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인석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한글고문헌 샘플 |이미지= |대표명칭= 월인석보 |한자명칭= 月印釋譜 |로마자명칭= Worinseokbo |영문명칭= A Korean translated book of episodes from th...)
 
(공간정보)
70번째 줄: 70번째 줄:
 
|-
 
|-
 
|{{PAGENAME}} || 간행처 || 희방사 ||128.456985||36.920248
 
|{{PAGENAME}} || 간행처 || 희방사 ||128.456985||36.920248
 +
|-
 +
|{{PAGENAME}} || 소장처 || 장서각 ||127.054364||37.392258
 
|}
 
|}
  

2017년 2월 19일 (일) 21:53 판

월인석보
한자명칭 月印釋譜
영문명칭 A Korean translated book of episodes from the life of Sakyamuni Buddha
작자 세조 편
간행시기 1568년(선조1)경 복각
간행처 희방사 복각
소장처 장서각
청구기호 C12-8C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31.2×22.0㎝
판본 목판본
수량 1책
표기문자 한글, 한자



개요

세조세종이 지은 『월인천강지곡』을 본문으로 하고 자신이 지은 『석보상절』을 설명 부분으로 하여 편찬한 책이다.

내용

세조세종이 지은 『월인천강지곡』을 본문으로 하고 자신이 지은 『석보상절』을 설명 부분으로 하여 편찬한 책이다. 1459년(세조 5) 부왕과 세자였던 도원군(桃源君)의 명복을 빌기 위해 간행하였다. 『월인천강지곡』을 부분적으로 수정하고 『석보상절』을 대폭 수정하여 『월인석보』라는 새로운 문헌을 만들었다. 김수온(金守溫)과 신미(信眉)·수미(守眉) 등 11명이 당시 편찬에 참여하였다. 이 책의 편찬은 세종 말엽부터 세조에 이르기까지 약 13년에 걸쳐 이룩한 사업으로, 석가 일대기의 결정판일 뿐만 아니라 훈민정음 창제 이후 제일 먼저 나온 불경언해서로 당시의 글자나 말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초간본을 바탕으로 1568년 희방사(喜方寺)에서 권 1과 권 2를 복각했는데 장서각 소장본은 그 중 권 1이다. 훈민정음 어제서문을 포함한 예의본(例義本), 월인천강지곡 서문, 석보상절 서문, 월인석보 권 1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서강대 소장 초간본에 비해 변상도 1점이 추가되어 있어 가치가 뛰어나다.[1]


관련항목

중심 관계어 정의 대상
월인석보 편자 세조
월인석보 편자 김수온
월인석보 편자 신미
월인석보 편자 수미
월인석보 포함 월인천강지곡
월인석보 포함 석보상절
월인석보 포함 변상도
월인석보 간행목적 세종
월인석보 간행목적 도원군
월인석보 간행처 희방사
월인석보 소장처 장서각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월인석보 간행연대 1568년(선조1)경 복각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월인석보 간행처 희방사 128.456985 36.920248
월인석보 소장처 장서각 127.054364 37.392258

참고문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8쪽. 해설문 속의 각종 링크 정보는 기록유산스토리사업팀에서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