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추출정보)
70번째 줄: 70번째 줄:
 
|-
 
|-
 
|{{PAGENAME}} || ~에 소장되어 있다 ||[[태화빌딩]]  
 
|{{PAGENAME}} || ~에 소장되어 있다 ||[[태화빌딩]]  
 +
|-
 +
|{{PAGENAME}} || ~을 배경으로 한다 ||[[태화관]]
 
|-
 
|-
 
|{{PAGENAME}} || ~을 소재로 삼다 ||[[손병희]]
 
|{{PAGENAME}} || ~을 소재로 삼다 ||[[손병희]]

2017년 2월 23일 (목) 12:34 판


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최대섭-독립선언-1976s.jpg
작가 최대섭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290.9x197cm)
유형 계몽/항일
분류 유화
소장처 태화빌딩


개요

최대섭-독립선언-1976s.jpg
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

내용

3·1 운동을 준비하는 데 앞장선 종교계 지도자들이 서울 태화관에서 독립 선언식을 치르는 모습이다. 1919년 3월 1일 민족 대표를 자임하고 나선 33인이 태화관에 모여 독립 선언식을 거행하는 모습이다. 실제 참가자는 29명이었다. 태화관 3·1운동을 주도한 민족대표 33인 중 29인은 태화관에 모여 기미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만세를 불렀습니다.

민족대표 29인.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에 모이기로 했던 33인 중 기독교 소속 4인이 미참. 길선주, 유여대, 김병조, 정춘수를 제외한 29인이 태화관에 모여 3시까지 4인을 기다리다 29인만이 조선이 독립국임을 선언하였고, 오후 4시경에 행사를 끝냈음

천도교 측에서는 손병희, 권동진, 오세창, 임예환, 나인협, 홍기조, 박준승, 양한묵, 권병덕, 김완규, 나용환, 이종훈, 홍병기, 이종일, 최린 15명이 선정되었다. 그리스도교측에서는 이승훈, 박희도, 이갑성, 오화영, 최성모, 이필주, 김창준, 신석구, 박동완, 신홍식, 양전백, 이명룡, 길선주, 유여대, 김병조, 정춘수 16명이 선정되었다. 불교측 대표로는 한용운백용성이 서명·날인했다.

관련 민족기록화

계몽/항일 관련 작품

추출정보

작품정보 연결망

네트워크 그래프가 보이지 않는다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노드 관계 노드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에 의해 그려지다 최대섭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에 소장되어 있다 태화빌딩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을 배경으로 한다 태화관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을 소재로 삼다 손병희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을 소재로 삼다 한용운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을 소재로 삼다 권동진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을 소재로 삼다 오세창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을 소재로 삼다 임예환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을 소재로 삼다 나인협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을 소재로 삼다 이승훈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을 소재로 삼다 양한묵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을 소재로 삼다 권병덕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을 소재로 삼다 백용성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를 소재로 삼다 박희도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을 소재로 삼다 최린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제작연도 1975년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소장처 한국방송공사 37.5319242 126.9053886

참고문헌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