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화엄경탐현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관련항목)
41번째 줄: 41번째 줄:
 
| [[화엄경탐현기]] || [[화엄경]]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화엄경탐현기]] || [[화엄경]]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화엄경탄현기]] || [[법장]]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화엄경탐현기]] || [[법장]]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 [[법장]] || [[의상]] || A는 B의 동문이다 || A ekc:isFellowOf B
 
| [[법장]] || [[의상]] || A는 B의 동문이다 || A ekc:isFellowOf B

2017년 10월 30일 (월) 15:45 판

화엄경탐현기(華嚴經探玄記)
대표명칭 화엄경탐현기
한자표기 華嚴經探玄記
편자 법장(法藏)
간행시기 687-695년
시대 중국 당(唐)
수량 20권



정의

중국 당나라 승려 법장(法藏, 643-712)이 지은 『화엄경』의 주석서.

내용

불타발타라가 번역한 60권의 『화엄경』을 해석하여 화엄종의 종지를 밝힌 책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 『화엄경탐현기』는 미처 완성되기도 전에 신라에 전해졌다고 하는데, 그것은 법장이 신라의 승전 스님을 통해 두 권이 미완성인 상태로 의상 스님에게 보냈기 때문이라고 한다. [1]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화엄경탐현기 화엄경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화엄경탐현기 법장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법장 의상 A는 B의 동문이다 A ekc:isFellowOf B

시간정보

주석

  1. 진현종, 『한 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들녘, 2007. 온라인 참조: "화엄경탐현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 진현종, 『한 권으로 읽는 팔만대장경』, 들녘, 2007. 온라인 참조: "화엄경탐현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화엄경탐현기,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