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내용)
17번째 줄: 17번째 줄:
  
 
=='''내용'''==
 
=='''내용'''==
[[유정]]의 5대 법손(法孫)[[남붕|남붕(南鵬)]]이 전하여 오던 [[유정]]의 유고를 모은 사적인 [[분충서난록|『분충서난록』]]중 「청정영중탐정기(淸正營中探情記)」에는 [[선조]] 27년(1594) 4월과 7월, 12월에 [[유정]]이 [[가토 기요마사]]의 진영에 들어가 담판한 내용과 적정의 허실을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br/>
+
[[선조|선조(宣祖)]] 25년(1592) [[임진왜란|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고, [[강원도]] 깊숙이까지 침입한 왜군은 [[유점사|유점사(楡岾寺)]]에도 나타나니 혼비백산한 승들은 뿔뿔이 흩어져 숲 속으로 달아나고 미처 도망가지 못한 중들은 왜군에게 잡혀 모두 결박을 당하였다.
  [[가토 기요마사]]가 문왈(問曰), "[[조선]]에 보배가 있지 않는가?" 그 소리에 응해서 대사는 "우리 나라에는 타보(他寶)는 없고, 너의 머리로써 보배로 할 뿐이다." [[가토 기요마사]] 왈, "무슨 말인가?" 답왈, "방금 아국(我國)은 너의 머리를 사는데 금천근(金千斤) 읍만(邑萬)을 걸고 있으니 보배가 아니고 무엇인가?" [[가토 기요마사]]는 그제사 경탄하였다
+
이때 외출했다가 돌아오는 유정에게 숲 속에 숨어있던 중들이 나와 절에서 벌어진 사저응ㄹ 말하고 들어가지 말라고 권하였다.
 +
절에 이른 그는 눈 하나 깜박이지 않고 주장자를 끌며 태연히 경내로 걸어 들어갔다.
 +
 
 +
 
 +
 
 +
 
 +
  [[가토 기요마사]]
 +
 
 
[[가토 기요마사]]는 [[유정]]의 설법에 감동하여 그에게 무릎을 꿇었는데, 해당 작품은 위의 내용을 그림으로 묘사하고 있다.
 
[[가토 기요마사]]는 [[유정]]의 설법에 감동하여 그에게 무릎을 꿇었는데, 해당 작품은 위의 내용을 그림으로 묘사하고 있다.
  

2017년 2월 10일 (금) 19:05 판

김지선


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박서보-왜장감화(사명당)-1976s.jpg
작가 박서보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290.9x197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개요

박서보-왜장감화(사명당)-1976s.jpg
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

내용

선조(宣祖) 25년(1592)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고, 강원도 깊숙이까지 침입한 왜군은 유점사(楡岾寺)에도 나타나니 혼비백산한 승들은 뿔뿔이 흩어져 숲 속으로 달아나고 미처 도망가지 못한 중들은 왜군에게 잡혀 모두 결박을 당하였다. 이때 외출했다가 돌아오는 유정에게 숲 속에 숨어있던 중들이 나와 절에서 벌어진 사저응ㄹ 말하고 들어가지 말라고 권하였다. 절에 이른 그는 눈 하나 깜박이지 않고 주장자를 끌며 태연히 경내로 걸어 들어갔다.



가토 기요마사

가토 기요마사유정의 설법에 감동하여 그에게 무릎을 꿇었는데, 해당 작품은 위의 내용을 그림으로 묘사하고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조선시대 전쟁 소재 작품

추출정보

작품정보 연결망

네트워크 그래프가 보이지 않는다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관련항목

노드 관계 노드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에 의해 그려지다 박서보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에 소장되어 있다 [[ ]]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을 소재로 삼다 유정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를 소재로 삼다 가토 기요마사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제작연도 1976년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 남부연수원 대여기간 1991.11.20 ~ 1992.11.19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소장처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 남부연수원 35.4249581 126.8236472

참고문헌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