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황자총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57번째 줄: 57번째 줄:
 
<ref>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한국 전통무기 조사(-도검․화포류-)』, 경희정보인쇄㈜, 2003, 264쪽</ref>
 
<ref>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한국 전통무기 조사(-도검․화포류-)』, 경희정보인쇄㈜, 2003, 264쪽</ref>
  
총 길이는 89.2cm 이고 통신(筒身) 길이가 40.7cm, 약실 길이가 30.6cm, 명부 길이가 12.3cm, 포구 지름이 59cm 이다. 약실에는 종서로 ‘己西造上別黃字重二百四斤藥四兩(기유년 [[별황자총통]]을 제조하여 올렸는데 중량이 204근(약 120kg)이고 화약은 4량(약 148g)이 들어간다.)’라는 간기가 붙어있다.  
+
총 길이는 89.2cm 이고 통신(筒身) 길이가 40.7cm, 약실 길이가 30.6cm, 명부 길이가 12.3cm, 포구 지름이 59cm 이다. 약실에는 종서로 '己西造上別黃字重二百四斤藥四兩(기유년 [[별황자총통]]을 제조하여 올렸는데 중량이 204근(약 120kg)이고 화약은 4량(약 148g)이 들어간다.)'라는 간기가 붙어있다.  
 
<ref>이강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065 별황자총통],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이강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065 별황자총통],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ref>
98번째 줄: 98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더 읽을 거리===
 
*참고문헌  
 
*참고문헌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한국 전통무기 조사(-도검․화포류-)』, 경희정보인쇄㈜, 2003.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한국 전통무기 조사(-도검․화포류-)』, 경희정보인쇄㈜, 2003.
  
===유용한 자료===
+
===유용한 정보===
 
*이강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065 별황자총통],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이강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065 별황자총통],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년 10월 17일 (화) 23:15 판

별황자총통(別黃字銃筒)
이강칠, 별황자총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별황자총통
한자표기 別黃字銃筒
유형 물품
시대 조선시대
용도 무기


정의

조선 후기에 사용된 화포이다.

내용

조선 후기에 사용된 청동제 화포이다. 천, 지, 현, 황 가운데 황자총통에 해당되는 화포이나, 본래의 황자총통보다 그 규모가 크고 제작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별도로 별황자총통 명칭이 붙여졌다. 별황자총통이 기존 황자총통하고 다른점은 포이와 포미의 병부를 첨부함으로써 발사각도의 높낮이를 조정 할 수 있다는 것이다. [1]

총 길이는 89.2cm 이고 통신(筒身) 길이가 40.7cm, 약실 길이가 30.6cm, 명부 길이가 12.3cm, 포구 지름이 59cm 이다. 약실에는 종서로 '己西造上別黃字重二百四斤藥四兩(기유년 별황자총통을 제조하여 올렸는데 중량이 204근(약 120kg)이고 화약은 4량(약 148g)이 들어간다.)'라는 간기가 붙어있다. [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화포식언해 별황자총통 A는 B를 언급했다
별황자총통 황자총통 A는 B와 관련이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별황자총통 A는 B를 소장한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7-19세기 별황자총통이 사용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24089 126.980492 별황자총통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한국 전통무기 조사(-도검․화포류-)』, 경희정보인쇄㈜, 2003, 264쪽
  2. 이강칠, 별황자총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참고문헌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한국 전통무기 조사(-도검․화포류-)』, 경희정보인쇄㈜, 2003.

유용한 정보

  • 이강칠, 별황자총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