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오연행록
무오연행록 | |
한자명칭 | 戊午燕行錄 |
---|---|
영문명칭 | A Korean journal of Seo Yumun’s trip to Yanjing (Qing) |
작자 | 서유문 |
작성시기 | 1799년 |
간행시기 | 조선후기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청구기호 | 2-4518 |
유형 | 고서 |
크기(세로×가로) | 31.2×21.5㎝ |
판본 | 필사본 |
수량 | 6冊 |
표기문자 | 한글, 한자 |
목차
정의
삼절연공 겸 사은사의 서장관으로 연행하였던 서유문의 한글 연행록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삼절연공 겸 사은사三節年貢 兼 謝恩使의 서장관으로 연행하였던 서유문徐有聞, 1762~1822의 한글 연행록이다. 1798년정조22 10월부터 1799년정조23 4월 2일 복명하기까지의 일정을 일기체로 기록하였다. 제1권은 서장관에 임명된 뒤의 준비과정부터 10월 19일 중국 황제의 표문(表文)을 받고 길을 떠나 12월 6일 쌍양점(雙陽店)에 이르기까지 약 3개월간의 일기이다. 제2권은 12월 7일 쌍양점에 머무르고 8일 길을 떠나 19일 북경(北京)에 들고 22일까지 북경에 머무른 일기이다. 제3권부터 제5권까지는 1798년 12월 23일부터 1799년 2월 6일까지 북경에서 체류한 기간의 일기이다. 제6권은 2월 7일 돌아올 길을 준비하여 2월 8일 북경을 떠나고 국경에 이른 3월 20일까지의 일기로 회정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귀국 후 복명하기까지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1] [2]
『무오연행록』은 북경에 체류할 당시의 기록이 중심인데, 홍대용洪大容, 1731~1783과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의 연행록보다는 관찰의 폭이 제한되어 있다. 이는 서유문의 연행록이 서장관으로서의 공식 기록이라는 점과 건륭제가 상중喪中인 관계로 북경 유람이 자유롭지 못했던 상황 때문이었다. 그럼에도 이작품은 18세기의 희소한 한글 연행록이라는 점과작가 특유의 대청관對淸觀이 잘 나타난 기행문학으로서 의의가 있다. 장서각에 소장된 한문본 『무오연행록戊午燕行綠』 2-4519은 한글본의 1/5정도 분량으로 내용이 축약되었고, 서장관의 이름을 서지수徐志修로 쓴 것을 후에 서유문徐有聞으로 고친 흔적이 있다. 따라서 한글본을 토대로 한문본을 작성한 것으로 추정된다.[3]
역사적인 의미
이 책은 북경 체재 일기가 그 중요한 내용을 차지하고 있지만, 홍대용이나 박지원의 연행록보다 그 관찰의 폭이 제한되어 있는 느낌이 적지 않다. 그것은 앞의 군관들처럼 자유스러운 신분이 아니었고, 서장관으로서의 체모가 있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한편, 그 때 청나라는 건륭제(乾隆帝)의 상중(喪中)인 관계로 나들이가 자유롭지 못했다는 것도 이유가 될 것이다.
기행문학작품으로서의 의미
「무오연행록」은 홍대용(洪大容)의 한글본 「을병연행록」보다는 30여년, 박지원(朴趾源)의 『열하일기』보다는 17년 뒤인 18세기에 나온 것이지만, 18세기에도 드물게 보이는 한글로 된 기행문학작품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뿐만 아니라 작자의 특유한 대청관(對淸觀)·문명관 및 자기비판의 필치가 돋보이는 기행문학이기에 문학사적 의의가 크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서유문 | 무오연행록 | A은 B를 저술하였다 | 1799년 |
삼절연공 겸 사은사 | 무오연행록 | A는 B에 언급된다 | |
홍대용 | 무오연행록 | A은 B를 언해했다 | |
서유문 | 서지수 | A은 B와 동일인이다 | |
무오연행록 | 홍대용 | A은 B의 연행록과 비교된다 | |
무오연행록 | 서지수 | A은 B의 연행록과 비교된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799년 | 무오연행록이 간행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39197 | 127.054387 | 무오연행록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12-113쪽.
- ↑ "무오연행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
online . 최종확인: 2017년 04월 08일.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12-113쪽.
- ↑ "무오연행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
online . 최종확인: 2017년 04월 08일.
참고문헌
- 단행본
- 김동욱, 「무오연행록 해제, 『『국역 연행록선집』Ⅶ, 민족문화추진회, 1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