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6번째 줄: 6번째 줄:
 
|이칭별칭= 활쏘기
 
|이칭별칭= 활쏘기
 
|유형= 의례
 
|유형= 의례
|성격= [[군례]]
+
|관련개념= [[군례]]
 
}}
 
}}
  
='''정의'''==
+
=='''정의'''==
 
예(禮)·악(樂)·사(射)·어(御)·서(書)·수(數)로 나뉘는 육례(六藝)의 하나인 사(射)로, 활쏘기 의례이다.<ref>[http://hanja.naver.com/search?query=%E5%85%AD%E8%97%9D 네이버 한자사전]</ref>
 
예(禮)·악(樂)·사(射)·어(御)·서(書)·수(數)로 나뉘는 육례(六藝)의 하나인 사(射)로, 활쏘기 의례이다.<ref>[http://hanja.naver.com/search?query=%E5%85%AD%E8%97%9D 네이버 한자사전]</ref>
  

2017년 8월 20일 (일) 17:48 판

대사례
(大射禮)
대표명칭 대사례
한자표기 大射禮
유형 의례
관련개념 군례



정의

예(禮)·악(樂)·사(射)·어(御)·서(書)·수(數)로 나뉘는 육례(六藝)의 하나인 사(射)로, 활쏘기 의례이다.[1]

내용

예(禮)는 '예용(禮容)', 악(樂)은 '음악(音樂), 사(射)는 '활쏘기', 어(御)는 '말타기', 서(書)는 '그림', 수(數)는 '수학(數學)'이다.[2] 활쏘기는 고대의 의례를 이어받아 조선시대에도 군신과 사대부의 수양을 위한 의례로, 향사례(鄕射禮)와 더불어 중요한 의례로 국조오례의에도 정리되어 있다. 대사례에서는 이 참석하는 활쏘기이기 때문에 '대(大)'를 붙인다. 백관이 함께 활을 쏘고, 활쏘기 시험으로 우수한 인재를 뽑았던 국가 의례였다. 영조에 앞서 중종은 1534년(중종 29) 8월에 대사례를 거행했고, 그 후 200여년이 지난 후에 영조에 의해 다시 대사례가 이루어졌다. 영조는 4발을 쏘아 3발을 맞추었는데, 중종과 같이 맞춘 것에 기뻐하기도 했다. 이 활을 쏜 뒤 백관들도 이어서 활쏘기를 하였고 과녁을 맞힌 결과에 따라 상과 벌주를 주었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대사례 A는 B를 거행한다
영조 대사례 A는 B를 참여하였다
백관 대사례 A는 B를 행한다
밀창군 대사례 A는 B를 참여하였다
이익정 대사례 A는 B를 참여하였다

시간정보

시간 내용
1743년 영조성균관 하연대에서 대사례를 거행하였다

공간정보

시간 내용
1743년 영조성균관 대성전에서 대사례를 거행하였다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네이버 한자사전
  2. 두산백과 육예
  3. 국립민속박물관, 『조선시대 대사례와 향사례』, 국립민속박물관, 2009, 9~10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國朝五禮儀』
  • 『世宗實錄五禮儀』
  • 대사례의궤
  • 국립민속박물관, 『조선시대 대사례와 향사례』, 국립민속박물관, 2009.
  • 신병주, 「영조대 대사례의 실시와 『대사례의궤』」, 『한국학보』 28권 1호, 일지사(한국학보), 2002.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