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 보림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이 보기)
17번째 줄: 17번째 줄:
  
 
=='''개요'''==
 
=='''개요'''==
[http://www.buddhism.or.kr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인 [http://www.songgwangsa.org 송광사(松廣寺)]의 말사이다. 원표(元表)가 세운 암자에다 860년경 신라 헌안왕(憲安王)의 권유로 [[체징|보조선사(普照禪師) 체징(體澄)]]이 창건하여 [[선종|선종(禪宗)]]의 도입과 동시에 맨 먼저 선종이 정착된 곳이기도 하다.<ref>"보림사",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2491&cid=40942&categoryId=31548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ref>   
+
[http://www.buddhism.or.kr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인 [[순천 송광사|송광사(松廣寺)]]의 말사이다. 860년경 신라 헌안왕(憲安王)의 권유로 [[체징|보조선사(普照禪師) 체징(體澄)]]이 창건하여 [[선종|선종(禪宗)]]의 도입과 동시에 맨 먼저 선종이 정착된 곳이기도 하다.<ref>"보림사",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2491&cid=40942&categoryId=31548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ref>   
  
이곳에 처음 절을 지은 것은 보조선사보다 100년 전쯤 사람인 원표대덕(元表大德)이었다. 그때의 절 이름은 [[가지산사]]였는데, 보조선사가 입적한 후 헌강왕이 보림사라는 절 이름을 내려 주었다. 중국 남종선의 초조(初祖)인 [[혜능|육조대사 혜능]]이 주석하던 소주(韶州) 조계산 보림사의 이름을 이 절에 내려 준 것은 이곳이 우리나라 선종의 본산임을 인정하는 것이었다. 보림사라는 절은 중국뿐만 아니라 인도에도 있는데 우리나라 보림사와 함께 삼보림이라 일컬어졌다고 한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보림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 돌베개, 201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8201&cid=42840&categoryId=42849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ref>
+
이곳에 처음 절을 지은 것은 보조선사보다 100년 전쯤 사람인 [[원표|원표대덕(元表大德)]]이었다. 그때의 절 이름은 가지산사(迦智山寺)였는데, 보조선사가 입적한 후 헌강왕이 보림사라는 절 이름을 내려 주었다.  
 +
{{Blockquote|중화(中和) 3년(883, 헌강왕 9년) 봄 3월 15일에 문인 의차(義車) 등이 행장을 엮어 멀리 왕경(王京)에 나아가 비명을 세워 불도를 빛나게 할 것을 청했다. 임금이 진종(眞宗)의 이치를 흠모하고 스승을 높이는 마음을 갸륵히 여겼다. 이에 담당 관사에 명하여 시호를 정하여 보조(普照), 탑호를 창성(彰聖), 절이름을 보림(寶林)이라 하니, 이는 그 선종을 포상하는 예(禮)에서이다.<ref>이지관,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 편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신라편,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111-112쪽.</ref>}}
 +
 
 +
중국 [[남종선|남종선(南宗禪)]]의 초조(初祖)인 [[혜능|육조대사 혜능(六祖大師 慧能)]]이 주석하던 소주(韶州) 조계산 보림사의 이름을 이 절에 내려 준 것은 이곳이 우리나라 선종의 본산임을 인정하는 것이었다. 보림사라는 절은 중국뿐만 아니라 인도에도 있는데 우리나라 보림사와 함께 삼보림이라 일컬어졌다고 한다.<ref>한국문화유산답사회, "보림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 돌베개, 201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8201&cid=42840&categoryId=42849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ref>
  
 
그 뒤 끊임없는 중창과 중수를 거쳐 [[한국전쟁|6·25전쟁]] 때 소실되기 전까지는 20여 동의 전각을 갖춘 대찰이었다. 그러나 공비들이 소굴로 이용하였던 이 절에다 도주하기 전에 불을 놓아 대웅전 등 대부분의 건물들이 불타고, 단지 천왕문(天王門)과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사천왕(四天王)]]·외호문(外護門)만 남았다.<ref>"보림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30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인용.</ref>
 
그 뒤 끊임없는 중창과 중수를 거쳐 [[한국전쟁|6·25전쟁]] 때 소실되기 전까지는 20여 동의 전각을 갖춘 대찰이었다. 그러나 공비들이 소굴로 이용하였던 이 절에다 도주하기 전에 불을 놓아 대웅전 등 대부분의 건물들이 불타고, 단지 천왕문(天王門)과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사천왕(四天王)]]·외호문(外護門)만 남았다.<ref>"보림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30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인용.</ref>
  
 
전쟁 이후 조금씩 복원되어 현재는 건물로 외호문과 사천왕문, 1998년에 복원된 대적광전(大寂光殿), 대웅보전(大雄寶殿), 새로 지은 방각과 요사조사전, 삼성각, 명부전, 주지실, 암자 등이 절터를 채우고 있다.<ref>"보림사(장흥)",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00334&cid=42856&categoryId=42856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ref>  
 
전쟁 이후 조금씩 복원되어 현재는 건물로 외호문과 사천왕문, 1998년에 복원된 대적광전(大寂光殿), 대웅보전(大雄寶殿), 새로 지은 방각과 요사조사전, 삼성각, 명부전, 주지실, 암자 등이 절터를 채우고 있다.<ref>"보림사(장흥)",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00334&cid=42856&categoryId=42856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ref>  
 +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강혜원/Borim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VR'''==
 
=='''VR'''==
30번째 줄: 37번째 줄:
 
</html>
 
</html>
  
=='''그래프'''==
+
=='''관련항목'''==
<html>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강혜원/Borim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Node!!Relation!!Node
</html>
+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碑)]] || 는 -에 있다 || 장흥 보림사(長興 寶林寺)
 +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 || 는 -에 있다 || 장흥 보림사(長興 寶林寺)
 +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碑)]]|| 는 -를 위한 비이다 || [[체징|체징(體澄)]]
 +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 || 는 -를 위한 승탑이다 ||[[체징|체징(體澄)]]
 +
|-
 +
|[[체징|체징(體澄)]]|| 는 -에서 주석하였다 || 장흥 보림사(長興 寶林寺)
 +
|-
 +
|[[체징|체징(體澄)]] || 는 -의 스승이다 || [[형미|형미(逈微)]]
 +
|-
 +
|[[염거|염거(廉居)]] || 는 -의 스승이다 ||[[체징|체징(體澄)]]
 +
|-
 +
|[[도의|도의(道義)]] || 는 -의 스승이다 || [[염거|염거(廉居)]]
 +
|-
 +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傳 原州 興法寺址 廉居和尙塔)]] || 는 -를 위한 승탑이다 || [[염거|염거(廉居)]]
 +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康津 無爲寺 先覺大師塔碑)]] || 는 -를 위한 비이다 || [[형미|형미(逈微)]]
 +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康津 無爲寺 先覺大師塔碑)]] || 는 -에 있다 || [[강진 무위사|강진 무위사(康津 無爲寺)]]
 +
|-
 +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長興 寶林寺 木造四天王像)]] || 는 -에 있다 || 장흥 보림사(長興 寶林寺)
 +
|-
 +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長興 寶林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 || 는 -에 있다 || 장흥 보림사(長興 寶林寺)
 +
|-
 +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長興 寶林寺 木造四天王像)]] || 는 -와 관련있다 || [[사천왕|사천왕(四天王)]]
 +
|-
 +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長興 寶林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 || 는 -와 관련있다 || [[비로자나불|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
 +
|-
 +
|장흥 보림사(長興 寶林寺) || 는 -에 포함된다 || [[가지산문|가지산문(迦智山門)]]
 +
|-
 +
|[[가지산문|가지산문(迦智山門)]] || 는 -에 포함된다 || [[선종|선종(禪宗]]
 +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碑)]] || 는 -가 비문을 지었다 || [[김영|김영(金穎)]]
 +
|-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碑)]] || 는 -가 비문을 썼다 || [[김원|김원(金薳)]], [[김언경|김언경(金彦卿)]]
 +
|-
 +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長興 寶林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 || 는 -가 봉헌하였다 || [[김언경|김언경(金彦卿)]]
 +
|}
  
=='''같이 보기'''==
+
=='''참고문헌'''==
* [[구산선문]]
 
* [[가지산문]]
 
* [[체징]]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 [[장흥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
 
*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 [[장흥 보림사 동 승탑]]
 
* [[장흥 보림사 서 승탑]]
 
*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주석'''==
 
=='''주석'''==

2017년 2월 23일 (목) 01:43 판

틀:문화유산정보

정의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가지산(迦智山)에 있는 절.[1]

개요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인 송광사(松廣寺)의 말사이다. 860년경 신라 헌안왕(憲安王)의 권유로 보조선사(普照禪師) 체징(體澄)이 창건하여 선종(禪宗)의 도입과 동시에 맨 먼저 선종이 정착된 곳이기도 하다.[2]

이곳에 처음 절을 지은 것은 보조선사보다 100년 전쯤 사람인 원표대덕(元表大德)이었다. 그때의 절 이름은 가지산사(迦智山寺)였는데, 보조선사가 입적한 후 헌강왕이 보림사라는 절 이름을 내려 주었다.

Quote-left.png 중화(中和) 3년(883, 헌강왕 9년) 봄 3월 15일에 문인 의차(義車) 등이 행장을 엮어 멀리 왕경(王京)에 나아가 비명을 세워 불도를 빛나게 할 것을 청했다. 임금이 진종(眞宗)의 이치를 흠모하고 스승을 높이는 마음을 갸륵히 여겼다. 이에 담당 관사에 명하여 시호를 정하여 보조(普照), 탑호를 창성(彰聖), 절이름을 보림(寶林)이라 하니, 이는 그 선종을 포상하는 예(禮)에서이다.[3] Quote-right.png
출처:


중국 남종선(南宗禪)의 초조(初祖)인 육조대사 혜능(六祖大師 慧能)이 주석하던 소주(韶州) 조계산 보림사의 이름을 이 절에 내려 준 것은 이곳이 우리나라 선종의 본산임을 인정하는 것이었다. 보림사라는 절은 중국뿐만 아니라 인도에도 있는데 우리나라 보림사와 함께 삼보림이라 일컬어졌다고 한다.[4]

그 뒤 끊임없는 중창과 중수를 거쳐 6·25전쟁 때 소실되기 전까지는 20여 동의 전각을 갖춘 대찰이었다. 그러나 공비들이 소굴로 이용하였던 이 절에다 도주하기 전에 불을 놓아 대웅전 등 대부분의 건물들이 불타고, 단지 천왕문(天王門)과 사천왕(四天王)·외호문(外護門)만 남았다.[5]

전쟁 이후 조금씩 복원되어 현재는 건물로 외호문과 사천왕문, 1998년에 복원된 대적광전(大寂光殿), 대웅보전(大雄寶殿), 새로 지은 방각과 요사조사전, 삼성각, 명부전, 주지실, 암자 등이 절터를 채우고 있다.[6]

VR

관련항목

Node Relation Node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碑) 는 -에 있다 장흥 보림사(長興 寶林寺)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 는 -에 있다 장흥 보림사(長興 寶林寺)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碑) 는 -를 위한 비이다 체징(體澄)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 는 -를 위한 승탑이다 체징(體澄)
체징(體澄) 는 -에서 주석하였다 장흥 보림사(長興 寶林寺)
체징(體澄) 는 -의 스승이다 형미(逈微)
염거(廉居) 는 -의 스승이다 체징(體澄)
도의(道義) 는 -의 스승이다 염거(廉居)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傳 原州 興法寺址 廉居和尙塔) 는 -를 위한 승탑이다 염거(廉居)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康津 無爲寺 先覺大師塔碑) 는 -를 위한 비이다 형미(逈微)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康津 無爲寺 先覺大師塔碑) 는 -에 있다 강진 무위사(康津 無爲寺)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長興 寶林寺 木造四天王像) 는 -에 있다 장흥 보림사(長興 寶林寺)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長興 寶林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 는 -에 있다 장흥 보림사(長興 寶林寺)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長興 寶林寺 木造四天王像) 는 -와 관련있다 사천왕(四天王)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長興 寶林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 는 -와 관련있다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
장흥 보림사(長興 寶林寺) 는 -에 포함된다 가지산문(迦智山門)
가지산문(迦智山門) 는 -에 포함된다 선종(禪宗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碑) 는 -가 비문을 지었다 김영(金穎)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碑) 는 -가 비문을 썼다 김원(金薳), 김언경(金彦卿)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長興 寶林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 는 -가 봉헌하였다 김언경(金彦卿)

참고문헌

주석

  1. "보림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인용.
  2. "보림사",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3. 이지관,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 편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신라편,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111-112쪽.
  4.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보림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 돌베개, 2010.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5. "보림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인용.
  6. "보림사(장흥)",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