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12 회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연구계획서 개요)
12번째 줄: 12번째 줄:
 
*자유롭게 수정해 주세요~  
 
*자유롭게 수정해 주세요~  
 
<br/>
 
<br/>
 
=='''100인 목록'''==
 
*김유신 - 고대
 
*김수로왕 - 고대
 
*허황후 - 고대
 
*최치원 - 고대
 
*김대성 - 고대
 
*무열왕 - 고대
 
*문무왕 - 고대
 
*장보고 - 고대
 
*계백 - 고대
 
*광개토대왕 - 고대
 
*양만춘 - 고대
 
*을지문덕 - 고대
 
*정몽주 - 고려
 
*이색 - 고려
 
*일연 - 고려
 
*안향 - 고려
 
*지눌 - 고려
 
*최영 - 고려
 
*강감찬 - 고려
 
*서희 - 고려
 
*최무선 - 고려
 
*김부식 - 고려
 
*김윤후 - 고려
 
*의천 - 고려
 
*이규보 - 고려
 
*이제현 - 고려
 
*왕건 - 고려
 
*공민왕 - 고려
 
*유관순 - 근대
 
*신채호 - 근대
 
*윤봉길 - 근대
 
*김병연 - 조선
 
*신사임당 - 조선
 
*이이 - 조선
 
*허난설헌 - 조선
 
*허균 - 조선
 
*고종 - 조선
 
*김정호 - 조선
 
*김홍도 - 조선
 
*세조 - 조선
 
*세종 - 조선
 
*순종 - 조선
 
*영조 - 조선
 
*이익 - 조선
 
*정도전 - 조선
 
*정조 - 조선
 
*철종 - 조선
 
*태조 - 조선
 
*장영실 - 조선
 
*강세황 - 조선
 
*신숙주 - 조선
 
*이하응 - 조선
 
*나옹 - 조선
 
*무학 - 조선
 
*휴정 - 조선
 
*이항복 - 조선
 
*논개 - 조선
 
*이순신 - 조선
 
*허준 - 조선
 
*강민첨 - 고려
 
*사명당 - 조선
 
*유성룡 - 조선
 
*이황 - 조선
 
*장계향 - 조선
 
*손소 - 조선
 
*주세붕 - 조선
 
*윤선도 - 조선
 
*정약용 - 조선
 
*윤두서 - 조선
 
*김장생 - 조선
 
*김만덕 - 조선
 
*김대건 - 조선
 
*김정희 - 조선
 
*맹사성 - 조선
 
*박팽년 - 조선
 
*성삼문 - 조선
 
*송상현 - 조선
 
*이지함 - 조선
 
*최익현 - 조선
 
*윤증 - 조선
 
*신립 - 조선
 
*조헌 - 조선
 
*송시열 - 조선
 
*윤관 - 조선
 
*김육 - 조선
 
*한호 - 조선
 
*김시습 - 조선
 
*허목 - 조선
 
*백제무왕 - 고대
 
*박세당 - 조선
 
*황희 - 조선
 
*남구만 - 조선
 
*서유구 - 조선
 
*채제공 - 조선
 
*박문수 - 조선
 
*김만중 - 조선
 
*이덕형 - 조선
 
*서명응 - 조선
 
*조반 - 조선
 
*하연 - 조선
 
 
  
 
=='''인물-초상화 목록'''==
 
=='''인물-초상화 목록'''==
 
*[[media:선정인물-초상화목록_2017_02_10.xlsx| 선정인물-초상화목록]]
 
*[[media:선정인물-초상화목록_2017_02_10.xlsx| 선정인물-초상화목록]]
*[[media:선정인물-초상화목록 2017 02 12.xlsx| 선정인물-초상화목록_추가]] - 102번 박세당부터 113번 박연까지 12명 추가.
+
*[[media:선정인물-초상화목록 2017 02 12.xlsx| 선정인물-초상화목록_100]] - <span style="color:blue"><small><strong>"초상화목록_100" 시트가 최종입니다.</strong></small></span>
  
# '''"초상화목록"''' 시트 - 각 인물별 초상화 이미지 및 초상화 정보, 소장처 기록
+
# 초상화 유형 분류
# '''"초상화목록_간략"''' 시트 - "초상화목록" 시트의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 <span style="color:blue"><small><strong>... 건수를 일단 적기는 했는데, 제가 찾을 수 있는 정도만 정리한 것이라 건수는 강조할 필요가 없을듯요.</strong></small></span>
 
# "초상화목록" 시트의 유형 분류
 
 
## 국가: 국가지정문화재
 
## 국가: 국가지정문화재
 
## 국가/표준: 국가지정문화재인 초상화가 표준영정으로 지정된 경우
 
## 국가/표준: 국가지정문화재인 초상화가 표준영정으로 지정된 경우
 
## 시도: 시도지정문화재
 
## 시도: 시도지정문화재
 
## 표준: 표준영정
 
## 표준: 표준영정
## 박물관: 박물관소장유물
+
## 기타: 박물관, 미술관, 대학교 등의 소장유물
# <span style="color:red">'''초상화 자료 없는 인물'''</span>: 총 9명 (궁예, 최우, 이경석, 성혼, 이언적, 김창협, 전봉준, 김좌진, 김구)
+
 
  
 
=='''연구계획서 개요'''==
 
=='''연구계획서 개요'''==

2017년 2월 13일 (월) 00:57 판

0208 회의 0213 회의

  • 자유롭게 수정해 주세요~


인물-초상화 목록

  1. 초상화 유형 분류
    1. 국가: 국가지정문화재
    2. 국가/표준: 국가지정문화재인 초상화가 표준영정으로 지정된 경우
    3. 시도: 시도지정문화재
    4. 표준: 표준영정
    5. 기타: 박물관, 미술관, 대학교 등의 소장유물


연구계획서 개요

  • 본문 목차
    1. 편찬의 목적 및 배경 1p - 류인태
    2. 스토리텔링 소재의 적합성 1p - 류인태
    3. 데이터베이스 편찬 내용 및 방법 11p
      1. 편찬 체계 및 절차 0.5p - 일요일에
      2. 편찬 내용 및 방법 9p
        1. 한국의 역사인물 초상화 DB 편찬 6p
          1. 인물 선정 근거 및 그와 관련된 논리 제시 (텍스트)
            • 한국의 역사 문화를 시대, 지역별 균형있게 조망할 수 있도록 인물을 선정 - 김사현
          2. 선정된 인물 목록 (표 첨부) - 강혜원
          3. 웹 문서 제작 수량 및 관련 콘텐츠 형식 제시 (텍스트 서술 및 표 활용) - 일요일에
          4. 역사인물 초상화 디지털 스토리텔링 네트워크 그래프 예시 (이미지 첨부) - 서동신
        2. 기존 DB 편찬 내용과의 연계 3p
      3. 서비스 시스템 구축 1.5p - 서소리
        1. 웹문서 집필 (텍스트만 작성)
        2. 역사인물 초상화 테마서비스1 - 역사 인물 전당 (영당 VR) (이미지 첨부) - 시대별
        3. 역사인물 초상화 테마서비스2 - 인물 지도 (이미지 첨부) - 지역별
    4. 기대효과 및 출판적합성 1p - 장원석
    5. 연구자의 연구경력 1p
  • 본문 내용
    1. 편찬의 목적 및 배경 1p
      • 한국의 역사인물 초상화(초상, 영정, 진영, 어진 등) 선정 맥락과 문화재로서 역사인물 초상화가 지니는 가치를 서술하고, 현재까지 한국의 초상화에 대해 출판된 서적이나 도록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환경에서 그 내용을 효과적으로 정리하여 서비스하는 콘텐츠가 없음을 강조
      • 선정된 역사인물 초상화가 1차년도 사업의 대상인 여러 형식의 기록문화유산 자원과 내용 면에서 밀접하게 연계되어 복합적으로 시너지 효과를 낼 것임을 강조
        • 역사적 인물을 중심으로 한 지역문화 콘텐츠 및 교육용 교재로서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
        •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의 역사문화 교육용 교재로서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
    2. 스토리텔링 소재의 적합성 1p
      • 초상화가 지닌 이미지 매체로서의 강점과 초상화에 담긴 이야기 소재의 다층성
        • 초상화는 이미지로서 디지털 환경에서 이야기 자원의 중심 매개 역할을 하기에 좋은 소재임
        • 인물의 얼굴, 인물의 복장, 그림을 그리게 된 경위, 인물과 관련된 역사적 이야기 등 역사문화적 차원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야기들을 많이 품고 있음
      • 1차년도 사업 결과물과의 연계 가능성
        • 인물 정보가 이미지 형태로 기록문화유산과 연계했을 때 기능할 수 있는 역할의 풍부함
        • 4가지 기록문화 유산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인물 정보와 복합적으로 연계하여, 보다 풍부한 역사문화 지식을 탐구할 수 있는 매개로 기능할 수 있음
    3. 데이터베이스 편찬 내용 및 방법 11p
      1. 편찬 체계 및 절차 0.5p
        • 사업 관리 및 시스템 운용, DB 편찬 절차 정리(이미지 자료를 활용해서 압축적으로 표현)
      2. 편찬 내용 및 방법 9p
        1. 한국의 역사인물 초상화 DB 편찬 6p
          1. 인물 선정 근거 및 그와 관련된 논리 제시 (텍스트)
            • 한국의 역사 문화를 시대, 지역별 균형있게 조망할 수 있도록 인물을 선정
          2. 선정된 인물 목록 (표 첨부)
          3. 웹 문서 제작 수량 및 관련 콘텐츠 형식 제시 (텍스트 서술 및 표 활용)
          4. 역사인물 초상화 디지털 스토리텔링 네트워크 그래프 예시 (이미지 첨부)
        2. 기존 DB 편찬 내용과의 연계 3p
          1. 민족기록화와의 연계 : 민족기록화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인물들의 초상화를 중심으로 1.5p
          2. 궁중기록화와의 연계 : 중요한 복식 정보를 풍부하게 담고 있는 초상화를 중심으로 1.5p
            •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 참고자료 가운데 '궁중기록화 파트' 확인
          3. 사찰승탑비와의 연계 : 승려 진영을 중심으로
          4. 한글고문헌과의 연계 : 조선시대 임금 어진을 중심으로
      3. 서비스 시스템 구축 1.5p
        1. 웹문서 집필 (텍스트만 작성)
        2. 역사인물 초상화 테마서비스1 - 가상 영당 (영당 VR) (이미지 첨부)
        3. 역사인물 초상화 테마서비스2 - 초상화의 복식을 통해 보는 인물 이야기 (이미지 첨부)
    4. 기대효과 및 출판적합성 1p
      • 디지털 환경에서의 한국 역사인물 초상화 아카이브 서비스
        • 현재 초상, 영정, 진영, 어진과 같은 그림을 디지털 환경에서 종합하여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아카이브가 없음
        • 역사인물에 대한 대중적 관심에 부합하여 학술적 의미를 제공하는 방식의 효과적 콘텐츠 구현
      • 1차년도 사업 성과물을 보다 확대하고 풍부하게 가공할 수 있는 보완 콘텐츠로서의 가치
        • 민족기록화, 궁중기록화, 사찰승탑비, 한글고문헌과의 풍부한 연계성 강조
        • 지역문화 교재 또는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문화 교재 편찬 시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
    5. 연구자의 연구경력 1p
      • 책임연구자 정보
      • 공동연구원 정보
  • 추친계획표 표 작성
  • 연구비 표 작성

회의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