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독책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42번째 줄: 42번째 줄:
 
|-
 
|-
 
| '''{{PAGENAME}}''' || [[고종대례의궤|『고종대례의궤(高宗大禮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PAGENAME}}''' || [[고종대례의궤|『고종대례의궤(高宗大禮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PAGENAME}}''' || [[단의빈예장도감의궤|『단의빈예장도감의궤(端懿嬪禮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PAGENAME}}''' ||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文孝世子冊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PAGENAME}}''' ||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文孝世子冊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100번째 줄: 98번째 줄: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흑칠독책상_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_중박.png|흑칠독책상<ref>『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景宗端懿王后嘉禮都監儀軌)』</ref>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흑칠독책상_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_중박.png|흑칠독책상<ref>『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景宗端懿王后嘉禮都監儀軌)』</ref>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흑칠독책상_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_중박.png|흑칠독책상<ref>『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景宗王世子冊禮都監儀軌)』</ref>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흑칠독책상_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_중박.png|흑칠독책상<ref>『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景宗王世子冊禮都監儀軌)』</ref>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흑칠독책상_단의빈예장도감의궤하_중박.jpg|흑칠독책상<ref>『단의빈예장도감의궤(端懿嬪禮葬都監儀軌)』</ref>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흑칠독책상_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_중박.jpg|흑칠독책상<ref>『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下)』</ref>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흑칠독책상_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_중박.jpg|흑칠독책상<ref>『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下)』</ref>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흑칠독책상_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_중박.png|흑칠독책상<ref>『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顯宗明聖王后嘉禮都監儀軌)』</ref>
 
파일:궁중기록화_물품_흑칠독책상_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_중박.png|흑칠독책상<ref>『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顯宗明聖王后嘉禮都監儀軌)』</ref>

2017년 9월 5일 (화) 20:21 판


독책상(讀冊床)
국립중앙박물관 외규장각 의궤(http://uigwe.museum.go.kr)
대표명칭 독책상
한자표기 讀冊床
유형 의례 물품
시대 조선
용도 가례(嘉禮)에 사용
관련물품 옥책(玉冊), 죽책(竹冊)



정의

옥책(玉冊)이나 죽책(竹冊)을 올려놓고 읽던 상이다.

내용

책봉(冊封), 존숭(尊崇), 추증(追贈) 등의 의식을 봉행할 때 사용되었다.
직사각형의 천판(天板)에 네 개의 호랑이 발[호족(虎足)] 모양의 다리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의 위계에 따라 왕과 왕비의 것은 주칠(朱漆)을 왕세자와 왕세자빈의 것은 흑칠(黑漆)을 하였다.
색상에 따라 주홍독책상(朱紅讀冊床), 만칠주홍독책상(滿漆朱紅讀冊床), 흑칠독책상(黑漆讀冊床)이라고 부른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옥책(玉冊) 독책상 A는 B에 올려졌다 A ekc:goesWith B
죽책(竹冊) 독책상 A는 B에 올려졌다 A ekc:goesWith B
독책상 『경종국장도감의궤(景宗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독책상 『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景宗端懿王后嘉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독책상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景宗王世子冊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독책상 『고종대례의궤(高宗大禮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독책상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文孝世子冊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독책상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독책상 『숙종국장도감의궤(肅宗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독책상 『순비책봉의궤(淳妃冊封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독책상 『순조국장도감의궤(純祖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독책상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純宗純貞皇后嘉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독책상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독책상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독책상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독책상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哲宗哲仁王后嘉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독책상 『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顯宗明聖王后嘉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독책상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孝明世子冊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독책상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독책상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孝章世子嘉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독책상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孝章世子冊禮都監儀軌)』 B는 A에 그려져 있다 B ekc:isDepictedIn A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순조국장도감의궤삼(純祖國葬都監儀軌三)』
  2.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삼(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三)』
  3. 『고종대례의궤(高宗大禮儀軌)』
  4. 『문효세자책례도감의궤(文孝世子冊禮都監儀軌)』
  5. 『순비책봉의궤(淳妃冊封儀軌)』
  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純宗純貞皇后嘉禮都監儀軌)』
  7.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8.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哲宗哲仁王后嘉禮都監儀軌)』
  9.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孝明世子冊禮都監儀軌)』
  10.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하(孝章世子嘉禮都監儀軌下)』
  11. 『경종국장도감의궤하(景宗國葬都監儀軌下)』
  12.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하(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下)』
  13. 『숙종국장도감의궤하(肅宗國葬都監儀軌下)』
  14.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하(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下)』
  15. 『경종국장도감의궤하(景宗國葬都監儀軌下)』
  16.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하(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下)』
  17. 『숙종국장도감의궤하(肅宗國葬都監儀軌下)』
  18. 『경종국장도감의궤하(景宗國葬都監儀軌下)』
  19. 『경종국장도감의궤하(景宗國葬都監儀軌下)』
  20. 『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景宗端懿王后嘉禮都監儀軌)』
  21.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景宗王世子冊禮都監儀軌)』
  22.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下)』
  23. 『현종명성왕후가례도감의궤(顯宗明聖王后嘉禮都監儀軌)』
  24.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상(孝章世子冊禮都監儀軌上)』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