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약집성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85번째 줄: 85번째 줄:
 
|[[향약제생집성방]]||[[제생원]]||A 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A dcterms:publisher B
 
|[[향약제생집성방]]||[[제생원]]||A 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A dcterms:publisher B
 
|-
 
|-
|[[향약집성방]]||[[향약제생집성방]]||A 는 B와 관련이있다||A edm:isRelatedTo B
+
|[[향약집성방]]||[[향약제생집성방]]||A 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향약집성방]]||[[구증]]||A 는 B를 언급하였다||A ekc:mentions B
 
|[[향약집성방]]||[[구증]]||A 는 B를 언급하였다||A ekc:mentions B
105번째 줄: 105번째 줄:
 
|[[향약집성방]]||[[향약방]]||A 는 B를 언급하였다||A ekc:mentions B
 
|[[향약집성방]]||[[향약방]]||A 는 B를 언급하였다||A ekc:mentions B
 
|-
 
|-
|[[향약채취월령]]||[[향약집성방]]||A 는 B와 관련이있다||A edm:isRelatedTo B
+
|[[향약채취월령]]||[[향약집성방]]||A 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향약채취월령]]||[[향약]]||A 는 B를 언급하였다||A ekc:mentions B
 
|[[향약채취월령]]||[[향약]]||A 는 B를 언급하였다||A ekc:mentions B
111번째 줄: 111번째 줄:
 
|[[향약채취월령]]||[[당재]]||A 는 B를 언급하였다||A ekc:mentions B
 
|[[향약채취월령]]||[[당재]]||A 는 B를 언급하였다||A ekc:mentions B
 
|-
 
|-
|[[향약채취월령]]||[[황자후]]||A 는 B와 관련이있다||A edm:isRelatedTo B
+
|[[향약채취월령]]||[[황자후]]||A 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향약채취월령]]||[[당약]]||A 는 B를 언급하였다||A ekc:mentions B
 
|[[향약채취월령]]||[[당약]]||A 는 B를 언급하였다||A ekc:mentions B
121번째 줄: 121번째 줄:
 
|[[향약집성방]]||[[향약구급방]]||A 는 B를 언급하였다||A ekc:mentions B
 
|[[향약집성방]]||[[향약구급방]]||A 는 B를 언급하였다||A ekc:mentions B
 
|-
 
|-
|[[향약집성방]]||[[구급간이방]]||A 는 B와 관련이있다||A edm:isRelatedTo B
+
|[[향약집성방]]||[[구급간이방]]||A 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향약집성방]]||[[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A 는 B에 소장되었다||A edm:currentLocation B
 
|[[향약집성방]]||[[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A 는 B에 소장되었다||A edm:currentLocation B
127번째 줄: 127번째 줄:
 
|[[향약집성방]]||[[한독의약박물관]]||A 는 B에 소장되었다||A edm:currentLocation B
 
|[[향약집성방]]||[[한독의약박물관]]||A 는 B에 소장되었다||A edm:currentLocation B
 
|-
 
|-
|[[조선 세종]]||[[향약집성방]]||A 는 B와 관련이있다||A edm:isRelatedTo B
+
|[[조선 세종]]||[[향약집성방]]||A 는 B와 관련이 있다||A edm:isRelatedTo B
 
|}
 
|}
  

2017년 10월 17일 (화) 23:09 판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김두종, "향약집성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향약집성방
한자표기 鄕藥集成方
유형 문헌
편자 유효통(兪孝通) 노중례(盧重禮) 박윤덕(朴允德)
저술시기 1433년
시대 조선
수량 85권 30책
표기문자 한문
소장처 한독의약박물관 규장각



정의

1433년(세종 15)에 간행된 향약에 관한 의약서(醫藥書).

내용

향약집성방 편찬 목적

  • 구증이 388이던 것이 959로, 구방이 2,803이던 것이 1만706이 되었으며, 그 밖에 침구법(鍼灸法) 1,416조, 향약본초포제법(?製法) 등을 합하여 85권으로 되었다. 세종권채(權採)에게 서를 명하고, 같은 해 8월전라도·강원도 두 도에서 나누어 간행하게 하였다. 그 뒤 1478년(성종 9)에 복간되고, 1633년(인조 11)에 훈련도감 소활자로 중인되었다.[2]
  • 향약이라는 말은 우리 나라 향토에서 생산되는 약재를 의미한 것인데, 중국산의 약을 당재(唐材)라고 부르는 데 대한 우리 나라산의 총칭이다. 그런데 세종은 우리 나라 사람의 질병을 치료하는 데에는 우리 나라 풍토에 적합하고 우리 나라에서 생산되는 약재가 더 효과적일 것이라는 병과 약에 대한 의토성(宜土性)을 강조하여 의약 제민(濟民)에 대한 자주적 방책을 세우고자 향약방을 종합수집한 『향약집성방』을 편집하게 한 것이다.[3]

향약집성방이 중요한 이유

이 책은 그 서명을 특히 향약이라 하고 그 내용에 있어서도 고려 후반기부터 민간 노인들이 사용해 오던 향약방을 많이 채집한 데서 우리 고유 의학의 전통을 중국에서 수입한 한의방과 융합시켜 우리 의학의 독자적 전통을 찾아보려고 노력해 온 자취를 넉넉히 엿볼 수 있다. 그리고 이 책을 편집하기 위한 전 작업으로 국내에서 생산되는 향약당재와 비교, 연구하고, 또는 각 도 각 읍에 분포된 향약의 실태를 조사하여 향약의 채취를 시기에 적절하도록 하는 『향약채취월령』을 간행하게 함으로써 이 책의 편성과 함께 당시의 우리 의약적 지식은 어느 정도의 학술적 체계를 가지게 되었을 것이다. 그뿐 아니라 향약의 아래에 고유의 향명을 붙이게 한 것은 우리 고전언어의 연구에도 중요한 가치를 지니게 하고 있다. 한독의약박물관규장각 도서에 있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 B 관계 비고
향약집성방 유효통 A 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향약집성방 노중례 A 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향약집성방 박윤덕 A 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향약제생집성방 제생원 A 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향약집성방 향약제생집성방 A 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향약집성방 구증 A 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향약집성방 구방 A 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향약집성방 향약 A 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향약집성방 침구법 A 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향약집성방 포제법 A 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향약집성방 당재 A 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향약집성방 조선 성종 A 는 B에 의해 중간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향약집성방 조선 인조 A 는 B에 의해 중간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향약집성방 향약방 A 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향약채취월령 향약집성방 A 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향약채취월령 향약 A 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향약채취월령 당재 A 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향약채취월령 황자후 A 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향약채취월령 당약 A 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향약집성방 삼화자향약방 A 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향약집성방 본조경험방 A 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향약집성방 향약구급방 A 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향약집성방 구급간이방 A 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향약집성방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A 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향약집성방 한독의약박물관 A 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조선 세종 향약집성방 A 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399년 향약제생집성방제생원에서 간행되었다
1428년 향약채취월령 이 반포되었다
1433년 향약집성방이 간행되었다
1478년 향약집성방이 중간되었다
1633년 향약집성방이 중간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462058 126.950273 향약집성방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에 소장되었다
36.970538 127.46532 향약집성방한독의약박물관에 소장되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김두종, "향약집성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김두종, "향약집성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김두종, "향약집성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김두종, "향약집성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논문
    • 金重權, 「《鄕藥集成方》의 引用文獻 分析」, 『서지학연구』, Vol-35, 2006, 183-229쪽.
    • 이경록, 「《향약집성방》의 편찬과 중국 의료의 조선화」, 『醫史學』, Vol-20, 2011, 225-262쪽.

유용한 정보

  • 김두종, "향약집성방", 『한국민족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