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더 읽을 거리)
1번째 줄: 1번째 줄:
 
{{개념정보
 
{{개념정보
 
|사진= 한글팀 행장 송강행장.jpg
 
|사진= 한글팀 행장 송강행장.jpg
|사진출처= 김양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49104&cid=51888&categoryId=53613  행장]",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네이버 지식백과.
+
|사진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49104&cid=51888&categoryId=53613  행장]",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네이버 지식백과.
 
|대표명칭= 행장
 
|대표명칭= 행장
 
|한자표기= 行狀
 
|한자표기= 行狀

2017년 11월 2일 (목) 02:25 판

행장
(行狀)
"행장",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네이버 지식백과.
대표명칭 행장
한자표기 行狀
유형 한문 문체의 하나, 한문학, 문학


정의

한문 문체의 하나로 죽은 사람의 행실을 간명하게 써서 보는 이로 하여금 죽은 사람을 직접 보는 것처럼 살펴볼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사명이 있다. [1]

내용

행장의 의미와 목적

행장의 행(行)이 행동거지를 의미하며,[2] 장(狀)은 모양이라는 뜻으로 행동거지를 의미한다. 행장은 죽은 사람의 문생이나 친구, 옛날 동료, 아니면 그 아들이 죽은 사람의 세계(世系)·성명·자호·관향(貫鄕)·관작(官爵)·생졸연월·자손록 및 평생의 언행 등을 서술하여 후일 사관(史官)들이 역사를 편찬하는 사료 또는 죽은 사람의 명문(銘文)·만장·비지·전기 등을 제작하는 데에 자료로 제공하려는 것이 작성 목적이다[3]

행장의 기원

≪문장연기(文章緣起)≫에 의하면 한대(漢代) 호간(胡幹)양원백(揚元伯)의 행장을 지은 것에서 시작되었다. 하지만 지금은 전하지 않아 그 체형이 어떠하였는지 알 수가 없다. 그밖의 행장도 한대에 유행되었다 하나 찾아보기가 어렵다. 이러한 점으로 보아 행장은 육조(六朝) 때에 와서야 일반화된 것이 아닌가 한다. 우리 나라에서의 행장의 역사는 그리 오래되지 않아 ≪속동문선(續東文選)≫에 처음 보이기 시작한다. 조선 초기 홍귀달(洪貴達)<광릉부원군 이극배 행장(廣陵府院君李克培行狀)>, 신종호(申從濩)<충정공 허종 행장(忠貞公許琮行狀)>, 박은(朴誾)<망실고령신씨 행장(亡室高靈申氏行狀>이 바로 그것이다. 이들도 물론 체형이 간결하고 번다한 차이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행장의 본래 체재를 어느 정도 유지하였다고 볼 수 있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행장 학봉 행장 언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행장 채제공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행장 주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행장 황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문장연기 행장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속동문선 행장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허목 행장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김도련, "행장(行狀)",『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행장(行狀),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3. 김도련, "행장(行狀)",『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김도련, "행장(行狀)",『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사료
    • 『월사집(月沙集)』
    • 『외재집(畏齋集)』
    • 『농암집(農巖集)』
    • 『송자대전(宋子大全)』
    • 『주자대전(朱子大全)』
    • 『문체명변(文體明辨)』

더 읽을 거리

  • 저서
    • 유민호, 『행장』, 메디치미디어, 2012.
    • Alexander Wylie, 『Memorials Of Protestant Missionaries To The Chinese: Giving A List Of Their Publications, And Obituary Notices Of The Deceased, With Copious Indexes (1867)』, Kessinger Publishing, LLC, 2008.
  • 논문
    • 김영, 「한글필사본 충무공행장에 대하여 : 새 자료 우리한글박물관 소장 『튱무공행장』을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 열상고전연구회, Vol.40 No.- , 2014, 231-260쪽.
    • 최석기, 「김우옹(金宇翁)이 지은「남명선생행장(南冥先生行狀)」의 서사(敍事)에 대하」, 『南冥學硏究』,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Vol.44 No.- , 2014, 39-76쪽.
    • 이은영, 「한국한자학(韓國漢字學)의 미학적(美學的) 접근(接近)(2) ; 조선시대 군왕 행장의 찬술 방식과 미의식」, 『東方漢文學』, 동방한문학회, Vol.49 No.- 2011, 251-28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