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범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25번째 줄: 25번째 줄:
  
 
=='''내용'''==
 
=='''내용'''==
9세기 전반 경에 활동한 신라의 [[화엄종|화엄종(華嚴宗)]] 승려이다. [[의상|의상(義相)]] 계열로서 [[법융|법융(法融)]]에게서 배웠으며, 제자로 윤현(潤玄)이 있다. 균여(均如)가 주석을 단 심구장(十句章)이 범체(梵體)저술로 추정된다.<ref>한국고대사회연구소,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제3책 통일신라,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온라인 참조: "[http://db.history.go.kr/id/gskr_010_0010_0110_0020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판독문 주156]",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ref>
+
9세기 전반 경에 활동한 신라의 [[화엄종|화엄종(華嚴宗)]] 승려이다. [[의상|의상(義相)]] 계열로서 [[법융|법융(法融)]]에게서 배웠으며, 제자로 윤현(潤玄)이 있다. [[균여|균여(均如)]]가 주석을 단 『십구장원통기(十句章圓通記)』이 범체의 저술로 추정된다.<ref>한국고대사회연구소,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제3책 통일신라,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온라인 참조: "[http://db.history.go.kr/id/gskr_010_0010_0110_0020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판독문 주156]",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ref>
  
 
=='''관련항목'''==
 
=='''관련항목'''==

2017년 9월 17일 (일) 15:33 판

범체(梵體)
BHST Monk1.png
대표명칭 범체
한자 梵體
이칭 범체대덕(梵體大德)


정의

신라시대의 승려.

내용

9세기 전반 경에 활동한 신라의 화엄종(華嚴宗) 승려이다. 의상(義相) 계열로서 법융(法融)에게서 배웠으며, 제자로 윤현(潤玄)이 있다. 균여(均如)가 주석을 단 『십구장원통기(十句章圓通記)』이 범체의 저술로 추정된다.[1]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의상 범체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법융 범체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범체 도헌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각주

  1. 한국고대사회연구소,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제3책 통일신라,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온라인 참조: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판독문 주156",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참고문헌

  • 한국고대사회연구소,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제3책 통일신라,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온라인 참조: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판독문 주156",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