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유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한글팀 일러 조선중년문관.png  
+
|사진=joseon_mungwan_mid.pn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서유문
 
|대표명칭=서유문
19번째 줄: 19번째 줄:
 
|대표직함=
 
|대표직함=
 
|배우자=
 
|배우자=
|부= 서직수(徐直修)
+
|부= [[서직수|서직수(徐直修)]]
|모= 조영극(趙榮克)의 딸
+
|모= 서직수 처 양주 조씨
 
|자녀=
 
|자녀=
 
|전임자=
 
|전임자=
30번째 줄: 30번째 줄:
 
}}
 
}}
 
==정의==
 
==정의==
서유문(徐有聞, 1762-1822)은 조선의 문신이다.
+
[[서유문|서유문(徐有聞, 1762-1822)]]은 조선의 문신이다.
  
 
==내용==
 
==내용==
 
===생애===
 
===생애===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학수(鶴叟). 서종엽(徐宗曄)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서명인(徐命仁)이고, 아버지는 관찰사 서직수(徐直修)이다. 어머니는 조영극(趙榮克)의 딸이다.
+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학수(鶴叟). [[서종엽|서종엽(徐宗曄)]]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서명인|서명인(徐命仁)]]이고, 아버지는 관찰사 [[서직수|서직수(徐直修)]]이다. 어머니는 [[조영극|조영극(趙榮克)]]의 딸이다.
 
===관직활동===
 
===관직활동===
서유문의 관직생활은 수차례 유배와 제직, 복관을 반복하는 등 평탄치 않았다.  
+
[[서유문]]의 관직생활은 수차례 유배와 제직, 복관을 반복하는 등 평탄치 않았다.  
1787년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고 대사간, 충청감사, 이조참의, 의주부윤, 평안감사 및 사옹원(司饔院)의 감선제조(監膳提調) 등을 역임하면서 천릉도감(遷陵都監)에서 일한 공로로 가자(加資)되었다. 1822년에는 이조참판에 제수되었다.<ref>박광용,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113 서유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1787년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고 대사간, 충청감사, 이조참의, 의주부윤, 평안감사 및 [[사옹원|사옹원(司饔院)]]의 감선제조(監膳提調) 등을 역임하면서 천릉도감(遷陵都監)에서 일한 공로로 가자(加資)되었다. 1822년에는 이조참판에 제수되었다.<ref>박광용,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113 서유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사행과 연행록===
+
===사행과 [[무오연행록]]===
1798년에 동지사(冬至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임명되어 사행을 떠났으며 이듬해에 귀국하였다. 귀국 후 한글로 된 기행문인 『무오연행록(戊午燕行錄)』을 저술하였다.<ref>박광용,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113 서유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1798년에 동지사(冬至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임명되어 사행을 떠났으며 이듬해에 귀국하였다. 귀국 후 한글로 된 기행문인 『[[무오연행록|무오연행록(戊午燕行錄)]]』을 저술하였다.<ref>박광용,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113 서유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무오연행록은 청나라에서의 견문(見聞) · 경과사(經過事) · 감상(感想)을 6권에 걸쳐 상세히 적은 기행문으로, 박지원(朴趾源)의 『열하일기(熱河日記)』보다 17년 뒤에 나왔다. 이 작품의 특색은 한문으로 된 다른 기행문에 비하여 한글로 씌어졌다는 점이다.<ref>이응백 외,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네이버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89384&cid=41708&categoryId=41711 서유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2017년 10월 30일 (월) 23:35 판

서유문(徐有聞)
Joseon mungwan mid.png
대표명칭 서유문
한자표기 徐有聞
생몰년 1762-1822
본관 달성(達城)
학수(鶴叟)
서직수(徐直修)
서직수 처 양주 조씨


정의

서유문(徐有聞, 1762-1822)은 조선의 문신이다.

내용

생애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학수(鶴叟). 서종엽(徐宗曄)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서명인(徐命仁)이고, 아버지는 관찰사 서직수(徐直修)이다. 어머니는 조영극(趙榮克)의 딸이다.

관직활동

서유문의 관직생활은 수차례 유배와 제직, 복관을 반복하는 등 평탄치 않았다. 1787년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고 대사간, 충청감사, 이조참의, 의주부윤, 평안감사 및 사옹원(司饔院)의 감선제조(監膳提調) 등을 역임하면서 천릉도감(遷陵都監)에서 일한 공로로 가자(加資)되었다. 1822년에는 이조참판에 제수되었다.[1]

사행과 무오연행록

1798년에 동지사(冬至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임명되어 사행을 떠났으며 이듬해에 귀국하였다. 귀국 후 한글로 된 기행문인 『무오연행록(戊午燕行錄)』을 저술하였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무오연행록 서유문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서종엽 서유문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무오연행록 열하일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열하일기 박지원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787년 서유문이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98년 서유문이 동지사(冬至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임명되어 사행을 떠났다
1799년 서유문무오연행록을 저술하였다

주석

  1. 박광용, "서유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박광용, "서유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