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개성 귀법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23번째 줄: 23번째 줄:
  
 
=='''내용'''==
 
=='''내용'''==
 +
963년([[고려 광종|광종]] 14)에 [[고려 광종|광종]]이 대원(大願)을 발하여 국찰로서 송악산 아래에 이 절을 짓고 친히 승려들을 공양했으며, [[균여|균여(均如)]]를 초대주지로 삼았다. 또한, 당시의 실력자이었던 [[최충|최충(崔冲)]]은 이곳에서 예비 등용문인 하과(夏課)를 베풀었다. 즉, [[최충]]은 매년 여름이 되면 이 절의 승방에서 벼슬을 하지 못하고 집안이 가난한 선비들을 모아서 구경삼사(九經三史)를 강의하는 한편, 시로써 서로의 실력을 겨루게 하였다. 또한, 이 절은 [[고려 광종|광종]] 이후 [[고려 목종|목종]]·[[고려 선종|선종]]·[[고려 의종|의종]] 등 여러 왕의 행차가 잦았으며, 중요한 법회의식이 거행되어 당시로서는 최대의 국찰이었다. 특히, 1085년([[고려 선종|선종]] 2) [[고려 선종|선종]]이 이 절에 행차해 반승(飯僧)을 베풀었고, 1087년 대장경을 봉안하는 법회에 참석하였다. [[고려 의종|의종]]은 1161년 4월 초 이 절에 들러 한달을 넘게 머물렀으며, 1166년([[고려 의종|의종]] 20) 수문전(修文殿)에서 백고좌회(百高座會)를 열기도 하였다.<ref>정병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7193 귀법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41번째 줄: 42번째 줄:
 
| [[고려 광종]] || [[개성 귀법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고려 광종]] || [[개성 귀법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시각자료'''==
 
  
 
=='''주석'''==
 
=='''주석'''==
48번째 줄: 47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정병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7193 귀법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분류:사찰]]  
[[분류:승탑/작성중]]
+
[[분류:승탑/검토요청]]

2017년 9월 19일 (화) 23:32 판

개성 귀법사
(開城 歸法寺)
대표명칭 개성 귀법사
한자 開城 歸法寺



정의

경기 개풍군에 있었던 사찰.

내용

963년(광종 14)에 광종이 대원(大願)을 발하여 국찰로서 송악산 아래에 이 절을 짓고 친히 승려들을 공양했으며, 균여(均如)를 초대주지로 삼았다. 또한, 당시의 실력자이었던 최충(崔冲)은 이곳에서 예비 등용문인 하과(夏課)를 베풀었다. 즉, 최충은 매년 여름이 되면 이 절의 승방에서 벼슬을 하지 못하고 집안이 가난한 선비들을 모아서 구경삼사(九經三史)를 강의하는 한편, 시로써 서로의 실력을 겨루게 하였다. 또한, 이 절은 광종 이후 목종·선종·의종 등 여러 왕의 행차가 잦았으며, 중요한 법회의식이 거행되어 당시로서는 최대의 국찰이었다. 특히, 1085년(선종 2) 선종이 이 절에 행차해 반승(飯僧)을 베풀었고, 1087년 대장경을 봉안하는 법회에 참석하였다. 의종은 1161년 4월 초 이 절에 들러 한달을 넘게 머물렀으며, 1166년(의종 20) 수문전(修文殿)에서 백고좌회(百高座會)를 열기도 하였다.[1]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균여 개성 귀법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낙진 개성 귀법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탄문 개성 귀법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교웅 개성 귀법사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종린 개성 귀법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고려 광종 개성 귀법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주석

  1. 정병조, "귀법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정병조, "귀법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