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탑비정보 |사진=BHST_Hoeamsa_Jigong_stele.jpg |사진출처= |대표명칭=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 |영문명칭=Stele for Master Zhikong at Hoeamsa Temple, Yang...)
 
25번째 줄: 25번째 줄:
 
=='''내용'''==
 
=='''내용'''==
 
===개요===
 
===개요===
비신의 높이 237cm, 너비 96cm, 두께 28cm로<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8573 회암사지공선사부도비]",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네모꼴 받침돌 위에 홈을 파서 비신(碑身)을 세우고 팔작지붕 모양의 옥개석(屋蓋石)을 얹은 형식이다.<ref>"지공선사 부도비", 문화재, [http://www.hoeamsa.com/ 회암사].</ref> 탑비 옆에는 귀부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데, 이것이 원래 지공선사부도비의 귀부였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ref>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 안내판 해설문.</ref>
+
비신의 높이 237cm, 너비 96cm, 두께 28cm로<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8573 회암사지공선사부도비]",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ref> 네모꼴 받침돌 위에 홈을 파서 비신(碑身)을 세우고 팔작지붕 모양의 옥개석(屋蓋石)을 얹은 형식이다.<ref>"[http://www.hoeamsa.com/ 지공선사 부도비]", 문화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회암사』<sup>online</sup></online></html>.</ref> 탑비 옆에는 귀부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데, 이것이 원래 지공선사부도비의 귀부였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ref>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 안내판 해설문.</ref>
 
 
[[지공|지공(指空]]이 원(元)에서 입적한 것은 1363년 11월이었으며, 1370년에는 그의 유골이 고려에 도착하였다.
 
  
 
===비문===
 
===비문===
 +
비문에는 [[지공|지공(指空)]]이 인도의 108대 조사(祖師)로 황제 등의 우대를 받았으며, 반야(般若)를 공부했다는 내용 등이 기록되어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26501&cid=40942&categoryId=33675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 승탑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탑비의 파손과 복원===
 +
[[지공|지공(指空]]이 원(元)에서 입적한 것은 1363년 11월이었으며, 1370년에는 그의 유골이 고려에 도착하였다.<ref>황원갑, "무학왕사와 천보산 회암사", 『고승과 명찰』, 바움, 2010, 286쪽.</ref> 이를 계기로, [[지공]]의 제자인 [[혜근|나옹(懶翁)]]은 [[양주 회암사|회암사(檜巖寺)]] 중창에 착수하였으며, [[지공선사부도 및 석등|지공의 승탑]]을 세우는 등 중창불사에 힘을 쏟았다.<ref>이재형,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86133 이재형 기자의 편지로 읽는 스님이야기 - 23. 천축승 지공이 고려 나옹에게]", 『법보신문』, 2015년 3월 18일.</ref> 원래의 비는 [[이색|이색(李穡)]]이 비문(碑文)을 짓고 [[이희현|이희현(李羲玄)]]이 글씨를 써서 1378년([[고려 우왕]] 4) [[양주 회암사|회암사]]에 세워졌으나, 1821년([[조선 순조]] 21) 광주의 유생 [[이응준|이응준(李膺俊)]]에 의해 파괴되어 1828년 다시 건립되었다.<ref>"[http://museum.yangju.go.kr/site/hasj/sub.do?Key=4036 지공, 나옹선사 부도 및 석등]", 회암사지 주변 문화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회암사지박물관』<sup>online</sup></online></html>.
  
대상 승려, 찬자/서자/각자, 왕
 
건립연대, 역사(간략하게.... 파손, 수리/복원, 이전)
 
형태적 특징 + 기타 내용
 
지정정보
 
  
 +
*이재형,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86133 이재형 기자의 편지로 읽는 스님이야기 - 23. 천축승 지공이 고려 나옹에게]", 『법보신문』, 2015년 3월 18일.
 +
*황원갑, "무학왕사와 천보산 회암사", 『고승과 명찰』, 바움, 2010, 272-292쪽.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26501&cid=40942&categoryId=33675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 승탑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26501&cid=40942&categoryId=33675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 승탑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8573 회암사지공선사부도비]",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8573 회암사지공선사부도비]",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67번째 줄: 66번째 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26501&cid=40942&categoryId=33675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 승탑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26501&cid=40942&categoryId=33675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 승탑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8573 회암사지공선사부도비]",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8573 회암사지공선사부도비]", 금석문 세부정보,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소.
 +
*이재형,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86133 이재형 기자의 편지로 읽는 스님이야기 - 23. 천축승 지공이 고려 나옹에게]", 『법보신문』, 2015년 3월 18일.
 +
*황원갑, "무학왕사와 천보산 회암사", 『고승과 명찰』, 바움, 2010, 272-292쪽.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탑비]]

2017년 7월 22일 (토) 00:11 판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
(楊洲 檜巖寺 指空禪師浮屠碑)
BHST Hoeamsa Jigong stele.jpg
대표명칭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
영문명칭 Stele for Master Zhikong at Hoeamsa Temple, Yangju
한자 楊洲 檜巖寺 指空禪師浮屠碑
주소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산 8-1
문화재 지정번호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35호
문화재 지정일 2004년 11월 29일
찬자 이색(李穡)
서자 이희현(李羲玄)
각자 미상
서체 해서(楷書)
승려 지공(指空)
건립연대 1828년
승탑 지공선사부도 및 석등



정의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회암사(檜巖寺)에 있는 인도의 승려 지공(指空, ?-1363)탑비.

내용

개요

비신의 높이 237cm, 너비 96cm, 두께 28cm로[1] 네모꼴 받침돌 위에 홈을 파서 비신(碑身)을 세우고 팔작지붕 모양의 옥개석(屋蓋石)을 얹은 형식이다.[2] 탑비 옆에는 귀부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데, 이것이 원래 지공선사부도비의 귀부였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ref>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 안내판 해설문.</ref>

비문

비문에는 지공(指空)이 인도의 108대 조사(祖師)로 황제 등의 우대를 받았으며, 반야(般若)를 공부했다는 내용 등이 기록되어 있다.[3]

탑비의 파손과 복원

지공(指空이 원(元)에서 입적한 것은 1363년 11월이었으며, 1370년에는 그의 유골이 고려에 도착하였다.[4] 이를 계기로, 지공의 제자인 나옹(懶翁)회암사(檜巖寺) 중창에 착수하였으며, 지공의 승탑을 세우는 등 중창불사에 힘을 쏟았다.[5] 원래의 비는 이색(李穡)이 비문(碑文)을 짓고 이희현(李羲玄)이 글씨를 써서 1378년(고려 우왕 4) 회암사에 세워졌으나, 1821년(조선 순조 21) 광주의 유생 이응준(李膺俊)에 의해 파괴되어 1828년 다시 건립되었다.<ref>"지공, 나옹선사 부도 및 석등", 회암사지 주변 문화재, 『회암사지박물관』online.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 승탑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회암사지공선사부도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회암사지공선사부도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소.
  2. "지공선사 부도비", 문화재, 『회암사』online.
  3.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 승탑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황원갑, "무학왕사와 천보산 회암사", 『고승과 명찰』, 바움, 2010, 286쪽.
  5. 이재형, "이재형 기자의 편지로 읽는 스님이야기 - 23. 천축승 지공이 고려 나옹에게", 『법보신문』, 2015년 3월 18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