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관계망)
(지식 관계망)
33번째 줄: 33번째 줄:
 
|출처= 동문선 제66권, 기(記), 『남행월 일기(南行月日記)』.<ref>"[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grpId=&itemId=BT&gubun=book&depth=5&cate1=Z&cate2=&dataGubun=최종정보&dataId=ITKC_BT_1365A_0660_010_0060&viewSync=OT 남행월 일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ref>}}
 
|출처= 동문선 제66권, 기(記), 『남행월 일기(南行月日記)』.<ref>"[http://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grpId=&itemId=BT&gubun=book&depth=5&cate1=Z&cate2=&dataGubun=최종정보&dataId=ITKC_BT_1365A_0660_010_0060&viewSync=OT 남행월 일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원효와 의천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21/E02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2017년 11월 24일 (금) 13:04 판

원효방
(元曉房)
대표명칭 원효방
한자표기 元曉房
소장처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 감교리
관련인물 원효(元曉)


정의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 개암사(開巖寺) 뒤에 위치한 석굴(石窟).[1]


내용

원효방(元曉房)은 개암사(開巖寺) 뒤 울금바위에 있는 석굴(石窟)로, 신라시대의 승려 원효대사(元曉大師)가 수도했다고 전해오는 곳이다. 원효방의 형태가 어떤 것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으나, 토굴이나 석굴일 것이다. 고려시대의 문신 이규보(李奎報)가 『남행월일기(南行月日記)』에 남긴 글로 보아, 이 석굴이 원효방으로 추정된다.[2]

원효방과 관련한 이야기

원효(元曉)는 삼국 통일 이후 부안에 왔는데, 그 시기엔 오랜 전쟁으로 백성들이 원한과 상처로 고통 받고 있었다. 백제 무왕왕사(王師)였던 묘련스님이 창건한 개암사 뒤 울금바위에 위치한 동굴에 원효가 왔다. 이 굴 옆에는 수백명이 머물 수 있는 대규모 굴들이 있었고, 울금바위 뒤쪽엔 백제부흥군들이 베를 짜 옷을 해 입었다는 베틀굴이 있었다. 원효는 이곳에서 가끔 저 김제평야로 나가서 야단법석(野壇法席)을 열었다. 야단법석에서 백성들과 함께 춤추며 원한과 갈등의 가슴을 어루만지고 상생의 노래를 불렀다. 그때 사복(蛇福)도 이 토굴에 같이 머물렀는데, 원효에게 차를 끓어주려고 해도 물이 없었는데, 난데없이 바위틈에서 물이 새어나와, 달콤한 차맛이 끊이지 않았다고 한다.[3]

Quote-left.png

다음날 부령현(扶寧縣) 현령(縣令) 이군(李君)과 다른 손[客] 6ㆍ7명과 더불어 원효방(元曉房)에 갔다. 나무 사다리가 있는데 높이가 수십 층이나 되어 발을 후들후들 떨면서 찬찬히 올라가니, 짚 앞의 계단과 창호(窓戶)가 수풀 끝에 솟아 있었다. 듣건대 종종 호랑이나 표범이 부여잡고 올라오려다가 올라오지 못한다 하였다. 곁에 한 암자(庵子)가 있는데 속전(俗傳)에 의하면 뱀포[蛇包] 성인(聖人)이 옛날에 머물던 곳인데, 원효(元曉)가 와서 살았으므로 뱀포도 또한 와서 모시고 있었는데, 차를 달여 효공(曉公)에게 드리려 하였으나 샘물이 없어 걱정을 하자 이 물이 바위 틈에서 문득 솟아났는데 물맛이 매우 달아 젖같아서 이로써 늘 차를 달였다 한다.

Quote-right.png
출처: 동문선 제66권, 기(記), 『남행월 일기(南行月日記)』.[4]


지식 관계망

  • 원효와 의천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제능가야산원효방병서 원효방 A는 B를 묘사하였다
원효방 원효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주석

  1. "원효방", 『원효의 유적지』online.
  2. "원효방", 『원효의 유적지』online.
  3. "원효방의 샘물", 원효대사 스토리뱅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4. "남행월 일기", 『한국고전종합DB』online, 한국고전번역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자원
    • "원효방의 샘물", 원효대사 스토리뱅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 "남행월 일기", 『한국고전종합DB』online, 한국고전번역원.
    • "원효방", 『원효의 유적지』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