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령대군 이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효령대군 문서로 넘겨주기)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정보
+
#넘겨주기 [[효령대군]]
|사진=한글팀_효령대군_01_효령대군_이보_묘역.JPG
 
|사진출처=한충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651 효령대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효령대군
 
|한자표기=孝寧大君
 
|영문명칭=
 
|본관=[[전주 이씨]]
 
|이칭=
 
|시호=정효(靖孝)
 
|호=연강(蓮江)
 
|자=
 
|생년=1396년
 
|몰년=1486년
 
|출생지=
 
|사망지=
 
|시대=
 
|국적=
 
|대표저서=
 
|대표직함=
 
|배우자=
 
|부=[[조선 태종|태종]]
 
|모=[[원경황후 민씨]]
 
|자녀=
 
|전임자=
 
|후임자=
 
|상훈=
 
|능묘=과천임산원(壬山原)
 
|성격=왕자
 
|유형=인물
 
}}
 
=='''정의'''==
 
1396(태조 5)-1486(성종 17). 조선 전기의 왕자.
 
=='''내용'''==
 
 
 
===[[효령대군]]에 대하여===
 
이름은 이보(李補)[원문은 李礻+甫]. 초명은 이호(李祜). 자는 선숙(善叔), 호는 연강(蓮江). [[조선 태종|태종]]의 둘째아들이며, 어머니는 [[원경왕후 민씨|원경왕후 민씨(元敬王后 閔氏)]]이다. 또한 [[조선 세종|세종대왕]]의 형이다. 1407년(태종 7) 효령군(孝寧君)에 봉해지고, 1412년[[효령대군]]으로 진봉(進封)되었다.<ref>한충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651 효령대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효령대군]]의 활동===
 
*1429년(세종 11) [[관악사|관악사(冠岳寺)]]를 삼창(三創)하고, 약사여래상(藥師如來像), 미륵존상(彌勒尊像) 및 삼층석탑을 조성하였다. 그리고 월출산 [[무위사|무위사(無爲寺)]]의 중창을 지유(指諭)하고, 만덕산 [[백련사|백련사(白蓮寺)]] 중창의 시주(施主)가 되었다. 1430년(세종 12)에 왕명을 받아 어용(御容)과 『[[선원록|선원록(璿源錄)]]』을 새로 조성한 선원전(璿源殿)에 봉안하였다. 그리고 그 해 윤12월에 문소전(文昭殿)의 친제(親祭)에 종헌관(終獻官)으로 참례하였다. 또한 1432년 한강에서 7일간 수륙재(水陸齋)를 개최하였다. 1434년 1월에는 친형 [[양녕대군|양녕대군(讓寧大君)]]과 함께 계달문서(啓達文書)에 이름을 쓰지 않도록 조처하였다. 그 해 4월 [[회암사|회암사(檜巖寺)]]의 중수를 건의하고, 1435년 [[회암사]]에서 불사를 개최하였다. 그리고 5월에는 흥천사탑전(興天寺塔殿)의 수리를 관장하였다. 1438년경에 『부모은중장수태골경합부(父母恩重長壽胎骨經合部)』를 사경(寫經)해 천안 광덕사(廣德寺)에 시주하였다. 1452년(단종 즉위년)에는 용문산 상원사(上元寺)에 종을 주조해 봉안하였다. 그리고 1454년에는 1447년에 조성한 태안사(泰安寺) 대발(大鉢)을 개조하였다.<ref>한충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651 효령대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1458년(세조 4)에는 [[조선 태조|태조]]가 1398년(태조 7)에 지은 함흥 [[선향헌목|선향헌목(璿鄕憲目)]]의 [[선향헌목 서문|서문]]을 지었다. 그리고 1469년에 함흥에 가서 [[향헌법 56조]]를 만들어 시행토록 하였다. 그런 한편 1460년 4월에는 왕세자빈의 책봉사가 되었다. 1464년 5월 [[회암사]]에서 원각법회(圓覺法會)를 개최했으며, 그 해 5월부터 이듬 해 4월까지 원각사 조성도감도제조로 활동하였다. 1463년『[[법화경]]』, 1464년『[[선종영가집|선종영가집(禪宗永嘉集)]]』과 『[[금강경]]』, 1465년『[[반야바라밀다심경|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을 언해하고, 『[[원각경]]』을 수교(讐校)하였다. 1482년(성종 13)에는 [[강진만덕사|강진만덕사(萬德寺)]]에 영세불절(永世不絶)의 수류개를 위한 전답 10결(結)을 시주하였다.<ref>한충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651 효령대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
 
===[[효령대군]] 후손과 그의 업적===
 
좌찬성 [[정역(鄭易]])의 딸인 [[예성부부인|예성부부인(蘂城府夫人)]]과의 사이에 6남 1녀, 측실에서 1남 1녀를 두었다. 효성과 우애가 지극했고 [[조선 세종|세종]], [[조선 문종|문종]], [[조선 단종|단종]], [[조선 세조|세조]], [[조선 예종|예종]], [[조선 성종|성종]]의 연고존친(年高尊親)으로서 극진한 존경과 대우를 받았다. 불교를 숭상하고 선가(禪家)에 적을 두면서 많은 불사를 주관했기 때문에 유학자들로부터 비판이 많았지만, 불교의 보호와 진흥에 공헌한 바 크다. 묘는 경기도 과천임산원(壬山原)에 있다. 1736년(영조 12) 묘하(墓下)에 청권사(淸權祠)가 건립되고, 1789년(정조 13) 사액(賜額)되었다. 그리고 1865년(고종 2) [[양녕대군]]과 함께 세종묘에 추가로 배향되었다. 시호는 정효(靖孝)이다.<ref>한충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651 효령대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조선 태종]]||[[효령대군]]||A는 B의 아버지이다||A ekc:hasSon B
 
|-
 
|[[원경왕후 민씨]]||[[효령대군]]||A는 B의 어머니이다||A ekc:hasSon B
 
|-
 
|[[조선 세종]]||[[효령대군]]||A는 B의 형제이다||A ekc:hasBrother B
 
|-
 
|[[관악사]]||[[효령대군]]||A는 B에 의해 중건되었다||A ekc:renovator B
 
|-
 
|[[무위사]]||[[효령대군]]||A는 B에 의해 중건되었다||A ekc:renovator B
 
|-
 
|[[백련사]]||[[효령대군]]||A는 B에 의해 중건되었다||A ekc:renovator B
 
|-
 
|[[화엄사]]||[[효령대군]]||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조선 태조]]||[[조선 태종]]||A는 B의 아버지이다||A ekc:hasSon B
 
|-
 
|[[선향헌목]]||[[조선 태조]]||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A dcterms:creator B
 
|-
 
|[[선향헌목 서문]]||[[효령대군]]||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A dcterms:creator B
 
|-
 
|[[선향헌목]]||[[선향헌목 서문]]||A는 B를 포함한다||A dcterms:hasPart B
 
|-
 
|[[향헌법 56조]]||[[효령대군]]||A는 B에 의해 창시되었다||A dcterms:creator B
 
|-
 
|[[반야바라밀다심경]]||[[효령대군]]||A는 B에 의해 언해되었다||A ekc:translator B
 
|-
 
|[[효령대군]]||[[예성부부인]]||A는 B의 남편이다||A ekc:hasWife B
 
|-
 
|[[월인천강지곡]]||[[효령대군]]||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대불정수능엄경]]||[[효령대군]]||A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1398년||[[조선 태조|태조]]가 [[선향헌목]]을 지었다
 
|-
 
|1429년||[[효령대군]]은 [[관악사]] [[무위사]] [[백련사]]를 중창하였다
 
|-
 
|1434년||[[효령대군]]은 [[화엄사]]와 관련이 있다
 
|-
 
|1449년||[[효령대군]]과 [[월인천강지곡]]은 관련이 있다
 
|-
 
|1458년||[[효령대군]]이 [[선향헌목 서문]]을 저술했다
 
|-
 
|1462년||[[효령대군]]과 [[대불수능엄경]]은 관련이 있다
 
|-
 
|1469년||[[효령대군]]은 [[향헌법 56조]]를 만들었다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37.482767||127.000017||[[효령대군]]의 묘가 여기에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gallery>
 
파일:한글팀_효령대군_01_효령대군_이보_묘역.JPG | 효령대군 이보 묘역
 
</gallery>
 
 
 
=='''주석'''==
 
<references/>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논문
 
**김정희, 「孝寧大君과 朝鮮 初期 佛敎美術( 後援者를 통해 본 朝鮮 初期 王室의 佛事)」, 『美術史論壇』, Vol 25, 2007, 107-150쪽.
 
**인용민, 「효령대군이보(孝寧大君李補)(1396~1486)의 불사(佛事) 활동(活動)과 그 의의(意義)」, 『禪文化硏究』, Vol 5, 2008, 25-60쪽.
 
 
 
===유용한 정보===
 
*한충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651 효령대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분류:한글고문서]]
 
[[분류:인물]]
 
[[분류:이창섭]]
 

2017년 10월 28일 (토) 16:17 기준 최신판

넘겨줄 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