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괴산 각연사 대웅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25번째 줄: 25번째 줄:
  
 
=='''내용'''==
 
=='''내용'''==
각연사 대웅전은 석가모니를 모시는 법당으로 절의 중앙에 위치한다. 네모난 돌로 쌓은 기단 위에 정방향으로 놓여 있으며, 앞면 3칸·옆면 2칸으로 1층으로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집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21,01260000,33 괴산 각연사 대웅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각연사 대웅전은 석가모니를 모시는 법당으로 중앙에 위치한다. 네모난 돌로 쌓은 기단 위에 정방향으로 놓여 있으며 앞면 세 칸·옆면 두 칸으로 된 1층으로,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집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21,01260000,33 괴산 각연사 대웅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계 양식의 건물이다. 앞면 3칸에는 모두 빗살문을 달아 출입하게 하였고, 옆면 앞쪽에도 빗살문을 달았다. 내부에는 원형이 잘 남아있는 장엄한 닫집이 있고, 불상이 모셔져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21,01260000,33 괴산 각연사 대웅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계 양식의 건물이다. 앞면 세 칸에는 모두 빗살문을 달아 출입하게 하였고, 옆면 앞쪽에도 빗살문을 달았다. 내부에는 원형이 잘 남아 있는 장엄한 닫집이 있고, 불상을 모시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21,01260000,33 괴산 각연사 대웅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상량문에 의하면 그동안 각연사의 대웅전은 몇 차례 보수를 한 것으로 보인다. 융경 년간(1567~1572), 순치 년간(1644~1661), 강희 년간(1662~1722)에 보수를 하였고, [[조선 영조|영조]] 44년인 1768년에 중건을 하였다. 그리고 현대에 들어서는 1979년에 보수를 하였다.<ref>온누리49, "[http://rja49.tistory.com/entry/%EA%B9%8C%EB%A7%88%EA%B7%80%EA%B0%80-%EA%B9%A8%EB%8B%AC%EC%9D%8C%EC%9D%84-%EC%A3%BC%EC%97%88%EB%8B%A4%EB%8A%94-%EA%B4%B4%EC%82%B0-%EA%B0%81%EC%97%B0%EC%82%AC 까마귀가 깨달음을 주었다는 괴산 각연사]",걸어도 매번 그자리/사지 사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티스토리 - 바람이 머무는 곳』<sup>online</sup></online></html>.</ref>
+
상량문에 의하면 그동안 각연사 대웅전은 몇 차례 보수를 한 것으로 보인다. 융경 년간(1567~1572), 순치 년간(1644~1661), 강희 년간(1662~1722)에 보수했고, [[조선 영조|영조]] 44년인 1768년에 중건했다. 또한 현대에 들어서는 1979년에 보수를 했다.<ref>온누리49, "[http://rja49.tistory.com/entry/%EA%B9%8C%EB%A7%88%EA%B7%80%EA%B0%80-%EA%B9%A8%EB%8B%AC%EC%9D%8C%EC%9D%84-%EC%A3%BC%EC%97%88%EB%8B%A4%EB%8A%94-%EA%B4%B4%EC%82%B0-%EA%B0%81%EC%97%B0%EC%82%AC 까마귀가 깨달음을 주었다는 괴산 각연사]",걸어도 매번 그자리/사지 사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티스토리 - 바람이 머무는 곳』<sup>online</sup></online></html>.</ref>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40번째 줄: 40번째 줄:
 
| [[괴산 각연사 대웅전]] || [[괴산 각연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괴산 각연사 대웅전]] || [[괴산 각연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괴산 각연사 대웅전]] || [[대웅정]]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
  
55번째 줄: 56번째 줄: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승탑/검토요청]]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승탑/교열완료!]]

2017년 11월 4일 (토) 11:24 판

괴산 각연사 대웅전
(槐山 覺淵寺 大雄殿)
대표명칭 괴산 각연사 대웅전
한자표기 槐山 覺淵寺 大雄殿
영문명칭 Daeungjeon at Gagyeonsa Temple, Goesan
시대 조선시대
지정번호 충북유형문화재 제126호
지정일 1982년 12월 17일
소장처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각연길 451(태성리 38)
관련장소 괴산 각연사



정의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태성리 각연사(覺淵寺)에 있는 조선시대 법당.

내용

각연사 대웅전은 석가모니를 모시는 법당으로 절 중앙에 위치한다. 네모난 돌로 쌓은 기단 위에 정방향으로 놓여 있으며 앞면 세 칸·옆면 두 칸으로 된 1층으로,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집이다.[1]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계 양식의 건물이다. 앞면 세 칸에는 모두 빗살문을 달아 출입하게 하였고, 옆면 앞쪽에도 빗살문을 달았다. 내부에는 원형이 잘 남아 있는 장엄한 닫집이 있고, 불상을 모시고 있다.[2]

상량문에 의하면 그동안 각연사 대웅전은 몇 차례 보수를 한 것으로 보인다. 융경 년간(1567~1572), 순치 년간(1644~1661), 강희 년간(1662~1722)에 보수했고, 영조 44년인 1768년에 중건했다. 또한 현대에 들어서는 1979년에 보수를 했다.[3]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괴산 각연사 대웅전 괴산 각연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괴산 각연사 대웅전 대웅정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괴산 각연사 대웅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2. "괴산 각연사 대웅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3. 온누리49, "까마귀가 깨달음을 주었다는 괴산 각연사",걸어도 매번 그자리/사지 사찰, 『티스토리 - 바람이 머무는 곳』online.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