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구곡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48번째 줄: 48번째 줄: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무이구곡도가]] || [[고산구곡가]] || A는 B의 모델이다 ||  
+
| [[무이구곡도가]] || [[고산구곡가]] || A는 B의 본보기이다 || A dcterms:isReferencedBy B
 
|-
 
|-
| [[고산구곡]] || [[고산구곡가]] || A는 B의 모델이다 ||  
+
| [[고산구곡]] || [[고산구곡가]] || A는 B의 본보기이다 || A dcterms:isReferencedBy B
 
|-
 
|-
| [[고산구곡가]] || [[고산구곡도]] || A는 B의 모델이다 ||  
+
| [[고산구곡가]] || [[고산구곡도]] || A는 B의 본보기이다 || A dcterms:isReferencedBy B
 
|-
 
|-
| [[고산구곡가]] || [[고산구곡도]] || A는 B에 포함된다 ||  
+
| [[고산구곡가]] || [[고산구곡도]] || A는 B에 포함된다 || A dcterms:isPartOf B
 
|-
 
|-
| [[이이]] || [[고산구곡가]] || A는 B를 저술하였다 || 1578년
+
| [[고산구곡가]] || [[이이]]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2017년 10월 29일 (일) 02:09 판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
"고산구곡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고산구곡가
한자표기 高山九曲歌
영문명칭 Nine poems of Gosan composed by Yi Yi
저자 이이
역자 송시열
저술시기 1578년
시대 조선
표기문자 한글, 한자


정의

율곡 이이가 43세 때 황해도 해주 석담(石潭)에 은거할 때 지은 10수의 연시조(聯時調)로서 〈석담구곡가(石潭九曲歌)〉라고도 한다.[1]

내용

율곡 이이가 43세 때 황해도 해주 석담(石潭)에 은거할 때 지은 10수의 연시조(聯時調)로서 〈석담구곡가(石潭九曲歌)〉라고도 한다. 주자(朱子)〈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를 본떠서 지었다고 한다.(栗谷先生年譜) 그 첫수는 서곡(序曲)이고, 둘째 수부터 제1곡으로 시작하여 제9곡까지 읊었다. 즉 제1곡은 관암(冠岩), 2곡은 화암(花岩), 3곡은 취병(翠屛), 4곡은 송애(松崖), 5곡은 은병(隱屛), 6곡은 조협(釣峽), 7곡은 풍암(楓岩), 8곡은 금탄(琴灘), 9곡은 문산(文山) 등으로 나누어 각각 그곳의 경치를 한 수의 시조로 읊어 놓았다. 이황〈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과 좋은 대조작이다.[2]

이이가 애초 한글[諺文]로 작성하였고, 이후 송시열(宋時烈)이 오언의 한역시로 번역하기도 했다.


연계 자원 보러 가기
고산구곡가 (해독)
고산구곡도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무이구곡도가 고산구곡가 A는 B의 본보기이다 A dcterms:isReferencedBy B
고산구곡 고산구곡가 A는 B의 본보기이다 A dcterms:isReferencedBy B
고산구곡가 고산구곡도 A는 B의 본보기이다 A dcterms:isReferencedBy B
고산구곡가 고산구곡도 A는 B에 포함된다 A dcterms:isPartOf B
고산구곡가 이이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578년 이이고산구곡가를 창작하였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이응백·김원경·김선풍,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고산구곡가",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고산구곡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응백·김원경·김선풍,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고산구곡가",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고산구곡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43쪽
  4. "고산구곡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이곳에서 소개된 『율곡전서』 수록 한역본 이미지이다.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이응백·김원경·김선풍,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고산구곡가",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고산구곡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1. 이민홍, 『사림파문학의 연구』, 형설출판사, 1985.
    2. 최진원, 『국문학과 자연』,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77.
  • 논문
    1. 고정희, 「〈도산십이곡〉과 〈고산구곡가〉의 언어적 차이와 시가사적 의의」, 『국어국문학』제141호, 국어국문학회, 2005.
    2. 권오성, 「율곡의 고산구곡가 율자보에 대한 소고」, 『제3회 국제학술회의논문집』,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3. 이민홍, 「고산구곡가와 무이도가고 1·2」, 『개신어문연구』1·2, 충북대학교, 1981-1982.
  • 웹자원
    1. 전관수, "고산구곡금탄", 『한시작가작품사전』, 국학자료원, 2007. 온라인 참조: "고산구곡금탄", 한시작가작품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