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중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인물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손중돈 |한자표기=孫仲暾 |영문명칭= |본관=경주(慶州) |이칭= |시호=경절(景節) |호=우재(愚齋) |자=...)
 
(참고문헌)
68번째 줄: 68번째 줄:
 
<references/>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논문
 
**설석규, 「퇴계학파(退溪學派)의 분화(分化)와 병호시비(屛虎是非)(2) : 려강(호계)서원(廬江(虎溪)書院) 치폐(置廢) 전말(顚末) 」,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5, 경북대학교 퇴계학연구소, 2009.
 
 
===유용한 정보===
 
===유용한 정보===
 
*선애경, "[http://www.gjnews.com/default/index_view_page.php?part_idx=356&idx=33182 조선 중종조 명신 우재 손중돈 선생이 건립한 ‘관가정觀稼亭 ]", 『경주신문』, 작성일:2013년 06월 17일.
 
*선애경, "[http://www.gjnews.com/default/index_view_page.php?part_idx=356&idx=33182 조선 중종조 명신 우재 손중돈 선생이 건립한 ‘관가정觀稼亭 ]", 『경주신문』, 작성일:2013년 06월 17일.

2017년 11월 16일 (목) 02:16 판

손중돈(孫仲暾)
대표명칭 손중돈
한자표기 孫仲暾
생몰년 1463-1529
본관 경주(慶州)
시호 경절(景節)
우재(愚齋)
태발(泰發)
손소(孫昭)
유복하(柳復河)의 딸


정의

손중돈(孫仲暾, 1463-1529)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내용

생애 및 활동

1489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하고 예문관봉교(藝文館奉敎)와 여러 청환직(淸宦職)을 지냈다. 1497년 사복시정(司僕寺正) 때 파직당했으나 1506년 중종반정 직후 상주목사(尙州牧使)로 복귀하였다.[1] 후에 공조판서·이조판서·세자시강원빈객(世子侍講院賓客)을 지낸 뒤 도승지를 세 번, 대사헌을 네 번 지냈으며, 경상도·전라도·충청도·함경도의 관찰사를 지내고, 우참찬에 이르렀다. 중종 때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경주의 동강서원(東江書院), 상주의 속수서원(涑水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경절(景節)이다.[2]

학문적 업적

손중돈은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제자이자 매제인 이언적에게 김종직의 학통을 전수하였다. 이언적은 이후 이황을 중심으로 하는 영남학맥의 기원을 제공으므로 손중돈이 영남학맥 형성에 일정 부분 기여한 바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손소 손중도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손소 이번의 처 경주 손씨 A는 딸 B를 두었다 A ekc:hasDaughter B
이번 이번의 처 경주 손씨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이번 이언적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이번의 처 경주 손씨 이언적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손중존 이언적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김종직 손중돈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이언적 이황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손중돈 경주 동강서원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손중돈 상주 속수서원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관기정 손중돈 A는 B에 의해 건립되었다 A ekc:founder B

주석

  1. "손중돈", 『두산백과』online.
  2. 이찬희, "손중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