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품사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개념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신품사현 |한자표기= |영문명칭= |이칭= |유형= |관련개념= }} =='''정의'''== =='''내용'''== =='''지식관...)
 
3번째 줄: 3번째 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신품사현
 
|대표명칭=신품사현
|한자표기=
+
|한자표기=神品四賢
 
|영문명칭=
 
|영문명칭=
 
|이칭=
 
|이칭=
11번째 줄: 11번째 줄:
  
 
=='''정의'''==
 
=='''정의'''==
 +
고려시대까지의 서화(書畵)로 유명한 4인의 거장.<ref>pmg 지식엔진연구소,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5326&cid=43667&categoryId=43667 신품 4현]", 시사상식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3년 10월 1일.</ref>
  
 
=='''내용'''==
 
=='''내용'''==
 +
[[이규보|이규보(李奎報)[[의 『[[동국이상국집|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서 비롯된 말로, [[이규보]]는 신라의 [[김생|김생(金生)]], 고려의 [[탄연|탄연(坦然)]], [[최우|최우(崔瑀)]], [[유신|유신(柳伸)]]의 글씨를 신품(神品)이라고 평하며, 이들 네 사람을 '신품 4현(神品四賢)'이라고 불렀다. [[김생]]의 글씨는 ‘전유암산가서(田遊巖山家序)’,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奉化 太子寺 朗空大師塔碑)’, [[탄연]]의 글씨는 ‘청평사문수원중수비(淸平寺文殊院重修碑)’, ‘북룡사비(北龍寺碑)’, ‘승가사중수비(僧伽寺重修碑)’ 등을 통해 전해진다. 그리고 [[유신]]의 글씨는 [[순천 송광사|송광사(松光寺)]]의 ‘불일보조국사탑비(佛日普照國師塔碑)’를 통해 전해진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9302&cid=40942&categoryId=33071 신품사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관련 비문===
 +
*[[진락공문수원기|진락공문수원기(眞樂公文殊院記)]]
 +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2017년 8월 20일 (일) 16:41 판

신품사현
(神品四賢)
대표명칭 신품사현
한자표기 神品四賢



정의

고려시대까지의 서화(書畵)로 유명한 4인의 거장.[1]

내용

[[이규보|이규보(李奎報)[[의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서 비롯된 말로, 이규보는 신라의 김생(金生), 고려의 탄연(坦然), 최우(崔瑀), 유신(柳伸)의 글씨를 신품(神品)이라고 평하며, 이들 네 사람을 '신품 4현(神品四賢)'이라고 불렀다. 김생의 글씨는 ‘전유암산가서(田遊巖山家序)’,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奉化 太子寺 朗空大師塔碑)’, 탄연의 글씨는 ‘청평사문수원중수비(淸平寺文殊院重修碑)’, ‘북룡사비(北龍寺碑)’, ‘승가사중수비(僧伽寺重修碑)’ 등을 통해 전해진다. 그리고 유신의 글씨는 송광사(松光寺)의 ‘불일보조국사탑비(佛日普照國師塔碑)’를 통해 전해진다.[2]

관련 비문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신품사현 김생 A는 B를 포함한다
신품사현 탄연 A는 B를 포함한다
신품사현 최우 A는 B를 포함한다
신품사현 유신 A는 B를 포함한다

시각자료

주석

  1. pmg 지식엔진연구소,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온라인 참조: "신품 4현", 시사상식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작성일: 2013년 10월 1일.
  2. "신품사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