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개성 국청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23번째 줄: 23번째 줄:
  
 
=='''내용'''==
 
=='''내용'''==
[[의천|의천(義天)]]의 청원으로 [[인예태후|인예태후(仁睿太后)]]가 창건하였는데, 1089년([[고려 선종|선종]] 6)에 착공하여 1095년에 낙성하였다. [[인예태후]]의 원찰(願刹)이자, [[천태종]]의 종찰(宗刹)이었다. 1104년(숙종 9)에 [[인예태후]]의 발원으로 조성된 황금 13층 석탑이 이곳에 봉안되었다. 이 탑은 [[개성 흥왕사|흥왕사(興王寺)]]의 금탑과 함께 고려왕실의 치탑사례(治塔事例)를 보여주는 중요한 탑이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532 국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의천]]은 이곳에서 천태교학 강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7562&cid=40942&categoryId=31548 국청사]",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의천|의천(義天)]]의 청원으로 [[인예태후|인예태후(仁睿太后)]]가 창건하였는데, 1089년([[고려 선종|선종]] 6)에 착공하여 1095년에 낙성하였다. [[인예태후]]의 원찰(願刹)이자, [[천태종]]의 종찰(宗刹)이었다. 1104년(숙종 9)에 [[인예태후]]의 발원으로 조성된 황금 13층 석탑이 이곳에 봉안되었는데, 이 탑은 [[개성 흥왕사|흥왕사(興王寺)]]의 금탑과 함께 고려왕실의 치탑사례(治塔事例)를 보여주는 중요한 탑이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532 국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의천]]은 이곳에서 천태교학 강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7562&cid=40942&categoryId=31548 국청사]",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그러나 국청사는 몽골의 침입으로 불타버렸으며, 이후 [[고려 충선왕|충선왕]]이 즉위하면서 옛 가람의 일부를 중창하고 진감국사(眞鑑國師)를 주지로 역임하게 하였으며, 도감(都監)을 두어 무너진 당우를 재건하도록 하였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532 국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그러나 국청사는 몽골의 침입으로 불타버렸으며, 이후 [[고려 충선왕|충선왕]]이 즉위하면서 옛 가람의 일부를 중창하고 진감국사(眞鑑國師)를 주지로 역임하게 하였으며, 도감(都監)을 두어 무너진 당우를 재건하도록 하였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6532 국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2017년 9월 25일 (월) 01:25 판

개성 국청사
(開城 國淸寺)
대표명칭 개성 국청사
한자 開城 國淸寺



정의

경기 개풍군 중서면 여릉리에 있었던 사찰.

내용

의천(義天)의 청원으로 인예태후(仁睿太后)가 창건하였는데, 1089년(선종 6)에 착공하여 1095년에 낙성하였다. 인예태후의 원찰(願刹)이자, 천태종의 종찰(宗刹)이었다. 1104년(숙종 9)에 인예태후의 발원으로 조성된 황금 13층 석탑이 이곳에 봉안되었는데, 이 탑은 흥왕사(興王寺)의 금탑과 함께 고려왕실의 치탑사례(治塔事例)를 보여주는 중요한 탑이다.[1] 의천은 이곳에서 천태교학 강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2]

그러나 국청사는 몽골의 침입으로 불타버렸으며, 이후 충선왕이 즉위하면서 옛 가람의 일부를 중창하고 진감국사(眞鑑國師)를 주지로 역임하게 하였으며, 도감(都監)을 두어 무너진 당우를 재건하도록 하였다.[3]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개성 국청사 인예왕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의천 개성 국청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교웅 개성 국청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덕소 개성 국청사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광양 옥룡사 선각국사비 개성 국청사 A는 B에 있었다 A edm:formerLocation B

주석

  1. 김위석, "국청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국청사",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김위석, "국청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