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통도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57번째 줄: | 57번째 줄: | ||
==참고== | ==참고==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054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화통도감"]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054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화통도감"]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단체]] |
− | [[분류:민족기록화 | + | [[분류:민족기록화 단체]] |
2017년 9월 2일 (토) 21:49 판
화통도감 (火筒都監) |
|
대표명칭 | 화통도감 |
---|---|
한자표기 | 火筒都監 |
유형 | 관청 |
정의
고려시대 화약·화기의 제조를 맡아보던 임시관청.
설명
1377년(우왕 3)에 최무선(崔茂宣)의 건의로 설치되었다.
화통도감에서 제조된 각종 화기들은 모두 18가지로, 이 중에서 총포의 종류는 대장군포(大將軍砲)·이장군포(二將軍砲)·삼장군포(三將軍砲)·육화석포(六火石砲)·화포(火砲)·신포(信砲)·화통(火筒) 등이며, 화전·철령전(鐵翎箭)·피령전 등은 발사물, 그 밖에 질려포·철탄자·천산오룡전(穿山五龍箭)·유화(流火)·촉천화(觸天火)와 로켓무기로 주화(走火)가 있다. 화통도감에서 제조된 화기들은 왜구를 물리치는 데 사용되었다.
1388년(창왕 1)에 폐지되어 군기시에 소속되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을 소재로 한다 | 화통도감 | |
삼별초 | 진도 정충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진도 남도석성 | 진도 정충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최무선||~에서 활동했다||화통도감
|-
|화통도감||~에 기록되어 있다||고려사
|-
|화통도감||~의 제조지이다||화포
|-
|화통도감||~의 제조지이다||화전
|-
|화통도감||~의 제조지이다||주화
|-
|화통도감||~의 제조지이다||대장군포
|-
|화통도감||~의 제조지이다||피령전
|-
|화통도감||~에 흡수되었다||군기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