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금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참고문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단체정보 | {{단체정보 | ||
− | |사진= | + | |사진= government_office.png |
|사진출처= | |사진출처= | ||
|대표명칭= 의금부 | |대표명칭= 의금부 |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고려시대의 의금부 전신=== | ===고려시대의 의금부 전신=== | ||
− | 몽고의 지배를 받던 고려는 [[충렬왕]] 때 치안 유지를 위한 군사조직으로 [[순마소|순마소(巡馬所)]]를 설치하였다. 그것은 [[순군만호부|순군만호부(巡軍萬戶府)]]·[[사평순위부|사평순위부(司平巡衛府)]]로 명칭을 바꾸면서 포도(捕盜)·순작(巡綽)·금란(禁亂)의 임무를 계속하였다.<ref> 이상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138 의금부(義禁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몽고의 지배를 받던 고려는 [[충렬왕]] 때 치안 유지를 위한 군사조직으로 [[순마소|순마소(巡馬所)]]를 설치하였다. 그것은 [[순군만호부|순군만호부(巡軍萬戶府)]]·[[사평순위부|사평순위부(司平巡衛府)]]로 명칭을 바꾸면서 포도(捕盜)·순작(巡綽)·금란(禁亂)의 임무를 계속하였다.<ref> 이상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138 의금부(義禁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조선초기의 의금부 구성=== | ===조선초기의 의금부 구성=== | ||
− | 조선시대에 들어와 [[태종]] 초에 [[순위부|순위부(巡衛府)]]·[[의용순금사|의용순금사(義勇巡禁司)]]로 칭호가 바뀌었다. 의금부의 전신들은 왕조 창립과 왕권 확립에 공헌하였다. 순작과 범법자 처리 등의 임무를 계속 보았다. 그 뒤 왕권이 안정되어 정치·군사 제도를 정비하고 국가 재정의 궁핍을 해결하기 위한 용관(冗官 : 중요하지 않은 벼슬아치) 정리책으로 1414년 | + | 조선시대에 들어와 [[태종]] 초에 [[순위부|순위부(巡衛府)]]·[[의용순금사|의용순금사(義勇巡禁司)]]로 칭호가 바뀌었다. 의금부의 전신들은 왕조 창립과 왕권 확립에 공헌하였다. 순작과 범법자 처리 등의 임무를 계속 보았다. 그 뒤 왕권이 안정되어 정치·군사 제도를 정비하고 국가 재정의 궁핍을 해결하기 위한 용관(冗官 : 중요하지 않은 벼슬아치) 정리책으로 1414년 [[의용순금사]]를 의금부로 개편해 사법 전담기관으로 독립시켰다. 그리고 [[녹관|녹관(祿官)]]을 없애 [[구전관|구전관(口傳官 : 無祿官)]]을 둔다 했는데 구전관 배치는 잘 지켜지지 않은 것 같다.<ref> 이상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138 의금부(義禁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의금부의 시대별 명칭 변경=== | ===의금부의 시대별 명칭 변경=== | ||
− | [[의금부]]는 1894년 | + | [[의금부]]는 1894년 [[갑오경장]] 때 [[의금사]]로 이름이 바뀌고 [[법무아문|법무아문(法務衙門)]]에 속하였다. 다음 해에 [[고등재판소|고등재판소(高等裁判所)]]로 바뀌었다. 다시 1899년에 [[평리원|평리원(評理院)]]으로 개편되었다.<ref> 이상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138 의금부(義禁府)]",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73번째 줄: | 73번째 줄: | ||
<references/>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사료 | *사료 | ||
78번째 줄: | 79번째 줄: | ||
**『조선왕조실록』 | **『조선왕조실록』 | ||
**『한경식략』 | **『한경식략』 | ||
− | + | --> | |
===더 읽을 거리=== | ===더 읽을 거리=== | ||
− | * | + | *단행본 |
** 金吾憲錄, 『의금부의 청헌(廳憲), 금오헌록』, 보고사, 2016. | ** 金吾憲錄, 『의금부의 청헌(廳憲), 금오헌록』, 보고사, 2016. | ||
*논문 | *논문 | ||
− | ** 김진옥, 「金吾憲錄 譯注」,고려대학교 대학원 | + | ** 김진옥, 「金吾憲錄 譯注」,고려대학교 대학원 고전번역협동과정 고전번역전공 박사학위논문, 2016. |
− | ** 김형중, 「조선초기의 순군만호부(巡軍萬戶府)의 조직과 기능에 관한 연구」, 『역사와 | + | ** 김형중, 「조선초기의 순군만호부(巡軍萬戶府)의 조직과 기능에 관한 연구」, 『역사와 경계』90, 부산경남사학회, 2014, 155-187쪽. |
− | ** 김영석, 「義禁府의 조직과 추국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대학원 | + | ** 김영석, 「義禁府의 조직과 추국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박사학위논문, 2013. |
− | ** 李相寔, 「義禁府考」, | + | ** 李相寔, 「義禁府考」, 『法史學硏究』4, 한국법사학회, 1977, 1-49쪽. |
− | ** 이상식, 「義禁府考」, 전남대학교 | + | ** 이상식, 「義禁府考」,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4. |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한글고문서]] | ||
[[분류:단체]] | [[분류:단체]] |
2017년 11월 1일 (수) 01:05 판
의금부(義禁府) | |
대표명칭 | 의금부 |
---|---|
한자표기 | 義禁府 |
이칭 | 조옥(詔獄)·금부(禁府)·왕부(王府)·금오(金吾) |
유형 | 관청, 제도 |
창립시대 | 조선 |
목차
정의
조선시대 특별사법 관청으로 포도(捕盜)·순작(巡綽)·금란(禁亂)의 임무를 관장하였다. 정약용(丁若鏞)은 "의금부가 옥사(獄事)를 다스리는 관가이고 순찰하는 책임이 없으니 금오(金吾)라 부르는 것은 잘못이다."라고 하였다. [1]
내용
고려시대의 의금부 전신
몽고의 지배를 받던 고려는 충렬왕 때 치안 유지를 위한 군사조직으로 순마소(巡馬所)를 설치하였다. 그것은 순군만호부(巡軍萬戶府)·사평순위부(司平巡衛府)로 명칭을 바꾸면서 포도(捕盜)·순작(巡綽)·금란(禁亂)의 임무를 계속하였다.[2]
조선초기의 의금부 구성
조선시대에 들어와 태종 초에 순위부(巡衛府)·의용순금사(義勇巡禁司)로 칭호가 바뀌었다. 의금부의 전신들은 왕조 창립과 왕권 확립에 공헌하였다. 순작과 범법자 처리 등의 임무를 계속 보았다. 그 뒤 왕권이 안정되어 정치·군사 제도를 정비하고 국가 재정의 궁핍을 해결하기 위한 용관(冗官 : 중요하지 않은 벼슬아치) 정리책으로 1414년 의용순금사를 의금부로 개편해 사법 전담기관으로 독립시켰다. 그리고 녹관(祿官)을 없애 구전관(口傳官 : 無祿官)을 둔다 했는데 구전관 배치는 잘 지켜지지 않은 것 같다.[3]
의금부의 시대별 명칭 변경
의금부는 1894년 갑오경장 때 의금사로 이름이 바뀌고 법무아문(法務衙門)에 속하였다. 다음 해에 고등재판소(高等裁判所)로 바뀌었다. 다시 1899년에 평리원(評理院)으로 개편되었다.[4]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의금부 | 순마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의금부 | 순군만호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의금부 | 사평순위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의금부 | 순위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의금부 | 의용순금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의금부 | 의금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의금부 | 법무아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의금부 | 고등재판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의금부 | 평리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의금부 | 명성대비전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의금부 | 자휼전칙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의금부 | 신유사옥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의금부 | 기해박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주석
- ↑ 이상식, "의금부(義禁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상식, "의금부(義禁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상식, "의금부(義禁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상식, "의금부(義禁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金吾憲錄, 『의금부의 청헌(廳憲), 금오헌록』, 보고사, 2016.
- 논문
- 김진옥, 「金吾憲錄 譯注」,고려대학교 대학원 고전번역협동과정 고전번역전공 박사학위논문, 2016.
- 김형중, 「조선초기의 순군만호부(巡軍萬戶府)의 조직과 기능에 관한 연구」, 『역사와 경계』90, 부산경남사학회, 2014, 155-187쪽.
- 김영석, 「義禁府의 조직과 추국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박사학위논문, 2013.
- 李相寔, 「義禁府考」, 『法史學硏究』4, 한국법사학회, 1977, 1-49쪽.
- 이상식, 「義禁府考」,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