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태고암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7번째 줄: 7번째 줄:
 
|이칭=
 
|이칭=
 
|유형=
 
|유형=
|저자=[[보우|보우(普愚)]]  
+
|저자=[[보우(고려)|보우(普愚)]]  
 
|역자=
 
|역자=
 
|편자=  
 
|편자=  
29번째 줄: 29번째 줄:
  
 
=='''정의'''==
 
=='''정의'''==
고려 말에 태고 보우(普愚, 1301-1382)가 지은 한시.
+
고려 말에 [[보우(고려)|태고 보우(普愚, 1301-1382)]]가 지은 한시.
  
 
=='''내용'''==
 
=='''내용'''==
 
===개요===
 
===개요===
고려 말에 보우(普愚)가 지은 한시. 지은이는 고려말의 승려로 [[경한|백운(白雲)]]·[[혜근|나옹(懶翁)]]과 함께 여말3가(麗末三家)라고 불리고 있다. 『[[태고화상어록|태고화상어록(太古和尙語錄)]]』 상권에 수록되어 있다. [[고양 태고사|태고암]]은 지은이의 호로 삼각산에 암자를 짓고 붙인 이름이다.<ref>이종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8874 태고암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지은이 [[보우(고려)|보우(普愚)]]는 고려말의 승려로 [[경한|백운(白雲)]]·[[혜근|나옹(懶翁)]]과 함께 여말3가(麗末三家)라고 불리고 있다. 『[[태고화상어록|태고화상어록(太古和尙語錄)]]』 상권에 수록되어 있다. [[고양 태고사|태고암]]은 지은이의 호로 삼각산에 암자를 짓고 붙인 이름이다.<ref>이종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8874 태고암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태고암가의 형식===
 
===태고암가의 형식===
48번째 줄: 48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태고암가]] || [[보우]]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태고암가]] || [[보우(고려)]]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 [[태고화상어록]] || [[태고암가]]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태고화상어록]] || [[태고암가]]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보우]] || [[고양 태고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보우(고려)]] || [[고양 태고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보우]] || [[청공]]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보우(고려)]] || [[청공]]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2017년 11월 9일 (목) 12:50 판

태고암가(太古庵家)
대표명칭 태고암가
한자표기 太古庵家
저자 보우(普愚)
시대 고려



정의

고려 말에 태고 보우(普愚, 1301-1382)가 지은 한시.

내용

개요

지은이 보우(普愚)는 고려말의 승려로 백운(白雲)·나옹(懶翁)과 함께 여말3가(麗末三家)라고 불리고 있다. 『태고화상어록(太古和尙語錄)』 상권에 수록되어 있다. 태고암은 지은이의 호로 삼각산에 암자를 짓고 붙인 이름이다.[1]

태고암가의 형식

<태고암가>는 모두 82구로 7언이 주조를 이루며, 단을 바꿀 때 6언으로 된 구가 5구가 있다. 이 점은 불교가송의 한 특질이기도 하다. 한시의 형태로는 악부체(樂府體)에 속한다.[2]

태고암가의 내용

<태고암가>의 내용은 자신이 왜 ‘태고’라는 호를 취하게 되었는가에 대하여 “내 이 암자에 살고 있지만 나도 알지 못해, 깊고깊고 좁고좁지만 옹색함은 없다. <태고암가>는 태고암이라는 암자의 영물시(詠物詩)처럼 보일 수 있지만 태고암이 가지는 상징적 의미가 강하다. 태고라는 무한의 시간이 지금과 맞닿는 점에서 시간의 초월성을 보이고, 암자라는 좁은 공간에 천지사방을 수용한 공간의 초탈을 의미하였다.[3]

당시 중국의 명망 높은 승려인 석옥화상(石屋和尙)이 이 노래를 보고 바로 득도의 경지라 탄복하면서, 자신이 노래로 대답한 것이 <태고암가>의 발문처럼 남아 있다.[4]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태고암가 보우(고려)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태고화상어록 태고암가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보우(고려) 고양 태고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보우(고려) 청공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이종찬, "태고암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종찬, "태고암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이종찬, "태고암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이종찬, "태고암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이종찬, "태고암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사전연구사,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4. 온라인 참조: "국어국문학자료사전,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