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유공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내용)
38번째 줄: 38번째 줄:
 
1195년([[조선 명종|명종]] 25) 병으로 퇴직을 요청했으나 왕이 그의 글재주를 아꼈기 때문에 “조정에 덕망이 높은 원로가 남아 있는 것은 사직의 복인데 경은 왜 빨리 물러나려 하는가?”라 하며 보내지 않으려 했다. 유공권이 세 번이나 글을 올리니 그제야 사직을 허락하였다. 한해 뒤 병이 들어 친족들이 약을 올렸으나“죽고 사는 것은 운명이다.”라며 물리치고 약을 먹지 않았다.<ref>동아대학교 성당학술원, 『국역 고려사:열전』, 경인문화사, 2006.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71362&cid=49632&categoryId=49632 유공권]", 국역 고려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195년([[조선 명종|명종]] 25) 병으로 퇴직을 요청했으나 왕이 그의 글재주를 아꼈기 때문에 “조정에 덕망이 높은 원로가 남아 있는 것은 사직의 복인데 경은 왜 빨리 물러나려 하는가?”라 하며 보내지 않으려 했다. 유공권이 세 번이나 글을 올리니 그제야 사직을 허락하였다. 한해 뒤 병이 들어 친족들이 약을 올렸으나“죽고 사는 것은 운명이다.”라며 물리치고 약을 먹지 않았다.<ref>동아대학교 성당학술원, 『국역 고려사:열전』, 경인문화사, 2006. 온라인참조:"[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71362&cid=49632&categoryId=49632 유공권]", 국역 고려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동문선]]』에 시가 남아 있고, 『[[해동필원|해동필원(海東筆苑)]]』에 필적이 전하며,<ref>민병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1261 유공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ref> 글씨로[[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龍仁 瑞鳳寺址 玄悟國師塔碑)]]가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4640 유공권]",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동문선]]』에 시가 남아 있고, 『[[해동필원|해동필원(海東筆苑)]]』에 필적이 전하며,<ref>민병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1261 유공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ref> 글씨로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龍仁 瑞鳳寺址 玄悟國師塔碑)]]가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4640 유공권]",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2017년 10월 1일 (일) 16:04 판

유공권(柳公權)
대표명칭 유공권
한자표기 柳公權
생몰년 1132년-1196년
본관 문화(文化)
시호 문간(文簡)
정평(正平)
시대 고려시대
국적 고려
유형 문신



정의

고려시대의 문신.

내용

1186년(명종 16) 금나라에 사절로 다녀왔고, 이후 우부승지·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에 이어 한림학사로서 지공거가 되었다. 지주사(知奏事)·추밀원동지사를 거쳐, 정당문학·참지정사·예부판사에 이르렀다. 문장과 서예에 능하여 특히 초서·예서를 잘 썼다.[1]

1195년(명종 25) 병으로 퇴직을 요청했으나 왕이 그의 글재주를 아꼈기 때문에 “조정에 덕망이 높은 원로가 남아 있는 것은 사직의 복인데 경은 왜 빨리 물러나려 하는가?”라 하며 보내지 않으려 했다. 유공권이 세 번이나 글을 올리니 그제야 사직을 허락하였다. 한해 뒤 병이 들어 친족들이 약을 올렸으나“죽고 사는 것은 운명이다.”라며 물리치고 약을 먹지 않았다.[2]

동문선』에 시가 남아 있고, 『해동필원(海東筆苑)』에 필적이 전하며,[3] 글씨로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龍仁 瑞鳳寺址 玄悟國師塔碑)가 있다.[4]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유공권 조선 명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유공권 동문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유공권 해동필원 A는 B를 관련있다 A edm:isRelatedTo B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유공권 A는 B가 비문을 썼다 A ekc:calligrapher B

주석

  1. "유공권", 『두산백과』online.
  2. 동아대학교 성당학술원, 『국역 고려사:열전』, 경인문화사, 2006. 온라인참조:"유공권", 국역 고려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민병하, "유공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4. "유공권", 『두산백과』online.

참고문헌

  • "유공권", 『두산백과』online.
  • 동아대학교 성당학술원, 『국역 고려사:열전』, 경인문화사, 2006. 온라인참조:"유공권", 국역 고려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유공권", 『두산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