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패옥(왕실여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복식정보
|이미지=궁중기록화 복식 왕실남성 패옥 01.jpg
+
|이미지=  
|대표명칭= 패옥(佩玉)
+
|사진출처=  
|이칭별칭=
+
|대표명칭= 후수
|착용신분= 왕실
+
|한자표기= 後綬
|착용성별= 남성
+
|이칭별칭=  
|복식구성= 형(珩), 황(璜), 거(琚), 우(瑀), 충아(衝牙)
 
|관련복식= [[대례복|대례복(大禮服)]]
 
 
|복식구분= 기타
 
|복식구분= 기타
 +
|착용신분= [[황후]], [[왕비]], [[황태자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
|착용성별= 여성
 +
|관련복식= [[적의]], [[대대(왕실여성)|대대]]
 
|필드수= 7
 
|필드수= 7
 
}}
 
}}
=='''정의'''==
 
덕의 상징으로 좌우에 늘이어 차는 옥이다.
 
  
=='''내용'''==
+
==정의==
 +
대례복인 [[적의]] 차림을 할 때 양쪽 옆구리에 드리우는 장식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13쪽.</ref>
  
 +
==내용==
 
===복식구성===
 
===복식구성===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패옥 02.jpg|『詩傳圖』
 
</gallery>
 
 
===착용신분===
 
===착용신분===
[[]],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이 착용 하였다.  
+
[[황후]], [[왕비]], [[황태자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등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착용상황===
국가 의례, 혼례 등의 [[대례복]]을 입을 착용 한다.  
+
국가의 큰 [[제례]]를 올리거나 [[혼례]]를 올릴 또는 책봉을 받을 때<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00쪽.</ref> 등에 착용한다.
  
===기본 형태===
+
===형태===
형(珩), 황(璜), 거(琚), 우(瑀), 충아(衝牙)로 구성 되었다. 형은 가로로 길쭉한 모양이고 가장 윗부분에 위치해 있다. 그 아래에 거 2개와 우 1개가 있는데, 우가 가운데에 있고 거는 양옆에 있다. 가장 아래에는 황과 충아가 있는데, 가운데에 충아가 있고 황은 양옆에 있다.  
+
패옥 바탕인 소수 위에 다양한 형태의 옥이 연결되어 있고, 혁대에 걸기 위한 고리가 달려 있다. 걸을 때 옥이 서로 부딪혀 나는 소리는 군다의 덕을 상징하여 신중하지 못한 태도를 경계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패옥에 새겨진 무늬는 황후가 운룡문, 황태자비가 운봉문이고,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은 무늬가 없는 민옥을 사용한다. 패옥 바탕은 수와 같은 소재를 사용하였다. 처음에는 홍화금을 사용하였으나 영조22년(1746)부터는 오색 교직단을 사용하였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13쪽.</ref>
{{Blockquote|잡패(雜佩)는 좌우(左右)의 패옥(佩玉)이다. 위에 가로댄 것을 형(珩)이라 하니, 아래에서 세 개의 끈을 매달고 진주조개를 꿰며, 가운데 끈의 중간에 하나의 큰 구슬을 꿰니, 이것을 우(瑀)라 한다. 끝에 하나의 옥을 매다는데 두 끝이 모두 뽀족하니, 이것을 충아(衝牙)라 한다. 양 곁의 끈 중간에 각기 하나씩 옥을 매다는데, 길쭉하고 넓적하며 네모지니, 이것을 거(琚)라 한다. 그 끝에 각각 한 옥을 매다는데, 반벽(半璧)과 같으며 안으로 향했으니, 이것을 황(璜)이라 한다. 또 두 개의 끈으로 구슬을 꿰어 위로 형(珩)에 매달고, 양 끝은 아래로 우(瑀)에 교차시켜 꿰고 아래로 두 황(璜)에 매다니, 사람이 걸어가면 충아(衝牙)가 황(璜)에 부딪쳐 소리가 난다. 여씨(呂氏)가 말하기를 󰡒비단 옥뿐만이 아니요 뿔송곳과 화경, 바늘과 대통 등 모든 찰만 한 것은 모두 이것이다.󰡓 하였다.<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76쪽.</ref> (集傳: 雜佩者, 左右佩玉也. 上橫曰珩, 下繫三組, 貫以蠙珠, 中組之半, 貫一大珠, 曰瑀. 末懸一玉, 兩端皆銳, 曰衝牙. 兩旁組半, 各懸一玉, 長博而方, 曰琚, 其末各懸一玉, 如半璧而內向, 曰璜. 又以兩組貫珠, 上繫珩, 兩端下交貫瑀而下繫於兩璜, 行則衝牙觸璜而有聲也. 呂氏曰, 非獨玉也. 觿燧箴(針)管凡可佩者皆是也.)
 
|출처= 『詩經』, 「鄭風」, '女曰鷄鳴'.}}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300px>
 
파일:9패옥오례의서례.jpg|『國朝五禮儀序例』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왕실남성 패옥 01.jpg|『正祖國葬都監儀軌』
 
</gallery>
 
[[패옥]]은 [[혁대]]에 걸어야 하지만 조선 전기 [[면복]]에는 [[혁대]]를 착용하지 않았으므로 [[대대]]에 걸었을 것이고, 조선 후기에 [[혁대]]를 착용하면서부터 [[혁대]]에 걸었을 것.<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76쪽.</ref>  
 
  
 
===기타===
 
===기타===
'''상징'''
 
덕의 상징으로, [[패옥]]을 찬 채 걸으면 황과 충아가 서로 부딪쳐 ‘쟁쟁[鏘鏘]’하고 소리를 내, 군자는 이 소리를 들으면서 사악한 마음이 자신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다스렸다고 한다.<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72쪽.</ref>
 
  
=='''관련항목'''==
+
 
 +
==지식 관계망==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항목A!!항목B!!관계
 
!항목A!!항목B!!관계
 
|-
 
|-
|[[황제]] || '''{{PAGENAME}}''' ||A는 B를 착용한다
+
| '''{{PAGENAME}}''' || [[왕비]]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황태자]] || '''{{PAGENAME}}''' ||A는 B를 착용한다
+
| '''{{PAGENAME}}''' || [[왕세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왕]] || '''{{PAGENAME}}''' ||A는 B를 착용한다
+
| '''{{PAGENAME}}''' || [[왕세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왕세자]] || '''{{PAGENAME}}''' ||A는 B를 착용한다
+
|'''{{PAGENAME}}''' || [[홍장삼]] || A는 B에 착용한다
 
|-
 
|-
|[[왕세손]] || '''{{PAGENAME}}''' ||A는 B를 착용한다
+
|'''{{PAGENAME}}'''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PAGENAME}}'''  || [[대례복]] ||A는 B의 일습이다
 
|-
 
|'''{{PAGENAME}}'''  || [[면복각]] ||A는 B에서 소장한다
 
 
|}
 
|}
 +
===시간정보===
  
=='''참고문헌'''==
+
===공간정보===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권현주, 「접섭대(䪓韘帶)에 관한 연구」, 『中央아시아硏究』,  V.11, 중앙아시아학회, 2005.
 
*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名選-下』, 단국대학교출판부, 2004.
 
* 류희경, 『우리옷 이천년』, 미술문화, 2001.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역사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문화재청, 2007.
 
* 석주선, 『한국복식사』, 보진재, 1971.
 
* 이강칠 외, 『역사인물초상화대사전』, 현암사, 2003.
 
* 장정윤,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周錫保, 『中國古代服飾史』, 中國戱劇出版社, 1983.
 
* 최규순,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동화대학출판부, 2007.
 
* 최규순, 「이 시대의 진정한 ‘紳士’를 위하여」, 『전통 의생활 연구』, 제 2집, 단국대학교 전통복식연구소, 2008.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최영선, 「朝鮮時代 文武百官 祭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홍나영, 「佩玉에 관한 硏究」, 『韓國服飾』 8,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1990.
 
  
=='''주석'''==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gallery>
 +
 
 +
===영상===
 +
 
 +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더 읽을거리===
 +
 +
===유용한 정보===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식]]
 
[[분류:복식]]

2017년 6월 8일 (목) 19:52 판


후수
(後綬)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후수
한자표기 後綬
착용신분 황후, 왕비, 황태자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착용성별 여성



정의

대례복인 적의 차림을 할 때 양쪽 옆구리에 드리우는 장식이다.[1]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황후, 왕비, 황태자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등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국가의 큰 제례를 올리거나 혼례를 올릴 때 또는 책봉을 받을 때[2] 등에 착용한다.

형태

패옥 바탕인 소수 위에 다양한 형태의 옥이 연결되어 있고, 혁대에 걸기 위한 고리가 달려 있다. 걸을 때 옥이 서로 부딪혀 나는 소리는 군다의 덕을 상징하여 신중하지 못한 태도를 경계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패옥에 새겨진 무늬는 황후가 운룡문, 황태자비가 운봉문이고,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은 무늬가 없는 민옥을 사용한다. 패옥 바탕은 수와 같은 소재를 사용하였다. 처음에는 홍화금을 사용하였으나 영조22년(1746)부터는 오색 교직단을 사용하였다.[3]

기타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패옥(왕실여성) 왕비 A는 B를 착용하였다
패옥(왕실여성) 왕세자빈 A는 B를 착용하였다
패옥(왕실여성) 왕세손빈 A는 B를 착용하였다
패옥(왕실여성) 홍장삼 A는 B에 착용한다
패옥(왕실여성) 의궤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13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00쪽.
  3.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13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