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창섭

Encyves Wiki
AKS김지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3월 16일 (목) 00:53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틀:작가정보 김지선

작가소개

1927년 충북 청주에서 태어난 정창섭은 서울대 회화과 1회 졸업생으로 한국 추상미술의 흐름으로 자리매김한 모노크롬 회화(단색화)를 이끌었던 주역 중 한 명이다. 1953년 제2회 국전에서 특선하면서 화단에 데뷔했고 서울대 교수를 지냈다.
그는 서구적 앵포르멜 회화를 거쳐 1970년대부터 한지의 소재인 닥을 물감의 대체물로 이용해 작가의 숨결과 체온이 담긴 독창적 작업을 펼쳐냈다. ‘닥’과 ‘묵고’ 연작은 물기를 머금은 닥 반죽을 캔버스 위에 올려놓고 화가의 손과 닥이 만나 발현되는 미묘한 종이 결을 드러낸 대표작이다. 단아한 색감과 한지 고유의 질감을 살린 그의 작품에는 물질과 마음,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이 하나로 융합된 정신세계의 깊이가 반영돼 있다. 1993년 국민훈장 목련장을 받았고 2010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평생 화업을 조명하는 대규모 개인전이 열렸다.[1]

학력

  • 1955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학사

경력

  • 1956-1965년 영생고등학교 및 한양공업고등학교 교사
  • 1988년 군산대학교 미술과 교수
  • 1988년 한국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 감사

전시

  • 1950-1965년 한국미술가협회 회원전 총 7회, 서울 및 지방
  • 1950-1965년 개인전 총 3회
  • 1963년 현대미술동인전, 국립중앙공보관
  • 1964년 현대작가연립전, 국립중앙공보관
  • 1965년 신작가협회전, 신문회관 화랑
  • 1968년 현대작가초대전, 경복궁 미술관
  • 1970년 한국미술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1-1980년 한국미술협회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4년 한국현대작가초대전, 동경 화랑
  • 1974년 제1회 서울비엔날레초대, 국립현대미술관
  • 1974년 개인전, 명동 화랑
  • 1974년 개관기념 초대전, 미술회관
  • 1974-1978년 앙데팡당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5년 75-5그룹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5년 제1회 서울현대미술제, 미술회관
  • 1975년 추상작가 구상전, 아름 화랑
  • 1975년 한국현역작가 30인 초대전, 미로 화랑
  • 1975년 한국현역작가 초대전, 양지 화랑
  • 1975년 까뉴 국제회화제, 까뉴
  • 1975년 제2회 대구현대미술제, 계명대학
  • 1975-1980년 에꼴드서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6년 민족기록화 구국위업전, 문공부
  • 1976년 제2회 서울현대미술제, 미술회관
  • 1976년 제12회 아시아 현대미술전, 동경 동경도미술관
  • 1976-1979년 광주, 부산, 대구, 전북 현대미술제
  • 1977년 한중현대작가초대전, 대만 대북역사박물관
  • 1977년 민족기록화 문화편, 문공부
  • 1977년 Asmall Self-Portrait, 동경 아트코아 갤러리
  • 1978년 한국미술 대상전 초대작가, 국립현대미술관
  • 1978년 제14회 아시아현대미술제, 동경 동경도 미술관
  • 1978년 한국현대미술 20년의 동향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8년 미술협회 회원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8년 A Small Now Drowing`s, 동경
  • 1978년 민족기록화 문화편: 만민공동회의, 문공부
  • 1978년 제4회 인도 트리엔날레, 뉴델리
  • 1979년 한국현대작가 초대전, 미술회관
  • 1979년 한국미술 오늘의 방법전, 미술회관
  • 1979년 중앙미술 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9년 워크온페이퍼전, 진 화랑
  • 1979년 미술협회 회원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9년 개인전, 동경 村松 화랑
  • 1980년 한국미술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0년 한국드로잉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0년 제6회 서울현대미술제, 미술회관
  • 1980년 민족기록화 문화편: 화약연구, 문공부
  • 1980년 개인전, 관훈 미술관
  • 1980년 `80 현대작가 36인 초대전, 관훈 미술관
  • 1980년 `80 국제 현대작가 미술제, 고베
  • 1980년 `80 국제 페스티벌, 아시아 현대미술전, 후쿠오카 미술관
  • 1980-1984년 `80 국제 임펙트 아트 페스티벌, 동경 교토 시립미술관
  • 1981년 드로잉 `81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2년 한국현대미술 위상전, 동경 교토 시립미술관
  • 1982-1985년 `82-`85 현대미술 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2-1983년 CABO FRIO국제전, 브라질
  • 1983년 에꼴드서울 종이조형전, 대만 대북 스프링 갤러리
  • 1983년 KNICK전, 헝가리
  • 1983-1990년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4년 한국현대미술전, 대만 대북 시립미술관
  • 1985년 초대전, 중앙청역 전시관
  • 1985년 전북작가초대전
  • 1985년 KIS85 군산국제현대미술전, 전주
  • 1985년 `85 아시아현대작가초대전, 일본
  • 1986년 한국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7년 한국현대미술에 있어서의 흑과 백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7년 `87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8년 현대회화 `70년대의 흐름, 워커힐 미술관
  • 1988년 `88 한국현대회화전, 대만
  • 1988년 `88 한국현대미술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0년 한국미술-오늘의 상황전, 예술의전당

수상

  • 1974년 제10회 한국미술협회원 전국회의장상
  • 1975년 제7회 까뉴국제회화제 국가상

주요작품

민족기록화

관련 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정창섭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A는 B를 그렸다
정창섭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A는 B를 그렸다
정창섭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A는 B를 그렸다
정창섭 정창섭-태백산전투 A는 B를 그렸다
정창섭 정창섭-인천항도크 A는 B를 그렸다
정창섭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A는 B를 그렸다

그래프

참고문헌

주석

  1. 고미석, 동아일보, "[명복을 빕니다정창섭 서울대 명예교수"] (2017년 3월 16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