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영동선 전철

Encyves Wiki
AKS김지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9월 21일 (목) 15:58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 일러스트 삽입 예정


영동선 전철
(嶺東線 號線)
대표명칭 영동선 전철
한자표기 嶺東線 號線
영문명칭 Yeongdong Line
이칭 영동선
유형 지명
관련개념 전기철도


정의

강원도 강릉과 경상북도 영주 사이를 연결하는 철도.[1]

내용

중앙선-태백선-영동선은 심한 경사도와 곡선 및 1백3개나 되는 터널 등 산악지대를 관통하는 나쁜 조건을 가졌으나, 화물수송량은 전국철도의 40%를 차지하고, 영동 지방에서 생산되는 무연탄, 시멘트, 광석 등 산업물자는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를 보여 전철화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었다. 1972년 12월 6일 전철화 공사가 시작된 영동선 전철은 3년간 연인원 54만명과 내자 24억원, 외자 8백만달러 등 총 62억원의 공사비가 들었다. 1975년 12월 5일 영동선의 전철화 공사가 완료되면서 전철 운행이 하루 10회 늘어나게 되었고, 연간 8백 65만t이 늘어난 2천 5 백72만t을 수송할 수 있게 되었다.[2]
영동선 전철은 강원 태백산지에 매장되어 있는 풍부한 지하자원을 수송하면서 지역개발은 물론 산업발전에도 큰 기여를 하였으며, 지금도 시멘트와 석탄 등의 지하자원을 전국으로 운반하면서 운송 분야에서도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3]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영동선 전철 영동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영동선 전철 전기철도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영동선 산업선 전철화 정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중앙선 산업선 전철화 정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태백선 산업선 전철화 정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산업선 전철화 정책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경제개발 5개년계획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경제개발 5개년계획 박정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Setro M] 지하철 영상기록 - 서울지하철 1호선 개통 - 수도권전철 연결 운행 - 1974년 8월(게시일: 2017년 9월 11일)


https://www.youtube.com/watch?v=tXGz_lIN5fs https://www.youtube.com/watch?v=CYDZL_cuzBY http://www.ehistory.go.kr/page/pop/movie_pop.jsp?srcgbn=KV&mediaid=10077&mediadtl=20294


주석

  1. 김경추, 정암, "영동선",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중앙일보, "영동선 전철 개통", 『중앙일보』, 1975년 12월 05일.
  3. 김영기, 손승호, "전기철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유우익, "영동선",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김영기, 손승호, "전기철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경추, 정암, "영동선",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중앙일보, "영동선 전철 개통", 『중앙일보』, 1975년 12월 05일.

유용한 정보

  1. 유우익, "영동선",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