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신기화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61번째 줄: 61번째 줄:
 
[[신기전]] 설치 형태의 [[화차]]는 조선 중기 이후로 점점 사라져 가는데, [[총통|총통(銃筒)]]을 설치한 형태의 [[화차]]는 조선 후기로 갈수록 점차 늘어난다. 그 이유는 [[신기전]] 자체가 화약이 너무 많이 소비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중세시기 로켓형 무기의 고질적인 문제는 날아가는 동안 바람이나 추진분사 기술의 미흡 때문에, 명중률이 매우 낮다. 이 이유로 사실 [[신기전|대신기전]]은 조선 초기에만 사용되었고, [[신기전|중신기전]]과 [[신기전|소신기전]]은 발사 수량을 늘려서 명중률을 높혔다. 그러나 이런 노력도 조선 중기 이후에는 발사체를 소형 [[총통]]류로 바뀌게 되는데, 그 이유는 [[총통]]을 사용할 경우 한 [[총통]]에 15발정도의 소형 철환을 장전할 수 있어, 엄청난 수량의 탄막 공격이 가능하다. 이런 방식은 조선 중기 이후부터 [[중신기 화차]]보다 효율성이 높기 때문에 점차 대체되어 [[중신기 화차]]이 사용되지 않게 된 것이다.
 
[[신기전]] 설치 형태의 [[화차]]는 조선 중기 이후로 점점 사라져 가는데, [[총통|총통(銃筒)]]을 설치한 형태의 [[화차]]는 조선 후기로 갈수록 점차 늘어난다. 그 이유는 [[신기전]] 자체가 화약이 너무 많이 소비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중세시기 로켓형 무기의 고질적인 문제는 날아가는 동안 바람이나 추진분사 기술의 미흡 때문에, 명중률이 매우 낮다. 이 이유로 사실 [[신기전|대신기전]]은 조선 초기에만 사용되었고, [[신기전|중신기전]]과 [[신기전|소신기전]]은 발사 수량을 늘려서 명중률을 높혔다. 그러나 이런 노력도 조선 중기 이후에는 발사체를 소형 [[총통]]류로 바뀌게 되는데, 그 이유는 [[총통]]을 사용할 경우 한 [[총통]]에 15발정도의 소형 철환을 장전할 수 있어, 엄청난 수량의 탄막 공격이 가능하다. 이런 방식은 조선 중기 이후부터 [[중신기 화차]]보다 효율성이 높기 때문에 점차 대체되어 [[중신기 화차]]이 사용되지 않게 된 것이다.
 
<ref>8蔡連錫, 「走火와 神機箭의 硏究」, 『역사학보』, 70, 1976, 83-88.</ref>
 
<ref>8蔡連錫, 「走火와 神機箭의 硏究」, 『역사학보』, 70, 1976, 83-88.</ref>
 
  
 
=='''시각자료'''==
 
=='''시각자료'''==
74번째 줄: 73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더 읽을 거리===
 
*논문
 
*논문
 
**蔡連錫, 「走火와 神機箭의 硏究」, 『역사학보』, 70, 1976, 15-88.
 
**蔡連錫, 「走火와 神機箭의 硏究」, 『역사학보』, 70, 1976, 15-88.

2017년 10월 17일 (화) 23:14 판

중신기 화차(中神機 火車)
채연석, 신기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중신기 화차
한자표기 中神機 火車
유형 물품
시대 조선시대
용도 무기


정의

화차 위에 중신기전(中神機箭)을 설치한 무기.

내용

중신기 화차의 구조

문종시기(1450-1452)에 개발된 화차는 수레 자체에 작은 기둥을 세우고 그 밑에 바퀴를 부착시켰다. 이 역할은 발사각이 최대 43도까지 조절 할 수 있게 하여 발사체의 사거리를 조절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화차는 그 위에 여러가지 발사체를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였다. 만약 신기전이 발사체인 경우, 매우 큰 대신기전은 제외하고, 중신기전소신기전화차 위에 설치가 가능하였다. 중신기전소신기전은 크기가 작기 때문에 단발로 화차에 설치 된 것은 아니고 중신기전은 40발 소신기전은 100발을 동시에 쏠수 있게 설치하였다. 그러므로 중신기 화차은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중신기전 이 설치된 화차인 것이다. [1]

중신기 화차의 활용과 한계

신기전 설치 형태의 화차는 조선 중기 이후로 점점 사라져 가는데, 총통(銃筒)을 설치한 형태의 화차는 조선 후기로 갈수록 점차 늘어난다. 그 이유는 신기전 자체가 화약이 너무 많이 소비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중세시기 로켓형 무기의 고질적인 문제는 날아가는 동안 바람이나 추진분사 기술의 미흡 때문에, 명중률이 매우 낮다. 이 이유로 사실 대신기전은 조선 초기에만 사용되었고, 중신기전소신기전은 발사 수량을 늘려서 명중률을 높혔다. 그러나 이런 노력도 조선 중기 이후에는 발사체를 소형 총통류로 바뀌게 되는데, 그 이유는 총통을 사용할 경우 한 총통에 15발정도의 소형 철환을 장전할 수 있어, 엄청난 수량의 탄막 공격이 가능하다. 이런 방식은 조선 중기 이후부터 중신기 화차보다 효율성이 높기 때문에 점차 대체되어 중신기 화차이 사용되지 않게 된 것이다. [2]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蔡連錫, 「走火와 神機箭의 硏究」, 『역사학보』, 70, 1976, 16-36.
  2. 8蔡連錫, 「走火와 神機箭의 硏究」, 『역사학보』, 70, 1976, 83-88.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蔡連錫, 「走火와 神機箭의 硏究」, 『역사학보』, 70, 1976, 15-88.
    • 오경후, 「화차(火車)의 제조(製造)와 임란(壬亂) 정세(情勢)의 변화(變化)」, 『孔子學』, 21, 2011, 107-132쪽.

유용한 정보

  • 채연석, 주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채연석, 신기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