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덕휘

Encyves Wiki
AKS김지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4월 23일 (일) 14:14 판 (내용)

이동: 둘러보기, 검색

틀:인물정보2

정의

조선 후기의 승려로, 자는 중부(仲孚), 호는 초의(草衣), 당호는 일지암(一枝庵), 법명은 의순(意恂)이다. 보통 초의선사라고 불린다.
전라남도 무안 출신으로, 대흥사(大興寺) 제13대 종사이며 다도(茶道)의 정립자이다. 그래서 초의를 다성(茶聖)이라 부른다.

내용

이덕휘에 관해서는 특별히 남아 있는 기록이 없어 자세한 사정을 알기 어렵다. 이덕휘는 딸만 넷을 두어 아들이 없었으므로 아우 이석휘의 아들 이시헌을 입계해서 대를 이었다. 이덕휘는 1812년 월출산 율마차 걸음했다가 우연히 이곳을 찾게 된 다산 정약용과 외가인 해남 윤씨와의 인연으로 가까운 교분을 맺었다. 이덕휘는 이후 정약용의 후원자로서 지원을 아끼지 않았고 아들인 이시헌다산초당으로 보내 강학의 말석을 지키게 했다. 정약용이덕휘에게 보낸 편지 세 통이 남아 있다. [1]


정약용은 1806년에 이어 1812년에 월출산 등정을 한 차례 더 시도했다. 여러 제자와 동행핞 걸음이었다. 백운첩에 특별히 윤동초의가 동행자로 남아있다. 돌아오는 길에 다산 일행은 백운동에 들러 하룻밤을 묵었다. 백운동의 주인 이덕휘가 그를 맞았다. 그는 다산보다 세 살 위였다. 그의 부친 이현박이 해남 윤씨아ㅗ 결혼해서 다산의 외가와는 멀지 않은 친척이었다. 이런 인연으로 이덕휘와 다산은 금세 친해졌다. 이후 두 사람은 인편으로 편지를 주고받았고 당시 10세 소년이었던 이시헌이 다산을 따라 다산초당의 강학에 참여함으로써 사제의 인연을 맺게 된다. 현재 다산이 백운동에 보낸 편지 여러 통이 남아 있다. 백운동 본가에서 보관해온 친필이 세 통이고, 이시헌이 당시 보관했던 간찰ㄹ들을 다시 필사해서 묶은 서간집인 가장 시간일람 에 세 통이 시렬 있다. 여기에 이효우 선생이 소장한 두 통을 포함해


"다도", 『차생활문화대전』online, 네이버 지식백과.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ref>

시각자료

사진











영상

  • [MBC] 다성 초의선사를 찾아서(게시일: 2016년 5월)

mbc프라임 불탄일 특집_다성 초의선사를 찾아서 from Youngin Koo on Vimeo.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정약용 의순 A는 B의 스승이다
의순 백운동도 A는 B를 그렸다 1812년
의순 다산도 A는 B를 그렸다 1812년
의순 다신전 A는 B를 저술하였다 1828년
의순 동다송 A는 B를 저술하였다
의순 다선삼매 A는 B와 관련이 있다
의순 설록다원강진 A는 B와 관련이 있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812년 이덕휘이 백운동도를 그렸다
1812년 이덕휘이 다산도를 그렸다
1828년 이덕휘이 다신전을 저술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4.7406953 126.7047464 설록다원강진은 이덕휘과 관련이 있다

참고문헌

  • "의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의순", 『doopedia』online, 두산백과.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다도", 『차생활문화대전』online, 네이버 지식백과.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초의선사", 『차생활문화대전』online, 네이버 지식백과.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

주석

  1.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 75쪽.
  2. "의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