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강진 월남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계정보)
23번째 줄: 23번째 줄:
  
 
=='''내용'''==
 
=='''내용'''==
월남사(月南寺)의 창건을 밝힐 수 있는 확실한 문헌은 전하지 않으나, 『[[신증동국여지승람|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고려승 진각초창 유이규보비(高麗 僧眞覺初創 有李奎報碑)’라 하여 [[순천 송광사|송광사(松廣寺)]] 제2세인 [[혜심|진각국사(眞覺國師)]]가 창건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으로 보면 월남사는 고려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조선시대 [[임진왜란|임진왜란]]·[[정유재란]]을 겪으면서 소실되고 그 뒤 복원불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17세기 중반 이미 폐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ref>이영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958 월남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월남사(月南寺)의 창건을 밝힐 수 있는 확실한 문헌은 전하지 않으나, 『[[신증동국여지승람|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고려승 진각초창 유이규보비(高麗 僧眞覺初創 有李奎報碑)’라 하여 [[순천 송광사|송광사(松廣寺)]] 제2세인 [[혜심|진각국사(眞覺國師)]]가 창건하였다. 이 기록에 따라 월남사는 고려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조선시대 [[임진왜란]]·[[정유재란]]을 겪으면서 소실되고 이후 복원불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17세기 중반 폐찰된 것으로 보인다.<ref>이영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958 월남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50번째 줄: 50번째 줄: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분류:승탑/검토요청]]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분류:승탑/교열완료!]]

2017년 10월 31일 (화) 23:17 판

강진 월남사
(康津 月南寺)
대표명칭 강진 월남사
영문명칭 Wollamsa Temple, Gangjin
한자 康津 月南寺
건립시기 고려시대
창건자 혜심(慧諶)



정의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에 있었던 절.

내용

월남사(月南寺)의 창건을 밝힐 수 있는 확실한 문헌은 전하지 않으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고려승 진각초창 유이규보비(高麗 僧眞覺初創 有李奎報碑)’라 하여 송광사(松廣寺) 제2세인 진각국사(眞覺國師)가 창건하였다. 이 기록에 따라 월남사는 고려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조선시대 임진왜란·정유재란을 겪으면서 소실되고 이후 복원불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17세기 중반 폐찰된 것으로 보인다.[1]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강진 월남사지 강진 월남사 A는 B의 터이다 A edm:isRelatedTo B
강진 월남사 혜심 A는 B가 창건하였다 A ekc:founder B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강진 월남사 A는 B에 있었다 A edm:formerLocation B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혜심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 강진 월남사 A는 B에 있었다 A edm:formerLocation B

주석

  1. 이영문, "월남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