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의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승려]] [[분류:승탑/작성중]]
+
{{승려정보
 +
|사진=
 +
|사진출처=
 +
|대표명칭=탁연
 +
|영문명칭=
 +
|한자=卓然
 +
|생년=
 +
|몰년=
 +
|시호=
 +
|호=법운(法雲), 법유자(法遊子)
 +
|휘=
 +
|법호=
 +
|탑호=
 +
|자=
 +
|이칭=
 +
|성씨=
 +
|본관=
 +
|속명=
 +
|출신지=
 +
|승탑=
 +
|승탑비=
 +
}}
 +
=='''정의'''==
 +
고려 중기의 승려.
 +
 
 +
=='''내용'''==
 +
탁연의 호는 법운(法雲) 또는 법유자(法遊子)이다. 재상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고려 고종|고종]] 때 조계산 [[수선사|수선사(修禪社)]]에 들어가 승려가 되었다. 필법이 매우 뛰어났으며, 상주목사 [[최자|최자(崔滋)]]가 [[백련사|백련사(白蓮社)]]를 중창할 때 그 현판을 썼다. [[최자]]가 지은 『[[보한집]]』에 그의 일화가 간략히 전한다.<ref>안성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8744 탁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지식관계망'''==
 +
"그래프 삽입"
 +
 
 +
===관련항목===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 [[탁연]]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
 +
| [[탁연]] || [[수선사]] ||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탁연]] || [[최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탁연]] || [[보한집]] || A는 B에 언급되었다 || A ekc:mentions B
 +
|}
 +
 
 +
=='''시각자료'''==
 +
 +
===가상현실===
 +
 
 +
===갤러리===
 +
 
 +
===영상===
 +
 
 +
=='''각주'''==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안성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8744 탁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승탑비문 Top icon}}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인물]]
 +
[[분류:승려]]
 +
[[분류:승탑/검토요청]]

2017년 9월 18일 (월) 14:41 판

탁연(卓然)
BHST Monk1.png
대표명칭 탁연
한자 卓然
법운(法雲), 법유자(法遊子)


정의

고려 중기의 승려.

내용

탁연의 호는 법운(法雲) 또는 법유자(法遊子)이다. 재상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고종 때 조계산 수선사(修禪社)에 들어가 승려가 되었다. 필법이 매우 뛰어났으며, 상주목사 최자(崔滋)백련사(白蓮社)를 중창할 때 그 현판을 썼다. 최자가 지은 『보한집』에 그의 일화가 간략히 전한다.[1]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탁연 A는 B가 비문을 썼다 A ekc:calligrapher B
탁연 수선사 A는 B에서 수행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탁연 최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는 B와 관련이 있다
탁연 보한집 A는 B에 언급되었다 A ekc:mentions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각주

  1. 안성두, "탁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안성두, "탁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