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계공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사진 | + | {{단체정보 |
− | + | |사진= | |
+ | |사진출처= | ||
+ | |대표명칭=한국기계공업 | ||
+ | |한자표기=韓國機械工業 | ||
+ | |영문명칭= | ||
+ | |이칭= | ||
+ | |유형=기업 | ||
+ | |창립자= | ||
+ | |창립시대= | ||
+ | |창립일=1963년 5월 | ||
+ | |변경일=1968년 9월 | ||
+ | |해체일=1976년 | ||
+ | |주요업무= | ||
+ | |담당업무= | ||
+ | |관련기관= | ||
+ | |관련단체=[[두산인프라코어]] | ||
+ | |소재지= | ||
+ | |웹사이트= | ||
+ | }} | ||
+ | =='''정의'''== | ||
+ | 중공업제품 제조업체. | ||
+ | =='''내용'''== | ||
+ | ===조선기계제작소로 출발=== | ||
+ | 1937년 6월 4일 인천에 설립된 [[조선기계제작소]]를 5.16군사정변 이후 해군이 위탁관리하다가 개편하여 1963년 5월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법에 의해 공기업으로 설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종합기계회사이다.<ref>김천욱, "[http://ksme.or.kr/UploadData/Editor/EmBody/201411/1DD8692923FB4B2A9ACF50183A28D910.pdf 한국기계공업사-43]", 『기계저널』, 제54권, 제11호, 2014.</ref><br/> | ||
+ | 1968년 9월 정부는 부실공기업인 한국기계공업을 [[신진자동차공업]]에 인수시켰고, 신진자동차공업이 경영에 참여하면서 민영화 되었다. 1973년 6월 [[신진자동차공업]]은 경영 합리화를 위하여 부곡철도차량공장을 인수하였다.<ref>유붕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625 대우중공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대우중공업으로 변경=== | |
− | + | 1975년 5월 20일 인천공장에 양산제품인 상용차용 디젤엔진공장을 세웠으나, 큰 성과는 보지 못하였다.그 결과 1974년 말 한국기계공업은 부채비율 21,000%라는 최악의 부실기업이 되었다. 1976년 2월 대우실업이 경영에 참여하였고, 1976년 10월 [[대우기계]]를 합병하여 [[대우중공업]]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ref>김천욱, "[http://ksme.or.kr/UploadData/Editor/EmBody/201411/1DD8692923FB4B2A9ACF50183A28D910.pdf 한국기계공업사-43]", 『기계저널』, 제54권, 제11호, 2014.</ref> | |
− | http://ksme.or.kr/UploadData/Editor/EmBody/201411/1DD8692923FB4B2A9ACF50183A28D910.pdf | ||
+ | ===대우사태=== | ||
+ | [[대우중공업]]은 1988년 한국산업전자(주)를 설립하였으며, 1994년에는 중국현지법인인 대우중공업 연대유한공사를 설립하였다. 같은 해 10월 [[대우조선공업]]을 흡수·합병하였고, 1999년 3월 자동차사업부문을 [[대우자동차]]에 양도하였다. 건설중장비, 산업차량, 엔진, 공작기계, 공장자동화 기기, 정밀기계, 소재, 방위산업제품 등을 생산하여 국내외 시장에 공급하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5255 대우중공업]",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br/> | ||
+ | 그러나 1999년 8월 대우사태로 인해 경영이 악화되어 2000년 1월 기업개선작업 약정을 체결하였다. 2000년 10월 대우중공업의 조선해양사업 부문과 종합기계사업 부문을 분할하여 [[대우조선해양]](주)과 [[대우종합기계]](주)를 각기 설립하였다.<ref>유붕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625 대우중공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두산인프라코어로 변경=== | |
+ | 2005년 1월 대우중공업 계열 회사인 [[대우종합기계]](주)가 [[두산중공업]]에 인수되었다가 같은 해 4월 [[두산인프라코어]](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ref>유붕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625 대우중공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지식 관계망'''== | |
− | + | ===관계정보===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 + | |[[조선기계제작소]] || [[한국기계공업]] || A는 B의 전신이다 || A ekc:isOldNameOf B | |
− | + | |- | |
− | + | |[[한국기계공업]] ||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한국기계공업]] || [[대우중공업]] || A는 B의 전신이다 || A ekc:isOldNameOf B | |
− | + | |- | |
− | + | |[[대우중공업]] || [[대우종합기계]] || A는 B의 전신이다 || A ekc:isOldNameOf B | |
− | + | |- | |
− | + | |[[대우종합기계]] || [[두산인프라코어]] || A는 B의 전신이다 || A ekc:isOldNameOf B | |
+ |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 | ===갤러리=== | |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단체 신진자동차 01.jpg| 신진자동차의 조업 광경(1966년)<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40068&dsid=000000000001&gubun=search 신진자동차제작광경]",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분류:민족기록화]] | + | </gallery> |
+ | |||
+ | ===영상=== | ||
+ | *'''대한뉴스 제 418호- 확충된 기계제작 공장 (제작일: 1963년 05월 25일)''' | ||
+ | <html> | ||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YOl7AJ1fkas"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참고문헌'''== | ||
+ | ===인용 및 참조=== | ||
+ | #웹 자원 | ||
+ | #* 유붕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625 대우중공업]",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김천욱, "[http://ksme.or.kr/UploadData/Editor/EmBody/201411/1DD8692923FB4B2A9ACF50183A28D910.pdf 한국기계공업사-43]", 『기계저널』, 제54권, 제11호, 2014. | ||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35255 대우중공업]",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99600 두산인프라코어]",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49742&cid=43167&categoryId=43167 대우중공업]", <html><online style="color:purple">『기업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지식백과. | ||
+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단체]] |
2017년 9월 26일 (화) 20:29 판
한국기계공업(韓國機械工業) | |
대표명칭 | 한국기계공업 |
---|---|
한자표기 | 韓國機械工業 |
유형 | 기업 |
창립일 | 1963년 5월 |
변경일 | 1968년 9월 |
해체일 | 1976년 |
관련단체 | 두산인프라코어 |
목차
정의
중공업제품 제조업체.
내용
조선기계제작소로 출발
1937년 6월 4일 인천에 설립된 조선기계제작소를 5.16군사정변 이후 해군이 위탁관리하다가 개편하여 1963년 5월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법에 의해 공기업으로 설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종합기계회사이다.[1]
1968년 9월 정부는 부실공기업인 한국기계공업을 신진자동차공업에 인수시켰고, 신진자동차공업이 경영에 참여하면서 민영화 되었다. 1973년 6월 신진자동차공업은 경영 합리화를 위하여 부곡철도차량공장을 인수하였다.[2]
대우중공업으로 변경
1975년 5월 20일 인천공장에 양산제품인 상용차용 디젤엔진공장을 세웠으나, 큰 성과는 보지 못하였다.그 결과 1974년 말 한국기계공업은 부채비율 21,000%라는 최악의 부실기업이 되었다. 1976년 2월 대우실업이 경영에 참여하였고, 1976년 10월 대우기계를 합병하여 대우중공업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3]
대우사태
대우중공업은 1988년 한국산업전자(주)를 설립하였으며, 1994년에는 중국현지법인인 대우중공업 연대유한공사를 설립하였다. 같은 해 10월 대우조선공업을 흡수·합병하였고, 1999년 3월 자동차사업부문을 대우자동차에 양도하였다. 건설중장비, 산업차량, 엔진, 공작기계, 공장자동화 기기, 정밀기계, 소재, 방위산업제품 등을 생산하여 국내외 시장에 공급하였다.[4]
그러나 1999년 8월 대우사태로 인해 경영이 악화되어 2000년 1월 기업개선작업 약정을 체결하였다. 2000년 10월 대우중공업의 조선해양사업 부문과 종합기계사업 부문을 분할하여 대우조선해양(주)과 대우종합기계(주)를 각기 설립하였다.[5]
두산인프라코어로 변경
2005년 1월 대우중공업 계열 회사인 대우종합기계(주)가 두산중공업에 인수되었다가 같은 해 4월 두산인프라코어(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6]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조선기계제작소 | 한국기계공업 | A는 B의 전신이다 | A ekc:isOldNameOf B |
한국기계공업 | 한국기계공업주식회사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한국기계공업 | 대우중공업 | A는 B의 전신이다 | A ekc:isOldNameOf B |
대우중공업 | 대우종합기계 | A는 B의 전신이다 | A ekc:isOldNameOf B |
대우종합기계 | 두산인프라코어 | A는 B의 전신이다 | A ekc:isOldNameOf B |
시각자료
갤러리
신진자동차의 조업 광경(1966년)[7]
영상
- 대한뉴스 제 418호- 확충된 기계제작 공장 (제작일: 1963년 05월 25일)
주석
- ↑ 김천욱, "한국기계공업사-43", 『기계저널』, 제54권, 제11호, 2014.
- ↑ 유붕노, "대우중공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천욱, "한국기계공업사-43", 『기계저널』, 제54권, 제11호, 2014.
- ↑ "대우중공업",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유붕노, "대우중공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유붕노, "대우중공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신진자동차제작광경",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유붕노, "대우중공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천욱, "한국기계공업사-43", 『기계저널』, 제54권, 제11호, 2014.
- "대우중공업",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두산인프라코어",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대우중공업",
『기업사전』online , 네이버지식백과.
- 유붕노, "대우중공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