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논개 초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초상에 묘사된 모습)
20번째 줄: 20번째 줄:
 
===초상의 제작 및 보관===
 
===초상의 제작 및 보관===
 
<논개 초상>은 1955년 장수 군민들과 각계각층의 성금을 모아 [[장수 남산공원]]에 논개의 사당인 [[장수 의암사]]를 건립하면서 사당 안에 걸어두기 위해 제작되었다. [[초상]]은 당대의 유명화가였던 [[김은호]]가 그렸다. 이 때 한 본을 더 그려서 [[이승만]] 대통령에게 선물하였는데 이 본은 나중에 [[진주 의기사]]에 봉안되었다. 이후 [[김은호]]가 그린 <논개 초상>은 그의 친일행적에 대한 논란으로 1990년대부터 교체논란이 있어오다 2005년 10월 새롭게 [[표준영정]]을 그리기로 결정하고 2006년 7월 [[표준영정]]을 그릴 작가로 [[윤여환]] 교수가 선정됐다.<ref>"[http://www.nongae.co.kr/ 논개 표준영정]", 논개소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의암 주 논개』<sup>online</sup></online></html>, (사)의암주논개정신선양회.</ref><br/>  
 
<논개 초상>은 1955년 장수 군민들과 각계각층의 성금을 모아 [[장수 남산공원]]에 논개의 사당인 [[장수 의암사]]를 건립하면서 사당 안에 걸어두기 위해 제작되었다. [[초상]]은 당대의 유명화가였던 [[김은호]]가 그렸다. 이 때 한 본을 더 그려서 [[이승만]] 대통령에게 선물하였는데 이 본은 나중에 [[진주 의기사]]에 봉안되었다. 이후 [[김은호]]가 그린 <논개 초상>은 그의 친일행적에 대한 논란으로 1990년대부터 교체논란이 있어오다 2005년 10월 새롭게 [[표준영정]]을 그리기로 결정하고 2006년 7월 [[표준영정]]을 그릴 작가로 [[윤여환]] 교수가 선정됐다.<ref>"[http://www.nongae.co.kr/ 논개 표준영정]", 논개소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의암 주 논개』<sup>online</sup></online></html>, (사)의암주논개정신선양회.</ref><br/>  
[[윤여환]] 작가의 [[표준영정]]은 7회의 심의를 거쳐  2008년 2월 4일 국가표준영정 제79호로 지정되었고 [[장수 의암사]]의 사당에 걸려있던 <논개 초상>은 <[[논개 표준영정]]>으로 교체 되었다. 더불어 [[진주 의기사]]에 있던 같은 본의 <논개 초상> 또한 <[[논개 표준영정]]>으로 교체 되었다.<br/>  
+
[[윤여환]] 작가의 [[논개 표준영정|표준영정]]은 7회의 심의를 거쳐  2008년 2월 4일 국가표준영정 제79호로 지정되었고 [[장수 의암사]]의 사당에 걸려있던 <논개 초상>은 <[[논개 표준영정]]>으로 교체 되었다. 더불어 [[진주 의기사]]에 있던 같은 본의 <논개 초상> 또한 <[[논개 표준영정]]>으로 교체 되었다.<br/>  
 
[[김은호]]의 <논개 초상>은 작가의 친일논란으로 원래의 봉안처에서 모두 교체가 되었다. 그렇지만 작품 자체로는 대한제국기 [[조선 순종|순종]]의 어진을 그릴 정도로 인물화에 특기가 있던 [[김은호]]가 그린 여성 인물화의 대표작 중 하나로 가치가 있다.
 
[[김은호]]의 <논개 초상>은 작가의 친일논란으로 원래의 봉안처에서 모두 교체가 되었다. 그렇지만 작품 자체로는 대한제국기 [[조선 순종|순종]]의 어진을 그릴 정도로 인물화에 특기가 있던 [[김은호]]가 그린 여성 인물화의 대표작 중 하나로 가치가 있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초상에 묘사된 모습===
<논개 초상>은 정면관의 전신입상의 형식으로 용문양의 남색[[치마]]에 녹색[[저고리(여성)|저고리]]를 입고 흰 속고름을 길게 늘어뜨리고 있다. 이러한 의복 표현은 [[논개]]가 살았던 16세기 당시의 복식이 아닌 근대기의 복식형태이다. 이는 [[김은호]]가 그린 <[[춘향 초상]]>에도 나타나는데 의복 뿐 아니라 얼굴도 거의 유사한 모습이다. 이들은 자세와 구성, 얼굴의 생김새도 비슷해 같은 초본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크다. [[논개]]의 얼굴은 쪽머리에 계란형얼굴의 젊고 단아한 미인의 얼굴로 그려졌다.
+
<논개 초상>은 정면관의 전신입상의 형식으로 용문양의 남색[[치마]]에 녹색[[저고리(여성)|저고리]]를 입고 흰 속고름을 길게 늘어뜨리고 있다. 이러한 의복 표현은 [[논개]]가 살았던 16세기 당시의 복식이 아닌 근대기의 복식형태이다. 이는 [[김은호]]가 그린 <[[춘향 초상]]>에도 나타나는데 의복 뿐 아니라 얼굴도 거의 유사한 모습이다. 이들은 자세와 구성, 얼굴의 생김새도 비슷해 같은 초본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크다.<ref>문은경, 『以堂 金殷鎬(1892-1979)의 작품세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6, 119쪽.</ref> [[논개]]의 얼굴은 쪽머리에 계란형얼굴의 젊고 단아한 미인의 얼굴로 그려졌다.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31번째 줄: 31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계월향 초상]] || [[초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논개 초상]] || [[초상]]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 [[계월향 초상]] || [[계월향]]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논개 초상]] || [[논개]]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계월향 초상]] || [[평양 장향각]]|| @ A는 B에 봉안되어 있었다 || A ekc:formerLocation B @
+
| [[논개 초상]] || [[김은호]]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계월향 초상]] || [[국립민속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논개 초상]] || [[논개 표준영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저고리(여성)|저고리]] || [[계월향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depicts B
+
| [[논개 초상]] || [[장수 의암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치마]] ||  [[계월향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depicts B
+
| [[저고리(여성)|저고리]] ||  [[논개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depicts B
 
|-
 
|-
| [[향노리개]] ||  [[계월향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depicts B
+
| [[치마]] ||  [[논개 초상]]  || A는 B에 나타난다 || A ekc:depicts B
 
|-
 
|-
 
|}
 
|}
51번째 줄: 51번째 줄: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1815년 || [[계월향 초상]]이 제작되었다.  
+
| 1954년 || [[논개 초상]]이 제작되었다.  
 
|-
 
|-
 
|}
 
|}
59번째 줄: 59번째 줄: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7.5816460 || 126.9789950  ||  [[계월향 초상]]은 [[국립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35.6438010 || 127.5227240 ||  [[논개 초상]]은 [[장수 의암사]]에 소장되어 있다.  
 
|-
 
|-
 
|}
 
|}
69번째 줄: 69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유용한 정보===
 +
# 박천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3011 논개사당]", <html><online style="color:purple">『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 전시도록
 
# 전시도록

2017년 9월 23일 (토) 02:00 판


논개 초상
한자명칭 論介 肖像
작가 김은호
제작시기 1954년
소장처 장수 의암사
유형 초상
크기(세로×가로) 151×78.5㎝


정의

김은호가 그린 임진왜란 당시의 의기 논개(1574~1593년)의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논개 초상>은 1955년 장수 군민들과 각계각층의 성금을 모아 장수 남산공원에 논개의 사당인 장수 의암사를 건립하면서 사당 안에 걸어두기 위해 제작되었다. 초상은 당대의 유명화가였던 김은호가 그렸다. 이 때 한 본을 더 그려서 이승만 대통령에게 선물하였는데 이 본은 나중에 진주 의기사에 봉안되었다. 이후 김은호가 그린 <논개 초상>은 그의 친일행적에 대한 논란으로 1990년대부터 교체논란이 있어오다 2005년 10월 새롭게 표준영정을 그리기로 결정하고 2006년 7월 표준영정을 그릴 작가로 윤여환 교수가 선정됐다.[1]
윤여환 작가의 표준영정은 7회의 심의를 거쳐 2008년 2월 4일 국가표준영정 제79호로 지정되었고 장수 의암사의 사당에 걸려있던 <논개 초상>은 <논개 표준영정>으로 교체 되었다. 더불어 진주 의기사에 있던 같은 본의 <논개 초상> 또한 <논개 표준영정>으로 교체 되었다.
김은호의 <논개 초상>은 작가의 친일논란으로 원래의 봉안처에서 모두 교체가 되었다. 그렇지만 작품 자체로는 대한제국기 순종의 어진을 그릴 정도로 인물화에 특기가 있던 김은호가 그린 여성 인물화의 대표작 중 하나로 가치가 있다.

초상에 묘사된 모습

<논개 초상>은 정면관의 전신입상의 형식으로 용문양의 남색치마에 녹색저고리를 입고 흰 속고름을 길게 늘어뜨리고 있다. 이러한 의복 표현은 논개가 살았던 16세기 당시의 복식이 아닌 근대기의 복식형태이다. 이는 김은호가 그린 <춘향 초상>에도 나타나는데 의복 뿐 아니라 얼굴도 거의 유사한 모습이다. 이들은 자세와 구성, 얼굴의 생김새도 비슷해 같은 초본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크다.[2] 논개의 얼굴은 쪽머리에 계란형얼굴의 젊고 단아한 미인의 얼굴로 그려졌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논개 초상 초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논개 초상 논개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논개 초상 김은호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논개 초상 논개 표준영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논개 초상 장수 의암사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저고리 논개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depicts B
치마 논개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depicts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54년 논개 초상이 제작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5.6438010 127.5227240 논개 초상장수 의암사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주석

  1. "논개 표준영정", 논개소개, 『의암 주 논개』online, (사)의암주논개정신선양회.
  2. 문은경, 『以堂 金殷鎬(1892-1979)의 작품세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6, 119쪽.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1. 박천식, "논개사당", 『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거리

  1. 전시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