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6번째 줄: 26번째 줄:
 
=='''생애'''==
 
=='''생애'''==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50px" src="https://cdn.knightlab.com/libs/timeline3/latest/embed/index.html?source=1QwdX-oKk03eLMcmxT6pHl1IAYsgIcM_skyIBRFB9OzQ&font=PT&lang=ko&timenav_position=top&debug=true&initial_zoom=0&height=650" frameborder="0"></iframe>
 +
</html>
  
 
웅진(공주 지역) 출신의 체징(體澄, 804~880)은 설악산에서 [[도의|도의(道義)]]의 제자인 [[염거|염거(廉居)]]에게 수학한 후 희강왕 2년(837)에 동료들과 함께 중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하지만 자신이 배웠던 선법이 중국과 다르지 않음을 깨닫고 곧바로 귀국하여 장흥의 가지산 [[장흥 보림사|보림사]]에서 도의의 선풍을 선양하였는데, 이를 [[가지산문]]이라 불렀다. 왕실의 후원을 받았던 그의 문도는 천여 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이후 가지산문의 선맥은 고려말 『[[삼국유사]]』를 저술한 [[일연]]에게도 이어졌다.<ref>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포교연구실, ''불교사의 이해'', (주)조계종출판사, 2014, 171쪽.</ref>
 
웅진(공주 지역) 출신의 체징(體澄, 804~880)은 설악산에서 [[도의|도의(道義)]]의 제자인 [[염거|염거(廉居)]]에게 수학한 후 희강왕 2년(837)에 동료들과 함께 중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하지만 자신이 배웠던 선법이 중국과 다르지 않음을 깨닫고 곧바로 귀국하여 장흥의 가지산 [[장흥 보림사|보림사]]에서 도의의 선풍을 선양하였는데, 이를 [[가지산문]]이라 불렀다. 왕실의 후원을 받았던 그의 문도는 천여 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이후 가지산문의 선맥은 고려말 『[[삼국유사]]』를 저술한 [[일연]]에게도 이어졌다.<ref>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포교연구실, ''불교사의 이해'', (주)조계종출판사, 2014, 171쪽.</ref>
43번째 줄: 46번째 줄: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참고문헌==
+
=='''참고문헌'''==
  
 
=='''각주'''==
 
=='''각주'''==

2017년 1월 16일 (월) 18:56 판

30px


체징(體澄)()
대표명칭 체징(體澄)
영문명칭 Chejing
생몰년 804(애장왕 5)-880(헌강왕 6)
시호 보조선사(普照禪師)
체징(體澄)
탑호 창성(彰聖)
성씨 김씨(金氏)
출신지 웅진(熊津)
승탑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
승탑비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碑)



정의

신라시대의 승려

생애

웅진(공주 지역) 출신의 체징(體澄, 804~880)은 설악산에서 도의(道義)의 제자인 염거(廉居)에게 수학한 후 희강왕 2년(837)에 동료들과 함께 중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하지만 자신이 배웠던 선법이 중국과 다르지 않음을 깨닫고 곧바로 귀국하여 장흥의 가지산 보림사에서 도의의 선풍을 선양하였는데, 이를 가지산문이라 불렀다. 왕실의 후원을 받았던 그의 문도는 천여 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이후 가지산문의 선맥은 고려말 『삼국유사』를 저술한 일연에게도 이어졌다.[1]

관련항목

참고문헌

각주

  1.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포교연구실, 불교사의 이해, (주)조계종출판사, 2014, 17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