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각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5번째 줄: 25번째 줄:
  
 
=='''내용'''==
 
=='''내용'''==
구곡각운(龜谷覺雲)은 [[보우|보우(普愚)]]의 법을 이은 [[혼수|혼수(混修)]]의 제자로, 숙부였던 [[연온|졸암(拙庵)]]이 지은 남원 만행산 [[남원 승련사|승련사(勝蓮寺)]]에 주석하였다. [[고려 공민왕|공민왕]]이 그의 도행(道行)을 숭배하여 『달마절로도강도(達磨折蘆渡江圖)』와 『보현육아백상도(普賢六牙白象圖)』등을 그려 주고, 또 '구곡각운(龜谷覺雲)'이라는 4자 친필을 하사하는 한편, '대조계종사 선교도총섭 숭신진승 근수지도 도대선사(大曹溪宗師禪敎都摠攝崇信眞乘勤修至道都大禪師)'라는 법호(法號)를 지어주었다. 1372년 [[고려 공민왕|공민왕]]에게 청하여 『전등록(景德傳燈錄)』을 중간하였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55691&cid=40942&categoryId=33382 각운]",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구곡각운(龜谷覺雲)은 [[보우(고려)|보우(普愚)]]의 법을 이은 [[혼수|혼수(混修)]]의 제자로, 숙부였던 [[연온|졸암(拙庵)]]이 지은 남원 만행산 [[남원 승련사|승련사(勝蓮寺)]]에 주석하였다. [[고려 공민왕|공민왕]]이 그의 도행(道行)을 숭배하여 『달마절로도강도(達磨折蘆渡江圖)』와 『보현육아백상도(普賢六牙白象圖)』등을 그려 주고, 또 '구곡각운(龜谷覺雲)'이라는 4자 친필을 하사하는 한편, '대조계종사 선교도총섭 숭신진승 근수지도 도대선사(大曹溪宗師禪敎都摠攝崇信眞乘勤修至道都大禪師)'라는 법호(法號)를 지어주었다. 1372년 [[고려 공민왕|공민왕]]에게 청하여 『전등록(景德傳燈錄)』을 중간하였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55691&cid=40942&categoryId=33382 각운]",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각운의 법계(法系)에 대해서는 이론이 있는데, 송광사개창비(松廣寺開創碑)에는 [[보우|태고보우(太古普愚)]]-[[혼수|환암혼수(幻菴混修)]]-구곡각운으로 기록하였고, 평안남도 평원군 법흥산 법흥사(法興寺)의 전등법맥(傳燈法脈)에도 [[보우|태고보우]]-[[혼수|환암혼수]]-구곡각운-[[정심|벽계정심(碧溪 淨心)]]-[[지엄|벽송지엄(碧松智嚴)]]-[[영관|부용영관(芙蓉靈觀)]]-[[휴정|청허휴정(淸虛休靜)]] 순으로 나열하였다. 그런데 각운과 직접 교유했던 [[이색|이색(李穡)]]은 각운을 [[연온|졸암(拙庵)]]의 직계 제자라고 하였다. 현재는 후자의 기록을 따르고 있는데, 전자가 [[휴정]]의 법맥을 [[보우]]에게 잇게 하려는 후세의 가필이라고 보기 때문이다.<ref>정병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0474 각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각운의 법계(法系)에 대해서는 이론이 있는데, 송광사개창비(松廣寺開創碑)에는 [[보우(고려)|태고보우(太古普愚)]]-[[혼수|환암혼수(幻菴混修)]]-구곡각운으로 기록하였고, 평안남도 평원군 법흥산 법흥사(法興寺)의 전등법맥(傳燈法脈)에도 [[보우(고려)|태고보우]]-[[혼수|환암혼수]]-구곡각운-[[정심|벽계정심(碧溪 淨心)]]-[[지엄|벽송지엄(碧松智嚴)]]-[[영관|부용영관(芙蓉靈觀)]]-[[휴정|청허휴정(淸虛休靜)]] 순으로 나열하였다. 그런데 각운과 직접 교유했던 [[이색|이색(李穡)]]은 각운을 [[연온|졸암(拙庵)]]의 직계 제자라고 하였다. 현재는 후자의 기록을 따르고 있는데, 전자가 [[휴정]]의 법맥을 [[보우(고려)|보우]]에게 잇게 하려는 후세의 가필이라고 보기 때문이다.<ref>정병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0474 각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관련항목'''==
 
=='''관련항목'''==

2017년 11월 9일 (목) 12:46 판

각운(覺雲)
BHST Monk1.png
대표명칭 각운
한자 覺雲
생몰년 ?-?
구곡(龜谷)
성씨 유씨(柳氏)
출신지 전라북도 남원


정의

고려 말기의 승려.

내용

구곡각운(龜谷覺雲)은 보우(普愚)의 법을 이은 혼수(混修)의 제자로, 숙부였던 졸암(拙庵)이 지은 남원 만행산 승련사(勝蓮寺)에 주석하였다. 공민왕이 그의 도행(道行)을 숭배하여 『달마절로도강도(達磨折蘆渡江圖)』와 『보현육아백상도(普賢六牙白象圖)』등을 그려 주고, 또 '구곡각운(龜谷覺雲)'이라는 4자 친필을 하사하는 한편, '대조계종사 선교도총섭 숭신진승 근수지도 도대선사(大曹溪宗師禪敎都摠攝崇信眞乘勤修至道都大禪師)'라는 법호(法號)를 지어주었다. 1372년 공민왕에게 청하여 『전등록(景德傳燈錄)』을 중간하였다.[1]

각운의 법계(法系)에 대해서는 이론이 있는데, 송광사개창비(松廣寺開創碑)에는 태고보우(太古普愚)-환암혼수(幻菴混修)-구곡각운으로 기록하였고, 평안남도 평원군 법흥산 법흥사(法興寺)의 전등법맥(傳燈法脈)에도 태고보우-환암혼수-구곡각운-벽계정심(碧溪 淨心)-벽송지엄(碧松智嚴)-부용영관(芙蓉靈觀)-청허휴정(淸虛休靜) 순으로 나열하였다. 그런데 각운과 직접 교유했던 이색(李穡)은 각운을 졸암(拙庵)의 직계 제자라고 하였다. 현재는 후자의 기록을 따르고 있는데, 전자가 휴정의 법맥을 보우에게 잇게 하려는 후세의 가필이라고 보기 때문이다.[2]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연온 각운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각운 정심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각운 수미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각운 이색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각주

  1. "각운",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정병조, "각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각운",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정병조, "각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