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백복지무

Encyves Wiki
장원석DH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8월 9일 (수) 22:41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연백복지무
(演百福之舞)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대표명칭 연백복지무
한자표기 演百福之舞
유형 예술·체육/무용


정의

조선시대 순조 때 창작된 당악정재(唐樂呈才)의 하나. [1]

내용

당악정재의 한 형식인 죽간자(竹竿子) 구호(口號)와 치어(致語)를 가진다. 창사(唱詞)는 순조 기축년(1829) 예제(睿製)와 고종 정해년(1887)에 개제(改製)한 것으로 되어 있다. 춤은 선모(仙母) 1인, 협무(挾舞) 4인으로 구성된다.[2]

구성

춤의 짜임새는 대개 사우무(四隅舞)·오방무(五方舞)·회선무(回旋舞)·부열무(復列舞)·사우무(四隅舞)·대수무(擡袖舞)·번수무(飜袖舞)의 순서로 춤춘다. 개장(開場)과 수장(收場)에는 <보허자령 步虛子令>의 음악을 쓰고, 중간은 거의 <향당교주 鄕唐交奏>로 일관한다. 구호·치어·창사를 합하여 열 번이나 노래가 있어 비교적 노래가 많은 춤이다. 이 중 선모와 협무가 부르는 창사의 전단은 <보허자령> 초장에, 후단은 <보허자령> 2장 가락에 맞추어 부르는데, 이를 수악절창사(隨樂節唱詞)라고 한다.[3]

복장

순조 기축년의 ≪진찬의궤(進饌儀軌)≫에 의하면 무동(舞童)의 복식은 원무(元舞)는 각건(角巾)을 쓰고, 홍포(紅袍)와 백질흑선중단의(白質黑縇中單衣)에 남야대(藍也帶)를 띠고, 흑화(黑靴)를 신는다. 선모와 죽간자는 복두(幞頭)를 쓰고, 남포(藍袍)와 백질흑선중단의에 홍야대(紅也帶)를 띠고 흑화를 신는다. 이 춤이 실려 있는 무보(舞譜)로는 ≪궁중정재무도홀기(宮中呈才舞圖笏記)≫가 있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연백복지무 외진연시 무동 각 정재 무도 홀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당악정재 연백복지무 A는 B를 포함한다
궁중정재무도홀기 연백복지무 A는 B를 언급하였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장사훈, "연백복지무(演百福之舞)",『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장사훈, "연백복지무(演百福之舞)",『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장사훈, "연백복지무(演百福之舞)",『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장사훈, "연백복지무(演百福之舞)",『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사료
    • 『진찬의궤(進饌儀軌)』
    • 『정재무도홀기(呈才無圖笏記)』
    • 『국연정재창사초록(國讌呈才唱詞抄錄)』
  • 저서
    • 장사훈,『한국전통무용연구』, 일지사, 1977.

더 읽을거리

  • 저서
    • 송방송, 「(증보)한국음악통사」, 민속원, 2010
    • 송방송, 「韓國近代音樂史硏究」, 민속원, 2003
  • 논문
    • 박승희, 「순조대 무동의 궁중정재 연구」, 한국체육대학교, 생활무용 석사학위논문, 2017
    • 이견주, 「한국 전통 무용에 따른 장단분석 연구」,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스포츠과학과 석사학위논문, 2011.
    • 한지영, 「孝明世子 代聽時 創作 呈才 硏究」, 한양대학교 대학원, 생활무용예술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
    • 정효민, 「연백복지무(演百福之舞)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무용과 예술전문사 학위논문, 2008.
    • 최경자, 「陰陽五行思想에 영향받은 朝鮮後期 呈才의 硏究 : 催花舞·長生寶宴之舞·演百福之舞 中心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무용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1996.
  • 웹사이트 내 특정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