 통해서도 김정호의 신분을 추측할 수 있다.

나(신헌)는 일찍이 우리나라 지도에 뜻을 두고 비변사와 규장각에 소장된 것, 오래된 집안에 좀먹다 남은 것들을 널리 수집하여 증정하고, 여러 본들을 서로 참고하고, 여러 책들에 근거하여 합쳐서 편집하였다. 이리하여 김군백원(金君百源)에게 물어 그것을 맡겨 만들게 하였다. 가리켜 증명하고 입으로 전해주기를 수십 년이나 하여 비로소 한 부가 만들어졌는데 모두 23권이다.

신헌은 자신보다 7-8세 연상인 김정호를 신헌은 김정호를 '김군백원(金君百源)'이라 칭하고 있는데, 같은 양반 출신이라면 김공(金公)이라고 표기했을 것이다. 그리고 성명을 적지 않고 성과 자만을 적은 것도 신분적 차이 때문이다. 이런 정황으로 보아 김정호는 신헌과는 다른 신분계층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최한기가 쓴 〈청구도〉 제문(題文)을 보면, 김정호는 동관(童冠)의 나이 때부터 지도와 지지에 관심을 가졌다고 한다. '동관'은 18세나 19세로 추정한다.

나의 벗 김정호는 소년 시절부터 지리학에 뜻을 두고 오랜 세월 동안 지도와 지리지를 수집하여 여러 지도의 도법을 상호비교해서 <청구도>를 만들었다.(金友正浩 年自童冠 深留意圖志...)


셋째, 김정호의 족보가 없다는 사실로도 그의 신분을 추측할 수 있다. 청도 김씨 대동보에 따르면 김정호는 봉산파로 분류되어 있는데 한국 전쟁으로 봉산파가 실계(失系; 가계가 끊김)된 것으로 적혀 있다. 그러나 6.25동란과 관계없이 한국 전쟁 이전에 편찬된 예전 족보(구보)에도 김정호는 실려 있지 않다. 이를 근거로 김정호의 집안이 청도 김씨 봉산파이기는 하나 가정 형편은 빈한한 몰락한 잔반(殘班)이나 중인으로 추정된다.
넷째, 『지구전후도』, 『수전전도』, 목판본의 『대동여지도』 22첩, 『대동여지전도』에서 확인되듯이 판각에 뛰어난 각수(刻手)였다는 점을 고려할 때 평민의 장인 출신이라 볼 수 있다.


근자에 김정호라는 사람이 대동여지도 20권을 지었는데… 잠시 보았을 뿐인데도 환히 알 수 있게 되어 매우 편리하다. 그 착상이 선인들에 비하여 분명히 우수하고, 그 정밀함은 이만저만하지 않다. … 그의 지도와 지지는 꼭 세상에 전해져야 할 것이다.




활동사항

김정호는 국토정보를 효율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지도와 지리지를 동시에 이용해야 한다는 점을 「청구도 범례(靑邱圖凡例)」등 여러 곳에서 언급하였다. 또한 그는 지도의 제작과 지리지의 편찬에서 정확성에도 초점을 맞추었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하게 여긴 것은 이용의 편리에 대한 고민이다. 이와 같은 두 가지 관점에서 김정호의 업적을 시대별로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1834년(순조 34) 이전부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 시문(詩文)·인물 등을 제외한 내용을 큰 글씨로 적고 다른 자료를 참고하여 여백이나 첨지에 깨알 같은 글씨로 교정·첨가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동여편고(東輿便攷)』 2책(1책 결본)을 편찬하였다. 1834년(순조 34)에는 『청구도』 2책을 편찬하였고, 이어 1840년(헌종 6)대 후반까지 3차에 걸쳐 개정판 『청구도』를 제작하였다. 기본 정보의 차원에서 『청구도』『해동여지도』의 내용을 그대로 따랐지만 이용의 편리라는 측면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가했다.

김정호는 1834년(순조 34) 경부터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 『동여도지』의 편찬을 시작하여 1844년(헌종 10)경에 완성하며, 이후 지속적인 교정과 첨가를 하다가 1861년(철종 12)에 서문을 작성하여 수록한다. 이어 1850년(철종 1) 전후로 대축척 고을지도와 지지가 결합된 지리지인 대영도서관 소장 『동여도지』 3책(경기·강원·황해)을 편찬하기 시작하였지만 완성을 보지 못하고 포기한다.

이 때부터 김정호는 지도와 지지가 결합된 『청구도』의 형식을 포기하고 순수하게 지도적 속성이 강한 지도첩의 제작을 시작하였다. 표지에는 『동여(東輿)』라고 기록되어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필사본의 『대동여지도』 14첩이 그러한 노력의 첫 번째 결실이다. 이 지도첩에서 김정호는 『청구도』에 첨가된 통계와 지지 정보를 대폭 삭제하고 기호의 사용을 정교화 하였다.

대신 1853년(철종 4)에서 1856년(철종 7) 사이에 대축척 고을지도를 생략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여도비지(輿圖備志)』 20책을 최성환(崔瑆煥)과 함께 편찬하였고, 비슷한 시기에 기본 정보가 『청구도』와 상당히 달라진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필사본의 『대동여지도』 18첩을 제작하였다. 이어 1856년(철종 7)에서 1859년(철종 10) 사이에는 기본 내용을 완전히 개정한 필사본의 『동여도』 23첩을, 1861년(철종 12)에 목판본의 『대동여지도』 22첩을 제작하였다. 또한 1864년(고종 1)에 목판본의 『대동여지도』 22첩을 교정하여 재간하였으며, 1861년(철종 12)부터 1866년(고종 3)경까지 『대동지지』 32권 15책을 편찬하다 미완으로 남기고 사망하였다.

김정호는 이외에도 보급용의 중형 낱장본 지도로 1834년(순조 34)에 최한기의 부탁을 받고 판각한 서양식 세계지도인 『지구전후도(地球前後圖)』, 1840년(헌종 6)대에는 한양 지도인 목판본의 『수선전도(首善全圖)』, 전통식과 서양식이 결합된 세계지도인 『여지전도(輿地全圖)』, 1860년(철종 11)대에는 목판본의 『대동여지도』 22첩이 너무 커서 한눈에 조선 전체를 보기 어려운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작한 목판본의 『대동여지전도(大東輿地全圖)』를 제작하였다.

김정호의 사상

김정호는 자신에 대한 글을 거의 남기지 않았다. 그의 사상을 엿볼 수 있는 글은 《지도유설》과 《동여도지》 서문인데, 둘 다 김정호가 쓴 글이다. 다만 《지도유설》은 김정호 자신의 생각이 아니라 여러 사람의 생각을 듣고 정리하여 쓴 글이며, 《동여도지》만 김정호의 사상을 나타낸 글이다. 《동여도지》에 나타난 김정호의 사상이나 역사지리 인식은 다음과 같다.

김정호는 지도(地圖)와 지지(地誌)가 서로 불가분의 관계라고 인식하였다. 지도로써 천하의 형세를 살필 수 있고 지지로써 역대의 제도와 문물을 헤아려 볼 수 있으므로 지도와 지지는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로 위국(爲國) 곧 치국(治國)의 대경(大經)이라고 지도와 지지의 관계를 강조하였다.

지도와 지지가 위와 같이 중요함에도 단기(檀箕; 단군기자) 이래로 지도가 없고 지지는 《삼국사기》에 이르러 비로소 만들어졌기 때문에 지지의 첫머리에 신라 이전의 사항을 두어 알게 하였다. 조선에 들어서는 초기에 《동국여지승람》이 편찬되어 비로소 도적(圖籍)이 환연해졌지만, 김정호가 사는 때에 이르러서는 그것이 편찬된 지 3백여 년이 지나 지리 정보에 차이가 많아졌으므로 이를 바로잡으려고 《동여도지》를 만들었다. 이에 따라 편목이나 구성이 《동국여지승람》의 구성과 비슷하다.

김정호는 또한 지도와 지지의 제작이 치국의 대경이라는 자신의 주장대로 치국경제에 유용하도록 《동여도지》 등을 제작할 때 문교무비(文敎武備)에 해당하는 관방과 역참, 학교와 서원 등 42개 편목을 자세히 설명하거나 표기하였다.


지식 관계망

저서(작품)

김정호가 편찬한 지도와 지리지는 다음과 같다.

위에서 〈청구도〉·〈동여도〉·〈대동여지도〉《동여도지》·《여도비지》·《대동지지》를 ‘김정호의 3대 지도와 3대 지지’라고도 부른다.


노드 및 관계

노드 관계 클래스 노드 설명
김정호 isTheSubjectOf 민족기록화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김정호를 소재로 그려진 민족기록화이다.
김정호 creates 기록 대동여지도 대동여지도김정호에 의해 제작된 기록이다.
김정호 isMentionedIn 기록 이향견문록 이향견문록김정호가 언급된 기록이다.
김정호 isMentionedIn 기록 청구도제 청구도제김정호가 언급된 기록이다.
김정호 isMentionedIn 기록 금당초고 금당초고김정호가 언급된 기록이다.
김정호 creates 기록 청구도 청구도김정호에 의해 제작된 기록이다.
김정호 isMentionedIn 기록 오주연문장전상고 오주연문장전상고김정호가 언급된 기록이다.
김정호 hasFriendshipWith 인물 최한기 최한기김정호와 친분관계가 있는 인물이다.
김정호 hasFriendshipWith 인물 김정희 김정희김정호와 친분관계가 있는 인물이다.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덕휘 정약용 A는 B의 친척이다

시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4.7419353 126.6975985 백운동 별서정원은 김정호의 소유지였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
*한국문화콘텐츠닷컴 "김정호의 생애", 2016년 12월 26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