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34번째 줄: 34번째 줄:
  
 
=='''내용'''==
 
=='''내용'''==
 +
김정언은 [[고려 광종]] 때의 재상으로, 그가 지은 금석문([[광양 옥룡사 동진대사탑비]],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을 통해 행적을 추정할 수 있을 뿐이다.
 +
비문은 모두 왕명에 의해 쓰여졌는데, 왕의 중요한 글을 거의 전담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광양 옥룡사 동진대사탑비]]의 비문 중에 외손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어, 이 비문의 주인공인 [[경보|경보(慶甫)]]와 혈연 관계임을 알 수 있다.<ref>정구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0401 김정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55번째 줄: 57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정구복,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0401 김정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인물]]
 
[[분류:인물]]
[[분류:승탑/작성중]]
+
[[분류:승탑/검토요청]]

2017년 9월 17일 (일) 17:24 판

김정언(金廷彦)
대표명칭 김정언
한자표기 金廷彦
시대 고려



정의

고려 전기의 문신.

내용

김정언은 고려 광종 때의 재상으로, 그가 지은 금석문(광양 옥룡사 동진대사탑비,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을 통해 행적을 추정할 수 있을 뿐이다. 비문은 모두 왕명에 의해 쓰여졌는데, 왕의 중요한 글을 거의 전담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광양 옥룡사 동진대사탑비의 비문 중에 외손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어, 이 비문의 주인공인 경보(慶甫)와 혈연 관계임을 알 수 있다.[1]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 김정언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calligrapher B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김정언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calligrapher B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김정언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calligrapher B
광양 옥룡사 동진대사탑비 김정언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A ekc:calligrapher B

시각자료

주석

  1. 정구복, "김정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정구복, "김정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