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충주 정토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내용)
22번째 줄: 22번째 줄:
  
 
=='''내용'''==
 
=='''내용'''==
정토사는 정토산 자락에 있는 고려시대의 절로, 1983년부터 1984년 발굴 때 고려전기와 조선전기의 건물터가 확인되었다. '정토사(淨土寺)'와 '개천사(開天寺)'라 쓰인 명문 기와가 발견되어 이곳이 정토사가 있던 자리임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1530년대에는 '개천사'로 불렸으며 고려 역대 왕조의 실록을 보관하였던 곳이라고 한다. <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95284 정토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정토사(淨土寺)는 정토산 자락에 있는 고려시대의 절로, 1983년부터 1984년 발굴 때 고려 전기와 조선 전기의 건물터가 확인되었다. '정토사(淨土寺)'와 '개천사(開天寺)'라 쓰인 명문 기와가 발견되어 이곳이 정토사가 있던 자리임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1530년대에는 '개천사'로 불렸으며 고려 역대 왕조의 실록을 보관하였던 곳이라고 한다. <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95284 정토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한편 『충청도읍지(忠淸道邑誌)』에는 “개천사재정토산하금폐(開天寺在淨土山下今廢)”라는 내용이 남아 있어 [[조선 영조|영조]], [[조선 정조|정조]] 연간에는 이미 사찰이 폐사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ref>장준식,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901918 정토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한편 『충청도읍지(忠淸道邑誌)』에는 “개천사재정토산하금폐(開天寺在淨土山下今廢)”라는 내용이 남아 있어 [[조선 영조|영조]], [[조선 정조|정조]] 연간에는 이미 사찰이 폐사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ref>장준식,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901918 정토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2017년 10월 30일 (월) 13:25 판

충주 정토사
(忠州 淨土寺)
대표명칭 충주 정토사
한자 忠州 淨土寺



정의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에 있었던 고려시대의 절.

내용

정토사(淨土寺)는 정토산 자락에 있는 고려시대의 절로, 1983년부터 1984년 발굴 때 고려 전기와 조선 전기의 건물터가 확인되었다. '정토사(淨土寺)'와 '개천사(開天寺)'라 쓰인 명문 기와가 발견되어 이곳이 정토사가 있던 자리임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1530년대에는 '개천사'로 불렸으며 고려 역대 왕조의 실록을 보관하였던 곳이라고 한다. [1]

한편 『충청도읍지(忠淸道邑誌)』에는 “개천사재정토산하금폐(開天寺在淨土山下今廢)”라는 내용이 남아 있어 영조, 정조 연간에는 이미 사찰이 폐사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2]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충주 정토사 A는 B에 있었다 A edm:formerLocation B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충주 정토사 A는 B에 있었다 A edm:formerLocation B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충주 정토사 A는 B에 있었다 A edm:formerLocation B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현휘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홍법국사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충주 정토사지 충주 정토사 A는 B의 터이다 A edm:isRelatedTo B
충주 정토사 고려왕조실록 A는 B와 관련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530년대 정토사개천사로 불렸다.

주석

  1. "정토사지", 『두산백과』online.
  2. 장준식, "정토사지",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정토사지", 『두산백과』online.
  • 장준식, "정토사지",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